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즈음 일본소설을 읽어보면 몇가지를 느끼게 된다. 먼저 "역시 일본인의 뛰어난 고객맞춤 시스템은 문학도 예외가 아니구나"라는 생각을 해본다. 다시말해 일본문학은 독자의 입맛을 안다는 것이다. 불과 몇년전만해도 OO 수상작하면 묵직하고 문학적 요소가 듬뿍담겨 읽는이로 하여금 마음을 무겁게 만들거나 읽고 나서도 작품이 주는 무게에 가슴이 눌리는 듯한 느낌을 받았지만, 요즘은 그냥 편하게 읽으면 그뿐이다. 그렇다고 작품이 주는 교훈이나 신선함이 없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다가온다.

135회 일본 나오키상 수상작인 다소 엉뚱한 제목의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의 추세를 잘 반영한 작품이다. 이런 작품도 충분히 수상을 할 수 있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작품성이 없다거나, 재미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기존의 틀을 벗어난 작품에 과감하게 손을 들어 주는 그들의 유연함이 부럽다는 의미이다. 우리가 그랬다면 과연...그래도 최근 우리의 몇몇 작품에서 그러한 유연성이 보이는 듯 해 그나마 위안이 되는 듯 하다.

또 다른 면에서 그런 생각도 해보았다. 우리네는 작가자신을 위해 작품을 쓰고, 그네들은 독자들을 위해 작품을 쓴다는 생각. 그러다 보니 문장하나하나에 심혈을 기울여야하고 잘 쓰지 않는 고상한 표현이나 시(詩)적인 표현들이 무수한 작품들을 우리는 작품성이 있다고 해서 OO상, XX상의 후보 일순위로 올린다. 반면에 그들은 작품성의 기준을 우리네와는 다른 각도로 본다는 생각을 해본다. 결국 이러한 결과는 우리네 문학은 계속 후퇴하는데 반해 일본의 문학은 우리의 책장과 가방속까지 침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인들의 속성을 보면 제품 자체에만 촛점을 맞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제품을 포장하고 있는 포장지에도 상당히 신경을 쓴다는 것이다. 일본은 일찍부터 패키지디자인에 상당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제품의 포장지 하나 박스 하나에도 그들의 노력이 들어있다는 말이다. 이러한 노력은 책의 표지에서도 여실히 들어난다. 그들만의 독특한 디자인으로 표지만으로도 책을 읽고 싶게 만든다는 의미이다. 참으로 얄미운 일본인들이다.

최근 일본문학의 또다른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과 같은 스토리 구성이다.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의 주인공들은 어찌보면 다른 일본 작품에서도 만날 수 있는 그런 인물들이다. 예를 들면 이사카 고타로의 작품에서나  이시다 이라의 작품에서 심심치 않게 만날 수 있다. 어느날 느닷없이 나타나 좌충우돌 거리는 듯 하지만, 거기에는 철학이 있고 의지가 있으며 거스를 수 없는 힘을 뿜어낸다. 바로 만인의 해결사. 이러한 해결사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지난 과거가 있다는 것. 불의를 용서하지 않는 다는 것. 그리고 뻔뻔하다는 것 등...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의 주인공 교텐도 예외는 아니다. 어느날 다다앞에 나타난 친구 교텐. 그 둘은 천천히 서로을 알아가고 그들만의 해결법으로 여러사람에게 도움을 준다.

책을 집어들고 그저 편하게 읽기만 하면 되는 책이 바로 '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왜 우리네 독자들이 그토록 일본문학을 찾게되고, 한번 빠지면 헤어나오지 못하게 되는지 조금은 알게될 것이다. 그곳에는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신선한 재미가 있고, 독자를 끌어들이는 강한 흡입력이 작동을 한다. 우리는 그저 한페이지 한페이지 그 늪에 빠져들면 그만이다. 다 읽고 나서 내용이 남거나 말거나 읽는 내내 행복하면 그뿐이다. 읽는 내내 짜릿하면 그뿐이다. 읽는 내내 즐거우면 그뿐이다. 바로 그런것이 우리가 찾는 소설이 아닐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7-25 00:1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