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랑을 하고 있어
마스다 미리 지음, 박정임 옮김 / 이봄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결혼을 했기에, 이제 이성간의 새로운 사랑은 경험함 일이 없기에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이 씁쓸했다. 먼저는 어설픈 짝사랑과 연애를 하면서 부끄러웠던 나의 과거가 떠올랐고 이런 사랑만 존재하는 게 아닌데 왜 이렇게 피폐하게만 끌고 가는지 아쉬웠다. 사랑과 집착은 종이 한 장 차이라고 믿기에(혹은 경험을 토대로) 사랑보다는 집착과 충동을 이기지 못하는 마음을 쏟아낸 글이 아닌가 싶었다.


마스다 미리의 만화를 좋아하고 모두 소장하고 있지만 에세이는 두 번째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기대를 했지만 역시나 만화가 더 좋다. 아직 마음에 맞는 에세이를 만나지 못한 건지도 모르겠지만 사랑을 주제로 한 에세이를 보면서 씁쓸한 감정을 갖게 될 줄은 몰랐다. 그 씁쓸함이란 게 앞서 말한 것처럼 사랑에 대한 씁쓸함보다 사랑을 풀어내는 저자만의 방식에 실망을 했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좋아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 건 지극히 자연스럽고 상대방의 마음을 얻으려고 하는 노력도 당연하다. 하지만 아무리 그런 마음이라고 해도 애인이 있는 사람의 연락을 기다리고, 모든 걸 알면서도 끌려가고 따라가는 마음을 속속들이 들여다보는 건 불편했다. 그러면서도 그 마음을 아예 공감하지 못한 다는 건 아니었다. 내 사랑을 온전히 줄 수 없을 때(짝사랑이거나, 내가 상대방을 더 좋아한다는 손해감 때문에) 내면은 슬픔과 실망과 절망으로 가득 찰 수 있지만 한 끗 차이로 광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이 책 속의 사랑은 그 모든 게 드러나는 듯하다. 사랑에 대한 깊은 성찰과 절절함보다 일상을 살아가면서, 내게 속한 삶을 영위해 가면서 드러나는 감정들을 가볍게 써내려가는 듯했다. 그래서 한 여자의 내면이 훤히 보이면서도, 그녀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면서도 좀 더 진지하게 신중하게 사랑을 이야기하지 못하는 게 아쉬웠다. 그러면서도 나도 이미 겪었을 숨겨두고 싶은 마음을 들켜버린 것 같아 얼굴이 화끈거린 순간들도 있었다.


새로운 이성간의 사랑은 없겠지만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밀당과 사랑의 표현이 전혀 필요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런 것들이 적당히 드러날 때 결혼생활의 만족감이 높아질 때도 있다. 싱글일 때의 밀당과 사랑과는 종류가 다른 사랑이지만 이미 그 단계는 지나왔으니 마음속으로 혼자만 끓이는 사랑이 아닌 서로 마주보며 하는 사랑을 하려고 한다. 기억하기 싫은 사랑의 번민은 다시 떠올리고 싶지 않으니 현재 주어진 내 사랑에 충실하기로 했다. 그러기 위해 결혼을 한 것이고 그것이 결혼에 대한 최소의 예의라고 생각하기에 연애할 때의 복잡다단한 마음을 그려낸 이 책에 휘둘리지 않기로 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주는 메시지가 확실한 건가? 모순이 주는 의외의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