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국가 -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
김애란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박이 침몰한 ‘사고’이자

국가가 국민을 구조하지 않은 ‘사건’이다. (56쪽)

  세월호 ‘사건’이 잊히고 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이 엄청난 사건을 나 또한 많이 잊고 있었음을, 오히려 떠오르지 않으려고 망각의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깨닫고 얼마나 씁쓸해졌는지 모른다. 또한 내가 진짜로 마주하지 못한 세월호 ‘사건’의 숨겨진 진실의 민낯을 만나자 얼마나 비극적인지, 얼마나 불행하고 슬픈 일인지 내 마음에 쿵 하고 다시 한 번 묵직한 고통이 내려앉은 기분이다. 첫 번째로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했던 건 세월호 ‘사고’가 아니라 ‘사건’이라는 사실이었다.

  소설가 박민규는 ‘사고와 사건은 다르다. 사전적 해석을 빌리자면 ’사고‘는 뜻밖에 일어난 불행한 일을 의미한다. 반면 ’사건‘은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거나 주목받을 만한 뜻밖의 일을 의미하는데 거기엔 또 다음과 같은 해석이 뒤따른다. 주로 개인, 또는 단체의 의도하에 발생하는 일이며 범죄라든지 역사적인 일 등이 이에 속한다.(57쪽)’고 명확히 말하고 있으며 그래서 세월호는 ‘사고’가 아닌 ‘사건’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정확한 설명을 듣고 있자니 소름이 돋을 정도로 무서워졌다. 이 엄청난 사건을 우리는 언론을 통해 낱낱이 지켜보고 있었음에도 도대체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무엇이었단 말인가. 하물며 피해자인 세월호 유가족을 시간이 지날수록 가해자로 보는 시선을 거두지 않았던 이 모든 시간의 흐름 속에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이란 말이던가.

  지난 4월 16일, 모든 방송을 장악했던 뒤집혀 있던 배, 세월호가 또렷이 기억난다. 처음엔 모두 구조되었다는 보도를 보며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했다가 탑승인원과 구조자와 실종자, 사망자의 숫자가 오락가락 하다 약 300명의 사람이 실종됐다는 정정 보도를 보며 가슴이 무너져 내렸다. 길을 가다가도 내가 걷고 있는 이 거리가 통째로 물속에 가라앉아서 그대로 수몰되어 버렸다고 생각하면 땅이 빙글빙글 도는 것 같아 가슴이 저렸다. 한동안 차가운 바다 속에 수장 된 그들이 떠올라 바다를 보는 것조차 고통스러웠다. 그런 고통은 나뿐만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 모두를 무기력하게 만들었고 언론의 영향이 컸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짐작할 뿐 나의 부족한 혜안으로 이 사건을 명확하게 볼 능력이 없었다.

  그렇게 시간을 흘러갔고 잊힐 것 같지 않던 세월호 사건은 점점 우리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산 자는 살아야 한다는 이기적이지만 어쩔 수 없는 몸부림에 억지로라도 맡길 수밖에 없었다. 안 그랬다간 이 엄청난 사건에 나 또한 그대로 묻혀 버릴 것 같아 겁이 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월호 사건을 감상적으로만 바라볼 수 없게 만드는 일들이 계속해서 일어났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오히려 국민에게 호소를 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가 그들의 사랑하는 가족들을 구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정하고 보호하고 위로해야 하는데 좁혀지지 않는 갈등만 점점 고조되고 있다.

그러니 ‘이해’란 타인 안으로 들어가 그의 내면과 만나고, 영혼을 훤히 들여다보는 일이 아니라, 타인의 몸 바깥에 선 자신의 무지를 겸손하게 인정하고, 그 차이를 통렬하게 실감해나가는 과정일지 몰랐다.(18쪽)

  세월호 사건을 지켜 본 우리는 과연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을 제대로 이해하려고 했을까? 무엇보다 국민의 마음을 다스리고 추슬러야 할 국가는 이해라는 다가섬으로 그들을 감싸 안으려는 노력을 했을까? 시간이 흐를수록 세월호 사건이 잊히고 있는 가운데 이 책에 실린 문인들의 글은 정신을 바짝 들게 한다. 세월호 사건을 보는 다양한 시각에서 나의 능력 부족으로 제대로 보지 못했던 사건의 진실과 이면들을 낱낱이 만난 기분이었다. 다양한 필자만큼이나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 본 세월호 사건에 대한 시각이 때론 가슴을 찌르기도 하고, 조금은 난해한 비유에 나의 무지를 탓하기도 하며 혼란스러워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세월호 사건을 개탄하고 있음을, 이런 사건이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함을, 얼마나 귀한 생명을 허무하게 잃어버렸는가에 대해 명확히 밝히고 있다는 사실이 이 책의 의미를 관통했다.

세월호 이후의 문학은 이러한 온정주의 금지선들, 그리고 시혜의 논리를 반동적으로 활용하는 감성정치들이 정당한 싸움을 마비시키지 못하도록, 고통받는 이들의 표상을 여러 방식으로 균열시킬 수 있어야 한다.(83쪽)

  평범한 내가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우왕좌왕 흘러가는 세태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고통받고 있을 때 문학이 움직이고 있음을, 이러한 시도가 여전히 진행중이라는 사실이 얼마나 큰 위로가 됐는지 모른다. 세월호 유가족의 고통을 우리는 통감하는 것조차 버겁기에 문학으로 위로를 받고 문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면서 잊지 않으려는 시도가 많이 드러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사람이 국민의 생명을 구할 능력도 성의도 없는 정부에 실로 경악을 금치 못(129쪽)’했던 것처럼 이 나라의 국민으로 살아가야 한다면 앞으로 정부의 행보를 매의 눈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 어이없게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이 나라에 무슨 해를 입히는 존재로 취급받으며,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극단적으로 호소해야만 하는 유가족들이 더 이상 아프지 않게 그들의 고통을 감싸 안아줬으면 좋겠다. 진정으로. 반드시. 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