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스 : 정재승 + 진중권 - 무한상상력을 위한 생각의 합체 ㅣ 크로스 1
정재승, 진중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2월
평점 :
1. 디지털 세상, 어떤 사람이 구루가 되는가?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 그런데 우리는 과연 스티브 잡스 같은 창조적인 사람을 키우는 사람인가? 과잉행동장애를 앓는 산만한 소년이었고 독불장군에 외톨이였다는, 함께 일해온 동료들을 애플에 대한 충성심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애플 주식 공개 상장에서 배제할 정도로 편협했고, 화이트보드를 가로챘다는 사소한 이유로 픽사의 공동창업자에게 소리를 지르며 벌컥 화를 내기도 했다는 그의 모습은 어떻게 읽어야하나? 우리는 그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그나저나 진짜 멋지긴 하다. 예술가형 CEO 섬세하고 감수성 넘치는 그, 그런데 돌려보면 지나치게 예민하고 감정적인 그라서 말이다.^^
2. 23andME, 구글에 세상에 떠도는 정보를 모으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 몸속에 있는 바이오 정보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무시무시하다. 침 한 번만 퉤 밷으면 내가 누구인지, 내 몸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알려주는 세상이라니! 두려운 세상이 자꾸만 내 앞에 펼쳐지는 것 같아 무섭다. 식자우환이라고 했거늘.....
3. <마이너리티 리포트> 기술이 예술로, 예술과 문학이 기술로! 그런데 우리는 어떤 시대에 살고 있느냐? 진중권이 말한다. 이렇게! "창의적이지 못한 기술은 기능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기술도 이제는 예술과 문학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얘기다. 어느 예술학교에서 그런 일 좀 해보려고 했더니, 양촌리 김 회장 댁 둘째 아드님이 각하께서 하사하신 좌파 척결의 숭고한 완장을 차고 나타나셔서 예산을 전액 삭감해버리셨단다."를 읽고 어찌나 웃었던지...촌철살인!
4. 다 정리하기 힘든 낯선 세계 21세기와의 만남
정리해 보겠다고 시작한 것을 급후회한다. 너무 할 말이 많다. 그래서 접으련다. 이 책을 읽으면서 SF영화에서 그리던 세계가 점점 다가오고 있음을 느낀다. 외계인과의 싸움도 곧 벌어질 것(?) 같은..^^ㅋㅋ ㅋ 죄송죄송!!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아날로그형 인간들은 대체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걸까? 변화가 두려운 나이가 되어가는데.....21세기는 자꾸만 낯설다. 그래서 말이다. 이 책이 좋았다. 낯선 21세기, 나같은 아날로그형 인간에게 좀 세상을 똑바로 보고 살아라는 메시지를 던져주는 책이라고 할까?
그밖의 이야기 - 레고 이야기, 박사 이야기, 대중지성 이야기 등. 진중권의 글힘이 느껴지는 이야기가 아직도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