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탄생신화 - 신과 님프의 사랑에 얽힌 식물이야기
홀거 룬트 지음, 장혜경 옮김 / 예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서양의 옛이야기, 그리스 로마 신화를 배경으로 우리가 흔히 지나쳐 왔던 식물들을 다시 바라본다.

판타지 영화나 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님프. 숲의 정령이며 아주 뛰어난 외모를 가진 캐릭터로 주로 묘사 된다. 신비한 모습으로 인간들과는 동떨어진 존재들이다. 식물 탄생 신화와 님프가 무슨 연관성이 있을까 싶지만,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대부분의 식물들의 탄생에는 이 님프들이 아주 깊게 연관되어 있다. '님프란 인간의 모습을 한 정령으로 명백한 여성이다'라고 이 책은 정의하고 있다. 그리스 말로는 '젊은 처녀' 혹은 '신부'라는 뜻이고, '싹' 이라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신들의 왕, 제우스는 바람둥이로 유명하다. 그 때문에 식물 탄생 배경에 가장 많이 등장한 신이 아닐까 싶다. 제우스의 끊임없는 바람과 그에 따른 헤라의 보복으로 제비꽃, 비단향꽃무 등 많은 식물들의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웜우드, 쑥은 부인병에 많이 이용되는 식물이다. 그 효능과 어울리는 탄생 신화가 있다. 여신 아르테미스는 여성을 치유하고 보호 하는 여신이다. 그녀를 따르던 많은 님프들 역시 이 식물들의 이야기에 등장한다.

꽃의 여왕인 장미의 탄생 신화는 장미꽃만큼이나 화려했다. 꽃의 여신인 클로리스는 로마 신화에서 '플로라' 라고 불리며 봄의 화신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리스는 죽어가는 님프를 지키기 위해 님프를 특별한 꽃으로 변신 시켰다. 그 꽃이 바로 장미. 아프로디테, 미의 여신들, 디오니소스, 제피로스 등 많은 신들이 장미에 아름다움과 향기, 매력을 선사했다. 장미는 이것 말고도 몇 가지 다른 탄생신화가 존재한다. 고대인들은 장미를 정신적, 육체적 사랑의 상징이라 여기며 장미를 숭배했다고 한다. 지금도 역시 그러해서, 사랑의 고백에는 장미꽃이 빠지지 않는다. 장미의 꽃말은 열정, 아름다움이라고 한다.

고대에는 석류를 강력한 최음제로 생각했다. 붉은색과 수많은 씨앗 때문 이였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전설 역시 강렬한 이야기이다. 자신의 어머니인 레아를 범하려던 제우스의 시도가 실패로 끝나고, 그의 정자가 바위에 떨어졌다. 그것이 아그디스티스의 탄생 신화이다. 디오니소스가 잠자던 아그디스티스를 습격해 그의 남성을 거세했다. 그때 뿜어져 나온 피에서 석류가 자랐다. 그리고 강의 신의 딸인 님프 나나가 석류 하나를 가슴에 숨겼다가 임신이 되어버렸다는 전설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석류에 관한 미신 같은 풍습이 내려져 오고 있다. 아이가 생기지 않는 부부의 침실에 석류 그림을 붙여 놓으면 임신이 된다는 이야기. 동서양에서 모두 비슷한 속설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석류의 꽃말은 원숙한 아름다움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속의 식물 탄생 배경을 한 곳에 묶어 놓은 책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지금까지 수많은 이야기의 소재로 재탄생 되어오고 있다. 이 책 역시 그 중의 한 부분으로 식물들의 탄생 신화와 여러 신들과 님프들의 사랑과 증오의 이야기가 있다. 식물들의 꽃말 역시 신화에서 비롯되어 온 것 같다. 서양 문화사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영향력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레종 데트르 - 쿨한 남자 김갑수의 종횡무진 독서 오디세이
김갑수 지음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종 데트르', 프랑스어로 '존재이유'라는 의미란다. 제목이 너무 멋지다. 나의 레종 데트르, 나의 존재이유라니! 저자 김갑수 씨의 존재이유는 책과 음악인 것 같다. 나의 레종 데트르는 딱 꼬집어 한두 가지로 정의 내릴 수가 없다. 책도 좋아하지만 텔레비전 보는 것도 그만큼 좋아하고, 인터넷 서핑도 좋아하고 잠자는 것도 좋아하고...... 적고 보니 나는 육신의 안락함, 자극적인 재미만을 추구하는 것 같아서 허무하기도 하다.

