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읽고, 오늘부터 이야기 작가! - 고전을 제대로 읽고 쓰는 방법 지식의 힘 6
윤예영 지음, 홍우리 그림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삼국유사 읽고 오늘부터 이야기작가!>   ( 이하, "삼국유사~" )



이 책의 저자 윤예영은 고전문학과 기호학을  공부하였고, 

"삼국유사 신성친견담"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그림을 그린 홍우리는 회화과를 졸업한 미술 치료사이다.



저자의 말을 보면, 어린이들은 "아직 편견에 물들지 않은 여리한 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 이야기를 잘 만들어낸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 책 "삼국유사~"를 "어린이에게 주는 지도"라고 말하는데, 어떤 보물을 찾는지는 책을 읽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것 같다.



초등학생 단짝인 윤하와 시은이는 학교에서 열리는 대회의 큰 상금(무려 50만원)때문에, 고전책을 살펴보러 헌 책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윤하와 시은이가 방문한 헌책방에는 두꺼운 안경을 쓴 아줌마가 계셨고, 아줌마의 조언으로 '삼국유사'라는 고전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윤하, 시은, 아줌마는 '삼국유사'의 이야기 세계속으로 들어간다.


고전은 오래되고 어려운 책일 것이라는 편견, '어린 왕자도 고전인가?'라는 윤하의 질문 등 아이들이 궁금해 했던 내용들에 대해, 헌책방의 아줌마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이 책이 술술 넘어가는 이유는
'삼국유사'라는 옛이야기를 알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윤하, 시은, 헌책방 아줌마의 대화로 구성된 글이기 때문에 더더욱 잘 읽혀지고 있다.


윤하와 시은이 아이들이 궁금해할 만한 질문을 하면, 그에 대한 답을 아줌마가 해주는 방식이다.

꽤나 깊이 있는 이야기도 곧곧에 있다.
예를 들어 '삼국유사(일연)'이 왜 고려시대, 조선시대 사람들이 즐겨보지 않았는가에 대한, 왜 '삼국유사'를 조선시대 사람들이 경시하였는가에 대한 아줌마의 답변이 그러하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삼국유사'의 기이한 이야기들 , 단군이 1000년을 살았다던가, 곰이 사람이 되었다던가, 알에서 사람이 태어났다던가 하는 등의 이야기를 '괴이'하다며 꺼렸었다.


그러나 반면, 조선의 유학자들은

중국의 하.은.주 등 고대국가의 시조에 대한 이야기는  괴이한것이 아니라 '신이'하다고 했다고 한다.


똑같이  하늘에서 알이 내려오거나 하는 등의 허무맹랑한 이야기인데,  '삼국유사'는 '괴이'하고,  하.은.주의 설화는 '신이'하다니, 이  얼마나 이중적인 잣대인가.

 

헌 책방 아줌마는 '의도적으로 퍼뜨린 이야기일 수 있는 것을'

곧이곧대로 '아하, 그렇구나'하고 믿는 것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주고 있다.


무작정 어떤 이야기를 받아들이기보다는,

편견을 버리고서, 일부러 거꾸로 생각해 보는 방법을 추천해주는 헌책방 아줌마는

나와 어느정도 코드가 맞는 듯 하다.
아줌마의 말 '예언은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란 말에

나도 모르게  '그렇지~!'라는 말이 나왔다.

 


 


책의 곳곳에 '삼국유사'를 읽었다고 생각한 나조차도 몰랐던 내용들이 있었다.
예를 들자면,  김유신이 전생에 고구려의 점쟁이 추남이었다는 이야기라든가,

옛 중국인들이 해와 달을 '큰 새의 눈'이라고 생각했었다는 것,

황룡사 9층 목탑이 무려 80m나 달하는 엄청난 높이의 거대한 구조물이었다는 것 등이다.



특히, 의자왕과 성충의 이야기가 또 다른 재미를 주었다.
과연 의자왕이 정말로 악당이었기 때문에, 삼천궁녀를 죽게 만들고, 백제를 망하게 했는가에 대한 헌책방 아줌마의 이야기는 나도 모르게 '정말 그럴지도'라는 생각이 들었다. 역사는 승자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헌 책방 아줌마는

사람들이 '삼국유사'를 '역사'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허무맹랑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헌책방 아줌마의 말에 의하면, '삼국유사'는  '일연'이 구전되어 오던 이야기를 엮어 편집한 것인데, '역사책의 편집방법'으로 책을 저술했기에  '삼국유사'를 역사서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일정부분은 역사서일수 있으나, 또 다른 부분은 신화이며 설화라는 것이다.


윤하와 시은이가 헌책방 아줌마와 함께

'삼국유사'를 읽으면서  생긴 궁금증을 질문하고, 해소하고,

또 다른 질문이 생기고 하는 과정 자체가 바로 토론이고 논술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윤하와 시은이가 지은  '미랑이와 파노'의 이야기도 책속의 책이 되어, 또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



다시 '삼국유사'를 읽으면서 , 그리고 <삼국유사를 읽고 오늘부터 이야기작가>를 읽으면서,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있다면  그 부분은 신화, 설화로 받아들이고,
역사와 맞닿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은 사실로서 받아들이는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 p.29 ) "삼국유사"를 처음 읽어 보면 역사책 같아. (중략) 당시 역사책 방식으로 편집했거든. 그래서 (중략)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게 (중략) 사실이냐 아니냐를 따지게 돼.

( p.78 ) 이렇듯 예언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인 식이 많아.

( p.104 ) 의도가 있어서 퍼뜨린 이야기일 수 있는데, 사람들은 (중략) 곧이곧대로 믿어 버리곤 하지.

(중략) 그래서 이야기를 들을 떄는 그냥 무작정 받아들이기보다는 의심을 해야 해. 무엇보다 편견을 버려야 하지.

( p.131 ) 황룡사 구층목탑은 높이가 팔십미터가 넘는 커다란 건물이었어. 보통 십 층짜리 아파트가 삼심 미터가 넘는다는 걸 생각해 보면, 황룡사 구층목탑은 그냥 탑이 아니라 빌딩이었던 셈이지.

( p.18 ) 곰이 사람이 된다니 ! 이건 말도 안되는 순 거짓말이잖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