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개념 -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의 최초 경영학 저서
피터 드러커 지음, 정은지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최악의 원료에서 최고의 리더를 얻어낸다 고르디아스 매듭 사리분별이라는 미명하에 기피될 것이다 현대사는 지위에서 출발하여 계약으로 이동하였다 노동 원자재 자본설비 경영조직 생산요소를 통제하는 독점 사용을 위한 생산인가 이득을 위한 생산인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의 위치에 대해 살펴본 책이다 기업 내부를 이루는 조직들에 초점을 맞춰 이 조직과 맞물려 권력구조, 정치적 환경,정보의 흐름, 의사결정, 경영의 자율성 등이 성공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화두로 삼고 있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됐다. 1부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기업의 역할, 2부는 기업 안에서 일하는 인적 자원을 인본주의적인 시각으로 살폈다. 3부에서는 전시, 전후의 기업을 분석하며 사회 안에서 기업이 어떤 역할을 해왔고,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 탐구했다. 4부에서는 기업이 앞으로 어떤 방향을 향해서 사람을 생각하며 성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저자 자신의 주장을 밝혔다.
[기업의 개념]에서 제시한 의문들, 기업의 정의, 조직의 구조, 경영의 자율성 등은 현대에도 여전히 생각할 만한 주제다. 단순히 이윤 창출을 위한 기업이 아니라 경영의 바른 방향, 사회 안에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 등 기업에 대한 성찰을 더 발전시키고 싶은 이에게 권할 만한 책이다.

관심있는 대목은 기업을 계속기업 going concern으로 살피고 있는 것이다 주주 노동자 등은 바뀌지만 기업은 생명이 지속되는 존재로서 계속 생존해 갈 수있게 제도가 바뀌고 있다 이는 자본주의에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그만큼 커졌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점의 기술 - 미래 시장을 잡는
밀랜드 M. 레레 지음, 권성희 옮김, 이상건 감수 / 흐름출판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독점의 조건 - 새로운 시장 경쟁자가 있는가 진입장벽을 쌓을수 있는가 소비자를 얼마나 확보할 수있는가 충분한 기간동안 소유할 수 있는가

마이클포터는 독점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를 가져야 한다 이는 차별화와 낮은 원가를 통해 실현가능하다

독점을 통해 독점적 지대를 향유할 수 있다

독점이 목표다 전략은 단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자산독점 - 드비어스

브랜드 독점 - 앱솔루트 보드카

상황독점 - 엔터프라이즈렌터카(잠깐 차 일상생활에서 빌릴때)

고객섬

허브와 스포크 전략

독점창출위해서는 1. 현재의 독점이 가지는 핵심적인 믿음을 의심하라

                           (아맥스 - 신용카드 차지카드 )

2.변화의 힘을 파악하라

 

프로비디언파이낸셜으리 (선불카드)

시나리오 플래닝

스티븐코비 - 어떤일을 하든 성공에 이르는 핵심적인 비결은 마음속에서 마지막을 그려보고 시작하는 것이다

 

독점의 기술이란 책이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워런버핏은 투자 대상을 정할 때 독점력이 있는 기업에 투자한다고 한다 그만큼 독점이 주는 이익은 지대한 것이다 나도 막연하게 앞으로 사업을 하게 된다면 독점력을 가진 어떤 일을 가져야 하겠다고 생각 했었다 자격증을 따서든 정부 인허가를 받든 특허를 가지든  그 방법이 무엇이든 간에 그 방향은 그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책에서 독점이 목표고 전략은 그 수단이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나의 생각가 일치하는 것이다 그래서 흥미롭게 책을 보게 되었다 뭐 생각보다는  그 내용이 구체적이지는 안았지만 ...  가장 관심이 가졌던 내용은 상황독점이라는 내용이다 자산독점이라든지 브랜드 독점등은 일상 접하고 있는 내용이라 잘 아는 내용이였지만 상황독점은 앞으로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는 내용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자재 실물투자 가이드 - 한국인을 위한
이동엽 지음 / 역사만들기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카길 드레퓌스 ADM 번지 앙드레

금 four nine 제품  영국 LBM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역재단이란 무엇인가 - 지역사회 희망발전소 NGO NPO 시리즈
박원순 지음 / 아르케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단이라고 하면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그 공공성이 목적일 것이다.

그 공공성을 지역을 중심으로 펼치는 운동이 지역재단 활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