'책하고 놀자' 라는 소제목의 글 속에서 저자의 아무거나 세월을 들을 수 있다. 책 읽고 음악을 듣고, 우아한 삶을 살았던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살기위해 먹고, 입는 것은 아무거나 로 해결해야 했다. 그런 세월이 흘러 이젠 자신이 좋아하는 책과 음악으로 먹고 사는 것이 가능해졌다.
나는 그렇게 희생하며 어떤 것에 몰두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 욕심이 많지만 또 그만큼 다른 것에도 욕심이 난다. 잘 먹고 잘 살고 싶다. 다른 건 다 아무렇지 않고 오직 자신이 좋아하는 한 부분에 올인 할 수 있는 열정이 부럽기도 하다.

책을 살펴보면, 열여섯 챕터로 나눠져 있다. 저자가 인상 깊게 읽었던 책들을 16가지 주제로 나누어 놓고 있다. 그런데 첫 번째 챕터가 '성교'라는 제목으로 성에 관한 책을 소개해 놓고 있다. 흥미 유발이나 관심을 끌기 위해선 적절한 주제이지만, 오히려 책의 중반이나 후반부에 어울리는 듯 한 느낌이 든다. 저자의 서평대로 그다지 놀라운 내용도 아닌데 말이다. 단지 흥미유발을 위해 맨 첫 장에 넣은 것이라면 좀 아쉬운 맘이 든다.

책을 읽는 동안 내내 책 제목을 메모 했다. 읽어 본 책도 가끔 나오긴 했지만 대부분 읽지 못한 책 이였다. 저자가 서평 해 놓은 책을 먼저 읽고, 그의 서평을 읽었더라면 더 재미있게 읽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의 재미난 글 솜씨에 그 책들을 보지 못했어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책장을 넘기게 된다. 나중에는 일부러 천천히 읽기도 했다.
나의 레종 데트르는 책읽기야! 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책을 읽어나가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프리카 미술기행 - 인간과 예술의 원형을 찾아서
편완식 지음 / 예담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가장 실망스러운 부분은 책 겉표지였다. 아프리카 미술의 강렬한 색채를 표현하려는 듯 한 빨간 표지. 빨간색이 강렬한 색이긴 하지만 이 단순한 빨간 배경은 아프리카 미술과 별로 어우러지지 않는다. 거기다 작가 세르지의 팝아트 적으로 풀어놓은 아프리카인을 표지 아랫부분에 콱콱 박아놨는데, 글쎄...... 책 속에 아름다운 작품들이 많고 많은데...... 아쉬움이 남는다. 그래도 책 겉표지를 살짝 벗기면 겉표지 보다 훨씬 멋진 속표지를 볼 수 있다.

요즘 여행기에 조금씩 질려가던 터라, 기행이라는 제목이 그다지 반갑지 않았다. 그러나 저자가  문화 전문 기자여서 그런지 그다지 지루한 글은 아니었다. 여행의 촉박한 일정 속에서도 아프리카의 정서를 좀 더 보여주기 위한 노력이 엿보였다. 

미술사에서 아프리카는 그다지 주목받는 지역이 아닌 것 같다. 미술사에 관해선 잘 모르지만 대부분 유명한 작품이나 화가들은 서양, 유럽이나 미국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 중국 미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긴 하지만 동양 미술이나 아프리카 미술은 대부분 주류에서 벗어나 있는 느낌이다. 나 역시 아프리카 미술에 관해서 문외한이고 관심도 없었다.  책 속의 사진을 보고는 아프리카 미술의 강렬함에 매료 되었다. 화려한 색채와 그들의 정서가 듬뿍 묻어나는 작품이 너무나 매력적이다. 원색이 잘 어울리는 사람들이라는 말에 공감이 갔다.

생소한 아프리카 미술 작품이나 공예품을 구경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었다. 거기다 아프리카 남서부의 나마비아. 그 아름다운 사막의 사진이 기억에 남는다. 여행지로 아프리카는 별로 관심 가는 지역이 아니었지만, 그 사막은 꼭 한번 가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 편력 - 청소년판
자와할랄 네루 지음, 최충식.남궁원 편역 / 일빛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권짜리 세계사 편력이 부담스러우신 분들에게 권한다.청소년 판이라고 무시하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읽고 나서 다시 한번 더 정독해서 읽고 싶은 책. 재테크 서적 중 단연 최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