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투자펀드 PEF
최문수.이중완 지음 / 새로운제안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유니버설 은행주의 시대가 가고 본격적인 펀드자본주의 시대가 도래한 시점에서 PEF의 개념 법적의미 운용 방식 리스크관리 투자 방식 등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

합자회사 형태의 사모펀드를 박지원의 허생전을 통해 그 개념을 설명한 점은 탁월한 비유이다. 이로인해 GP LP등의 개념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벤처캐피탈펀드, LBO펀드, 메자닌 펀드, 부실채권펀드 등을 통해 그 운용 방식의 다양성을 설명하고 있다. 보통 인플레이션의 헤지 수단으로 주식투자를 보고 있다. 사모펀드는 그 일환으로 금융자산을 실물자산의 형태로 전환하는 유용한 수단이 된다. 가치평가에서  EV/EBITDA를 통한 산업분석을 통한 저평가 주식을 찾는 방법이 소개 되었는데 유익하다. EV/EBITDA와 PBR, PER 사이의 연관관계를 연구해 볼만하다. 보통 내 주식투자의 원칙은 저 PBR과 PER 인데 수익성을 좀 더 중요시 하는 EV/EBITDA를 통한 저평가 우량주 찾는 방법도 재미있을 것 같다. KKR 칼라일 론스타 블랙스톤 등의 투자 방식을 소개한 것도 유용하다. Capital call 투자자산이 선정되면 납부하는 방식도 이채롭고, SPC를 통해 GP의 무한책임을 유한책임으로 바꾸고 레버리지(200%차입가능)이용하게 한다.

 

 

 

(밑줄 짝)

메나닌 CB BW EB

금융자산을 실물자산으로 바꿔준다

기업실사 Due diligence

합자 회사 형태(GP LP)

영업 위험 재무 위험

EV/EBITDA  PBR   P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