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점의 기술 - 미래 시장을 잡는
밀랜드 M. 레레 지음, 권성희 옮김, 이상건 감수 / 흐름출판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독점의 조건 - 새로운 시장 경쟁자가 있는가 진입장벽을 쌓을수 있는가 소비자를 얼마나 확보할 수있는가 충분한 기간동안 소유할 수 있는가

마이클포터는 독점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를 가져야 한다 이는 차별화와 낮은 원가를 통해 실현가능하다

독점을 통해 독점적 지대를 향유할 수 있다

독점이 목표다 전략은 단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자산독점 - 드비어스

브랜드 독점 - 앱솔루트 보드카

상황독점 - 엔터프라이즈렌터카(잠깐 차 일상생활에서 빌릴때)

고객섬

허브와 스포크 전략

독점창출위해서는 1. 현재의 독점이 가지는 핵심적인 믿음을 의심하라

                           (아맥스 - 신용카드 차지카드 )

2.변화의 힘을 파악하라

 

프로비디언파이낸셜으리 (선불카드)

시나리오 플래닝

스티븐코비 - 어떤일을 하든 성공에 이르는 핵심적인 비결은 마음속에서 마지막을 그려보고 시작하는 것이다

 

독점의 기술이란 책이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워런버핏은 투자 대상을 정할 때 독점력이 있는 기업에 투자한다고 한다 그만큼 독점이 주는 이익은 지대한 것이다 나도 막연하게 앞으로 사업을 하게 된다면 독점력을 가진 어떤 일을 가져야 하겠다고 생각 했었다 자격증을 따서든 정부 인허가를 받든 특허를 가지든  그 방법이 무엇이든 간에 그 방향은 그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책에서 독점이 목표고 전략은 그 수단이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나의 생각가 일치하는 것이다 그래서 흥미롭게 책을 보게 되었다 뭐 생각보다는  그 내용이 구체적이지는 안았지만 ...  가장 관심이 가졌던 내용은 상황독점이라는 내용이다 자산독점이라든지 브랜드 독점등은 일상 접하고 있는 내용이라 잘 아는 내용이였지만 상황독점은 앞으로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는 내용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