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강 두레아이들 그림책 2
프레데릭 백 글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두레아이들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자라던 시절과 내 아이들이 자라고 있는 지금을 비교해보면 환경이 많이 파괴되었다는 걸 단박에 알 수 있다. 시골에서 자란 나는 온 들판을 들쑤시고 다니며 눈과 비를 맞고 목이 마르면 수돗물이 아닌 시냇물을 먹었음에도 20대가 될 때까지 병원에 입원해 본적이 없을 정도로 건강했다. 30대 중반인 내가 과거를 언급하는 것도 이젠 고리타분할 정도로 옛 이야기가 되었지만, 방관해도 건강에 이상이 없을 정도로 자란 나와 방관하고 싶어도 자주 아픈 내 아이들을 보면 내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자연을 마구 쓴 것이 몹시 미안해진다. 언제까지 이 자연이 버텨줄지에 대한 불안감을 늘 가지고 있었으면서도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저 인간에 의해 파괴된 하나의 강에 대해 이야기하겠지 싶어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캐나다 퀘벡을 끼고 흐르는 세인트로렌스 강에 대한 이야기인데 강이 인간에 의해 심하게 훼손되고 문명에 의해 터전을 잃어버린 인디언들의 이야기가 씁쓸했다. 나부터도 과거보다 나아지는 문명에 쉽게 적응하며 살면서도 그 대가를 제대로 치르고 있는지, 문명을 만끽할 권리가 있는지 생각해보면 그냥 피하고 싶다는 생각만 든다. 나 혼자 생각해봤자 이 자연을 온전히 보존하기 힘들다는 사실과 지금껏 그래왔듯이 그냥 무관심하게 살고 싶은 생각이 더 짙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세인트로렌스 강에 대한 이야기는 피하고 싶은 현실을 말하고 있다. 그 강에 살아가던 ‘인디언들은 자신들이 먹을 만큼만 물고기를 잡았고, 신이 창조하신 위대한 자연 속에서 동물도 인간의 형제라고 여’기며 살고 있었다. 그런 곳에 문명의 발전을 끼고 다른 대륙의 사람들이 건너왔고 그런 인디언들마저 타락 시켰다. 인디언들은 서로 다른 유럽 국가와 손잡고 부족끼리 싸웠다. 그 안에서 동물들은 죽어갔고 자연은 피폐해져갔으며 자연을 경외하며 살았던 순수한 인디언들의 마음도 황폐해져갔다. 그렇게 자연을 파괴해가며 얻어간 것들은 돈으로 바뀌었고 강은 본래의 모습을 잃어 버렸다. 그게 우리가 살아가야 한다는 이유로 자연에게 행한 일이다.


 

  굳이 이런 이야기를 피하고 싶었던 이유는 세인트로렌스 강이 머나먼 다른 나라의 이야기만이 아니라는 사실 때문이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오랜 과거를 뒤질 것도 없이 우리나라에도 그런 이야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종량제 봉투에 쓰레기를 담아 버리면서도, 성실히 분리수거를 하면서도 저렇게 쌓인 쓰레기들은 도대체 어디로 가는 걸까 하는 생각에 마음이 답답해질 때가 있다. 좋아하는 커피를 마시러 가면서 가끔 개인 컵을 가져가지만 쉽게 쓰고 버리는 일회용 용기들을 볼 때마다 죄책감이 든다. 이렇게 일상을 살아가면서도 이런 마음인데 내가 겪지 못하고 보지 못한 곳곳에서 벌어지는 참상은 얼마나 많을까? 물론 잘 걸러지고 보존되는 곳도 있겠지만 그런 곳보다 훼손되어 가는 것을 보는 것이 더 자주라서 실천할 곳 없는 죄책감만 쌓여가고 있는 것이다.


 

  세인트로렌스 강의 참상을 말하면서 책의 말미에 정녕 그 강은 생명을 잃어버린 것인지 묻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부하게나마 희망을 갖고 싶었다. 인간이 파괴한 강이지만 그런 인간이 다시 회복시킬 거라고 말이다. 얼마의 시간이 필요할지 모르지만 다음 세대에 물려줄 것이라곤 깨끗한 자연이라는 생각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져 그 강을 비롯한 자연 곳곳을 재생시켜낼 거라고 믿고 싶다. 너무 허황된 희망일까? 그렇더라도 내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에 아름다운 자연을 물려주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내가 성장할 때처럼은 안 되겠지만 아이들이 덜 아프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 그런 환경을 만들어주는 게 우리에게 맡겨진 숙제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