사랑을 말해줘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일본소설들을 좋아하고, 많은 일본소설을 읽으면서 한 작가의 새 작품이 나오기를 손 꼽아 기다리기는 요시다 슈이치 밖에는 없을 것이다. 사실 요시다 슈이치 보다는 이사카 고타로나 온다 리쿠, 오쿠다 히데오를 더 좋아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어느새 나의 책장에는 요시다 슈이치의 전 작품이 진열되어 있으니 나는 이미 모르는 사이에 요시다 슈이치 세계에 빠져 있음이 틀림없다. 처음에 어떤 작품으로 인해 요시다 슈이치를 알게 되었는지 가물가물하지만 그의 감성적이고 치밀하면서도 도저히 남성으로서는 표현할 수 없을 것 같은 여성과 남성의 심리를 섬뜩하리만치 묘사하는 것을 보고 그는 아마도 타고난 작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수도 없이 해보았다. 반면에 그러한 타고남이 우리가 아닌 일본인이라는 것에 질투심까지 일었다.

얼마전 '여자는 두번 떠난다'와 '악인'을 읽고 언제나 그의 신작이 나올까 했는데 벌써 1월에만 두권이 나왔으니 요시다 슈이치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행복할 뿐이다. 그 중에 한 권이 '사랑을 말해줘'인데 역시 이 작품에서도 그만의 독특함을 찾아볼 수 있다. 요시다 슈이치의 작품은 쉽게 읽히는 것 같지만 이야기 전개나 주인공의 관계, 주변의 상황속에서 작가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이 교묘하게 담겨 있다. 이번 작품의 키워드는 '소통'일 것이다. 소통의 차이에서 오는 남녀간의 사랑. 국가간의 분쟁. 이를 절묘하게 대비시키면서 아무것도 아닐 것 같은 한 남녀의 사랑이 마치 세계 역사의 분쟁처럼 중요하게 비쳐지게 만드는 재주는 아마도 요시다 슈이치이기에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다큐멘터리 제작을 직업으로 갖고 있는 남자와 아무것도 들을 수 없는 여자. 둘은 우연한 계기가 되어 알게 되고 사랑인지도 모르는 만남을 갖게 되면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통의 수단인 대화의 방법이 다름에 혼란을 겪게된다. 사실 우리는 말이라는 언어의 표현을 통해 상대방과 의사 교환을 한다. 이것이 마치 모든것을 해결 할 수 있다고 믿으면서 말이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는 말이라는 수단을 핑계로 상대방을 기만하고 우롱하고 회유하고 방치하거나 상처를 주고 있다. 차라리 말이라는 수단이 없었다면 어땟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만든다. 

늘 말과 언어속에서 생활하는 남자와 모든 것으로의 고요속에서 생활하는 여자. 이들의 수단은 딱 하나 "글"이다. 하지만 글이라는 것은 말하는사람의 감정이 그대로 전달되지 못할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그러한 소통의 차이로 인해 서로는-특히 남자는- 좀더 다가서지 못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누가 더 답답할까? 말 못하는 여자?, 못 알아듣는 남자?. 사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말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있음에도 제대로 사용하고 못하고 있지 않는가? 남녀간에, 부부간에, 친구간에, 부모간에, 국가간에...

요시다 슈이치는 한 쌍의 남녀를 통해 소통의 차이를 절절하게 보여주고 있다. 작품의 마지막에는 역시 요시다 슈이치 스타일처럼 여운을 남기는 것도 잊지 않았다. 마지막에 남자가 여자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다른 어떤 미사여구보다 진실만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번에도 요시다 슈이치는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