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ㅣ 문학동네 시인선 32
박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2월
평점 :
학교가 파한 텅 빈 운동장에서 질리도록 철봉 매달리기를 한 뒤 예기치 않게 찾아온 어둠. 동네 언니 오빠들과 한참 숨바꼭질을 하고 있는데 우리 엄마만 밥 먹으라고 부르지 않을 때의 적막감. 햇살은 나른하고, 마당에 널어놓은 벼들은 바싹 말라가고, 부모님이 돌아오실 시간은 다 되어 가는데 해 놓으라고 시킨 일들을 시작도 안했을 때의 불안감. 잊고 있었던 이런 감정들이 이 시집을 읽으면서 되살아났다. 표현할 수 없었던 깊은 내면에 감추어진 슬픔. 저자는 이런 슬픔을 알고 있었다. 그리고 마주하고 있었고 그 슬픔을 끄집어내어 시를 쓰고 있었다.
철봉에 오래 매달리는 일은/ 이제 자랑이 되지 않는다// (중략)
눈이 작은 일도/ 눈물이 많은 일도/ 자랑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작은 눈에서/ 그 많은 눈물을 흘렸던/ 당신의 슬픔은 아직 자랑이 될 수 있다//(중략)
나는 좋지 않은 세상에서/ 당신의 슬픔을 생각한다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중
이 시집이 텔레비전에 소개 되었고, 읽어 보고 싶었는데 예약판매 중이라 애가 타던 중 책장을 뒤지다 이미 내게 있었음에 놀라고, 시를 읽으면서 겨우 나보다 두 살 어릴 뿐인데 어떻게 이런 시들을 쓸 수 있는지에 감탄했다. 내 책장에는 시집이 꽤 많은 편이다. 시를 즐겨 읽는다거나 전작할 정도로 좋아하는 시인이 있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시는 어렵게 인식되어 있고 함축적인 언어의 세계에서 헤매기 일쑤다. 그런데도 아주 가끔 시를 읽고 있으면 세상을 달리 보게 되는 시선을 갖게 되는 것 같아 그냥 좋다. 그럼에도 한 권의 시집을 읽어내는 일은 여전히 나에겐 어려운 일인데 그나마 서정적인 시집은 조금은 수월하게 읽고 있다. 서정적인 게 뭐냐고 묻는다면 명확하게 설명할 길이 없지만 쉽게 읽히고 공감 가는 부분이 많으며, 시를 읽다 잠시 허공을 응시한 채 이런저런 생각에 빠지게 되면 그게 나에겐 서정적인 시다.
‘언덕이 튼 살 같은 안개를 부여잡고 있을 때’ 라던가 ‘골목은 사람을 불안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어두운 골목, 사실 사람의 몸에서 그림자보다 먼저 튀어나오는 것은 노래다 울지 않으려고 우리가 부르던 노래들은 하나같이 고음(高音)이다’라고 말하는 시구를 읽고 있으면 책상 앞이 아닌 현장에서 시를 쓴 느낌을 받았다. 출산을 하고 튼 살을 가져본 나는 그 틈을 안개로 묘사하는 시인에게 감탄했다. 그리고 버스정류장과 집이 유난히 멀어서 막차에 내려서 집으로 갈 때면 늘 유행가를 목청껏 부르고 가던 내 모습이 떠올라 마치 같은 기억을 가진 타인이 존재하는 게 아닌가란 착각이 일 정도였다. 어둠을 꾹꾹 밟아 나가고 곳곳에 묻어 있는 슬픔과 남들에게 잘 보이지 않은 고독을 시인은 찾아내고 있었다. 그렇게 찾아내는 것들이 신기해 시를 읽어나갔지만 그래서인지 오히려 이 시집을 아껴 읽게 되었다.
요즘에도 고향집이 배경인 꿈을 자주 꾸게 된다. 왜 이렇게 집이 자주 나오는지 모르겠다고 엄마에게 하소연을 하자 지금처럼 고쳐지기 전의 집의 모습이 나오지 않냐는 물음이 왔다. 놀라면서 그렇다고 하자 집에 대한 추억이 많아서 그런가보다며 내가 가지지 않던 의문을 아무렇지 않게 해소해 주었던 일이 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내가 어린 시절 집에 대한 추억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건 알겠는데 그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명확히 모르겠다. 좋게 기억되는 건지 나쁘게 기억되는 건지 추억에 따라 기억이 다른데 저자의 시를 읽다 보면 그런 추억을 끄집어내어 다시 되돌아보는 것 같고, 어린 시절 온 동네를 쑤시고 돌아다니던 내가 머릿속에 자주 그려졌다. 30대 초반의 시인의 시는 이미 한 시절을 다 살아버린 듯한 되새김과 슬픔과 고독을 익숙하게 드러냈다. 그래서 좀 쓸쓸했지만 그런 느낌이 싫지 않았다. 마치 내가 자주 꾸는 꿈의 연장선인듯 편안했지만 지금의 내가 아닌 것 같은 낯섦이 공존했다. 그걸 무어라 말할 수 있을까? 아무래도 인생을 더 삶아보고 나보다 훨씬 잘 표현하는 사람들의 글을 더 읽어야겠단 생각이 문득 스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