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거장에서의 충고 - 기형도의 삶과 문학
박해현.성석제.이광호 엮음 / 문학과지성사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 한 편의 시집을 내고 만 28세에 종로의 한 심야 극장에서 '요절'한 한 사내의 삶은 결국 신화가 되었다. 기형도의 극적인 삶(처절한 가난, 풍에 쓰러져 식물같은 아버지, 신춘문예 등단, 일간지 기자, 20대에 죽음 등)은 그의 염세적인 시와 맞물려 이제는 그 누구도 폄하하지 못할 거대한 하나의 세계로 자리잡았다. 

   이 책은 기형도 사후 20년을 맞이해, 점점 더 단단해지는 '기형도'라는 신화를 깨뜨리고 있다. 그는 신화속의 인물이 아니고, 그저 섬세한 인간이었다. 책은 기형도의 시를 하나의 텍스트로 받아들이기도 하고, 가족, 학생, 기자, 시인 등 그의 삶에서 만났던 사람들의 추억을 털어놓아 그를 인간적인 모습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그리고 90년대 이후 그가 발표한 시가 한국 문단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평가하기도 한다.  

   그가 요절한지 20년이 지났지만, 그의 신화는 세월이 흐를수록 더 두터워져 갔다. 이 책은 만신전에 오른 그를 다시 인간의 자리, 시인의 자리에 내려놓는 작업이다. 어쩌면 이런 작업을 기형도 자신이 원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도 인간이었기에. 불안한 20대 청춘이었기에. 너무나도 나약하고 섬세한 사람이었기에. 

   부질없는 상상이지만, 노래 부르는 것을, 시를 쓰는 것을 좋아했고, "경악! 경악!", "아, 절망! 절망!"이라는 짧은 단발마적인 단어들을 입에 달고 생활했던 그가 지금까지 살아있었다면, 그는 어떤 작품을 발표했을까? 이런 부질없는 상상 또한 안타까움에서 비롯되는 것이겠지만... 

   그의 시(詩)대로, 그의 삶은 책이 되었다. 이 책은 기형도의 삶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 물론 그가 살아있었더라면, 대부분 검은 페이지로 만들었겠지만서도. 하지만, 그를 읽은 사람이라면, 결코 그를 떠나지 않을 것이다. 

 

          내가 살아온 것은 거의 
          기적이었다. 
          오랫동안 나는 곰팡이 피어 
          나는 어둡고 축축한 세계에서 
          아무도 들여다보지 않는 질서 


          속에서, 텅 빈 희망속에서 
          어찌 스스로의 일생을 예언할 수 있겠는가 
          다른 사람들은 분주히 
          몇몇 안되는 내용을 가지고 서로의 기능을 
          넘겨보며 書標를 꽂기도 한다. 
          또 어떤 이는 너무 쉽게 살았다고 
          말한다. 좀 더 두꺼운 추억이 필요하다는 


          사실, 완전을 위해서라면 두께가 
          문제겠는가? 나는 여러 번 장소를 옮기며 살았지만 
          죽음은 생각도 못했다, 나의 경력은 
          출생뿐이었으므로, 왜냐하면
          두려움이 나의 속성이며 
          미래가 나의 과거이므로 
          나는 존재하는 것, 그러므로 
          용기란 얼마나 무책임한 것인가, 보라 


          나를 
          한 번이라도 본 사람은 모두 
          나를 떠나갔다, 나의 영혼은 
          검은 페이지가 대부분이다, 그러니 누가 나를 
          펼쳐볼 것인가, 하지만 그 경우 
          그들은 거짓을 논할 자격이 없다. 
          거짓과 참됨은 모두 하나의 목적을 
          꿈꾸어야 한다, 단 
          한줄일 수도 있다. 


          나는 기적을 믿지 않는다. 

                                                                                                    - 「오래된 書籍」 전문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