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 - 무라카미 하루키 최초의 연작소설, 개정판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유곤 옮김 / 문학사상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상실의 시대』를 읽고 나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철저히 하루키란 작가를 배제하던 내가 그를 다시 보게 된 계기는『언더그라운드』덕분이었다. 그 책을 읽기 전에『1Q84』도 읽었고 그의 단편집도 몇 권 읽었다. 하지만 여전히 저자를 경계하는 마음을 갖다『언더그라운드』를 읽고 나의 편견으로 오해를 하고 있었던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 것이다. 그 이후로 초기작을 찾아 읽으면서 서서히 그의 작품세계를 관망하게 되었다. 1995년 일본 지하철에서 벌어진 독가스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묶은『언더그라운드』가 왜 그렇게 내 마음을 움직였는지 명확히 설명할 순 없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빚은 사건을 현 시대를 살아가는 작가라는 이름으로 지나치지 않았다는 점, 지난하고 힘든 과정이었음에도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꼼꼼히 기록하고 마지막에 나같은 독자도 눈물을 흘리게 만든 진정성에 마음을 열었다는 사실은 명확하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의 최초 연작 소설이자 고베 지진이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이 소설집도 지나칠 수가 없었다.『언더그라운드』가 기록문학의 형태를 띠고 있다면 이 책은 소설이기에 어떤 색깔을 지니고 있는지 궁금했다. 하지만 다섯 편의 단편 모두 고베 지진이 배경으로 드러나지만 자세한 설명이나 현장의 모습이 아닌 고베 지진을 당한 누군가와 관련이 있다는 어렴풋한 연결고리만 드러나고 있었다. 지진의 폐해가 피부로 와 닿기보다 큰 자연재해 앞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인간의 무력감과 고독이 엿보이기도 했다.


  텔레비전 앞에서 지진 소식을 꼼짝하지 않고 보던 아내가 갑자기 떠나 이혼 요구를 하는가 하면, 모닥불 앞에서 한 남자는 아내와 아이가 고베에 살고 있다고 고백하고, 뱃속의 아이를 지우게 하고 자신을 버린 대가로 그 남자가 지진으로 깔려 죽었으면 바라고, 개구리 군과 함께 대지진을 막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판타지적인 요소가 가장 짙었던 작품은「개구리 군, 도쿄를 구하다」였다. 40대 독신남과 함께 땅 밑으로 내려가 거대한 지렁이를 진정시켜야 하는 임무를 수행한다는 이야기는 조금 황당하지만, 그렇게 큰 지진을 겪고 나면 그런 생물이 땅 속 깊이 살고 있을 것 같단 착각이 일기도 할 것 같았다.


자  꾸『언더그라운드』를 언급하게 되는데 기록문학을 만났으니 소설 속에서는 고베 지진이란 사건이 어떻게 녹아들었는지 궁금했다. 처음엔 연작소설, 고베 지진의 정보 때문에 단편 각자가 지닌 색깔과 이야기에 집중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생각했던 것처럼 고베 지진에 대한 세세함보다 그 지진을 지켜봤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드러나자 그제야 소설 자체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었다.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그들의 이야기 속에서 지진이란 사건이 관통함에도 삶을 이어가야 하는 필연을 담고 있다고나 해야 할까?


눈에 보이는 게 반드시 진실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나의 적은 나 자신 속의 나이기도 해요. 나 자신 속에는 내가 아닌 나가 들어 있습니다. (181쪽)


  어쩜 이 모든 이야기는 커다란 자연 재해 앞에서의 무력한 인간보다 ‘자신 속의 내가 아닌 나’를 이겨내야만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인지도 모르겠다. 쉽게 정답을 얻을 수도 없고 방법을 찾을 수도 없지만 그럼에도 앞으로 전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삶의 연속성. 좀 빗겨나간 생각일지라도 이 소설을 통해 삶에 부딪히는 여러 가지 상황과 그에 상응한 각 개인의 태도를 지켜보게 되었다. 그럼에도, 어찌되었건, 삶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지만 말이다.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때론 이겨내야 한다는 사실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