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다 - 김영하에게 듣는 삶, 문학, 글쓰기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문학은 성공하는 방법은 가르쳐줄 수 없지만 실패가 그렇게 끔찍하지만은 않다는 것, 때로 위엄 있고 심지어 존엄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그러니 인생의 보험이라 생각하고 소설을 읽어라. (21쪽)


 

  철저히 현실을 도피하기 위해서 소설을 읽노라 말하면서도 이런 책을 만나면 괜히 허리가 곧추 세워진다.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작가의 신작 산문이 나왔으니 한 번 읽어볼까 하며 펼쳤다가 예기치 않은 현실감각을 깨우고 내가 가지고 있는 고민에 대한 충고와 함께 좀 더 진지하게 삶을 대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여러 매체에서의 인터뷰와 강연 대담을 모은 책인데 저자의 생각만 일방적으로 말하고 있는 게 아니라 현 사회를 말하고 그 안에서 과연 우리는 무엇을 보고 어떻게 살아가려 하는지 작가의 시선을 들려주었다.


 

  작가의 시선에서 말하고 있기에 글쓰기와 책에 대한 이야기가 빠질 수 없다. 작가는 무슨 책을 읽고 얼마나 읽으며 어디서 소설의 아이디어를 얻을까란 단계를 뛰어 넘어 문학이 우리에게 무엇을 주며, 팍팍한 세상살이 가운데서도 왜 글을 읽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소시키기도 한다. 단순하게 글을 잘 쓰는 사람이 작가가 아니라 ‘표현력을 독점했다는 게 맞는 말 같’다고 말하기도 하고 ‘소설을 쓴다는 것은 예전에 자기가 읽었던 것에 대해서 응답하는 것’이라며 자신만의 작가 세계를 가감 없이 드러낸다.


 

  그러면서도 ‘대책 없는 낙관을 버리고,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성급한 마음을 버리고, 냉정하고 비관적으로 우리 앞에 놓인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충고도 잊지 않는다. 두루뭉술하게 희망을 가지거나 기다리라는 말보다 현실을 함께 인지하고 타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뭔지 모를 안도감이 밀려오면서 위로가 되었다.


 

  그렇다고 해도 그런 위로가 내게 곧장 닿지 않고 다른 세대 혹은 나와 먼 누군가에게만 닿는다면 그것 또한 낭패가 아닐 수 없다. 책을 좋아하면서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갖다가도 멋진 작품들을 만나면 좌절하다 독자로 남겨져도 감사하다는 생각이 드는 탈출구 없는 번복의 연속성에서 살고 있었다. 그런데 저자는 나의 두려움을 간파한 듯 ‘글쓰기는 우리 자신으로부터도 우리를 해방 시키’며, ‘잊고 있던, 잊고 싶었던 과거를 생생하게 우리 앞으로 데려다 놓’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는 좀더 강해지고 마음속의 어둠과 그것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힘을 잃’는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게 무엇이든 일단 첫 문장을 적’으라고. ‘어쩌면 그게 모든 것을 바꿔놓을지도 모’른다는 조금은 빤하지만 설렌 말도 잊지 않고 말이다.


 

저는 글을 잘 쓰는 것은 기술의 문제도 아니고, 기법의 문제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어떤 순간에 인간이 고요하게 자기 서재, 아무도 침입해오지 않는 고요한 공간에서 자기 자신을 대면하고 정작하게 쓴 글에는 늘 힘이 있고 매력이 있어요. (121쪽)


 

  내가 무엇을 잘 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늘 고민하고 좌절하는 가운데서도 왜 그렇게 시간을 할애해 책을 읽고 리뷰를 쓰는지 몰랐다. 최근에야 그 일을 내가 가장 좋아하기 때문이며 어떠한 결과물을 만들어내지 않더라도 그 행위 자체만으로도 행복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러다 저자를 통해 그 시간이 오롯이 나와 마주하는 시간 때문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사람들은 소설이 그저 재미있어서 읽는다고 생각하지만, 그 작용을 우리가 평소에는 의식하지도 못하고 의식할 필요도 없다는 것, 어쩌면 그것이 소설의 가장 멋진 점 아닐까요? 소설은 적어도 우리에게 그 어떤 것도 강요하지 않는다는 뜻이니까요. (160쪽)


 

  철저하게 독자의 입장에 있다 생각하고 작품을 대할 때 순수하지 못하고 오만하게 대했던 순간들이 떠올라 얼굴이 화끈거렸다. 책을 좋아하면 할수록, 많이 읽으면 읽을수록 순수했던 마음은 사라지고 내 취향은 섬세해지고 더 예민해지고 있었다. ‘‘내가 뭘 원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내가 잘 모르는 바로 그것을 내놓으라’는 게 문학 독자의 욕망인 것처럼 보인‘다는 저자의 말에 좀 더 너그럽고(?) 편견 없이 문학을 대하겠노라 다짐했다.

 

 

  갈수록 살기가 팍팍해지는 현 시대에서 소신껏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이 쉽지 않음을 알고 있다. 현실은 인지하되 어떻게든 되겠지 하고 묵과해버렸기가 더 쉽기에 타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던 게 나의 모습이었다. 그런 나와는 반대로 현 시대를 날카롭게 바라보고 거기서 글을 통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무언가를 하고 있는 저자에게 이전보다 더 한 신뢰감을 보태게 되었다. 그의 글을 통해 한 사람이라도 변화한다면 그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이 아닌가! 그렇기에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경외감이 더 높아져 가지만 우선은 타인이 아닌 내 자신을 진솔하게 바라보겠노라는 진부한 다짐을 하며 오늘을 살아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