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그들은 가부장적 지배체계가 역사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다면, 달라진 역사적 조건 아래에서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추론한다. 그러므로 여성종속의 보편성에 관한 질문은 150년 동안 전통주의자와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벌어진 논쟁의 중심이 되어왔던 것이다. - P34

역사가들에게 더 중요하고 의미 있는 질문은 어떻게, 언제, 그리고 왜 여성종속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 P35

여성 섹슈얼리티의 특성에 관한 엥겔스의 추론은, 자신이 가진 빅토리아시대의 성차별적 가치관을 여성의 조신함에 대한 19세기적 기준으로 문명발생기 여성의 행위와 태도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검증되지 않은 가설에 반영시킨 것이라고 비판받았다. 그러나 엥겔스는 우리가 사회와 역사 속에서 여성의 지위를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 여성종속의 기원에 대한 의문에 대답하려는 대부분의 이론적 작업들은 엥겔스의 작업을 증명하거나 개선하거나 혹은 부인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 P44

양성의 본성에 대한 엥겔스의 기본 가설은 생물학의 진화론들을 수용하고 있지만, 그의 큰 이점은 성적 관계를 구조화하고 정의하는 데 사회적-문화적 영향의 중요성을 지적한 것이다. ... 변화하는 사회관계와 성적 관계를 연결시킴으로써, 그는 전통주의자들의 생물학적 결정주의와 결별하였다. 사적 소유관계에서 출현하여 제도화된 양성간의 갈등에 주목함으로써 그는 경제-사회적 변동과 오늘날 우리가 성별관계라고 부르는 관계가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엥겔스가 양성관계와 ‘계급적 적대감‘을 동일시한 것은 오랫동안 이론가들이 계급관계와 양성간의 관계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게 막는 막다른 골목이 되어버렸다. - P45

여성의 교환은, 남성들이 여성친족에 대해 특정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데 비해 여성들은 남성친족에 대해 동일한 권리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명시한 친족체계의 사회관계를 간단히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것은 하나의 체계이며, 그 속에서 여성들은 자신들에 대해 완전한 권리를 가지지 못한다. - P47

여성이 하나의 집단으로서 남성 위에서 의사결정권을 행사하거나 혹은 여성이 성적 계약의 규칙을 규정하고 결혼교환을 통제하는 사회는 단 한 곳도 없다.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