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 싫은 공부도 3일만 지속하면 습관이 된다. ... 기억하라! 부신 피질의 방어 호르몬. 아무리 싫은 일도, 스트레스도 3일은 참고 견딜 수 있게 해 준다.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새로운 것을 알게 되는 일이 재미있고 즐겁다는 생각이 든다. 참 신기하다. 그러고 난 후 또 3일, 이제 처음처럼 힘들지는 않다. 뇌는 좋은 것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중략) 아무리 싫은 일도 3일씩 딱 열 번만 계속하면 버릇이 되고 습관이 된다. 이는 뇌과학의 실험적 결론이다. - P43
여러 차례 실수하고 혼나 가면서 힘들게 배운 내용이 기억에 오래 남는다. 그래야 뇌의 개로운 회로가 강고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실패를 두려워 하는 것은 마음일 뿐 뇌는 웬만한 실패는 잘 감당해준다. - P45
뇌에는 좌우로 측좌핵이라는 신경군이 있다. 그리고 이곳에 의욕을 북돋워 주는 신경 세포가 있는데, 이 신경 세포가 활발히 움직일수록 의욕이 넘치게 된다. 문제는 이곳의 신경 세포가 평소엔 활발하지 않아서 스스로 좀처럼 움직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일단 무엇이든 시작해서 이걸 자극해야 한다.그러면 측좌핵이 스스로 흥분해 세포를 더욱 활발히 움직이도록 하는데, 이런 현상을 작업흥분이라고 한다. .....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을 증명한 뇌과학적 근거가 바로 작업흥분 현상이다.기력이 없어서 아무 일도 할 수 없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아무일도 하지 않기 때문에 점점 더 무기력해지는 것이다. - P73
거창한 공부 계획일수록 변연계의 두려움은 더 커진다. 고로 작은 계획으로 시작해야 변연계의 정보 발령을 막을 수 있다. - P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