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터래빗 시리즈 08 : 헝커멍커 이야기 ㅣ 베아트릭스 포터 베스트 콜렉션 8
베아트릭스 포터 글.그림, 김동근 옮김 / 소와다리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참 기어다니는 아이를 키우다보니 매일 청소를 하고 정리하지 않으면 집이 엉망이 된다. 청소를 막 해 놓은 뒤에 아이가 어질러 놓으면 그 상태를 유지하느라 정리하고 뒤 쫓아 다니기 바쁘고, 청소하기 전이면 맘껏 어지르라며 내버려둔다. 특히나 거실에 내 책이 엄청 많은데 그 책들을 빼고 뜯고 망가뜨리면 신경이 예민해진다. 벌써 여러 권의 책 띠지를 뜯고 입으로 망가뜨려버렸다. 사랑하는 아이가 이렇게 해도 짜증을 내야 하는지 인내해야 하는지 늘 갈등이 이는데 전혀 모르는 사람이 우리집을 어질러 놓았다면 어떨까? 상상만해도 피곤해진다.
작은 인형의 집에는 꼬마 인형 루신다와 제인이 살고 있다. 장난감 음식이 잔뜩 있어 요리를 할 필요도 없는 아주 편리(?)한 집이다. 어느 날 루신다와 제인은 외출을 하고 그렇게 빈 인형의 집에 생쥐 부부 톰썸과 헝커멍커가 들어온다. 두 부부는 인형의 집 이리저리를 구경하다 식탁에 맛있는 음식이 차려진 걸 보고 군침이 돈다. 그래서 그 음식들을 먹어보려 노력하지만 하나같이 딱딱해서 먹을 수가 없었다. 장난감으로 먹음직스럽게 만들어진 음식이니 당연했다. 그 사실을 알지 못한 생쥐 부부는 여러 번 음식을 먹으려 시도하다 마음대로 되지 않자 티스푼으로 음식들을 산산이 부숴 버린다.
아무것도 먹을 수 없다는 사실에 너무 화가 나 다른 음식도 부숴 버리고 벽난로에 넣어 버린다. 하지만 벽난로의 불도 가짜라 태울 수가 없었다. 생쥐 부부는 그것도 모자라 온 집안을 돌아다니며 말썽을 피웠다. 옷장의 옷을 창밖으로 던지고 깃털 이불을 모조리 꺼내는 등 말썽을 부리다 깃털 이불을 만들고 싶어 일부를 집으로 나른다. 몇 가지 가구와 아기 침대까지 옮긴 부부는 의자까지 들고 가려다 루신다와 제인이 들어오는 소리를 듣고 후다닥 도망친다. 엉망이 된 집을 본 루신다와 제인은 어안이 벙벙하다. 그도 그럴 것이 어느 한 곳만 난장판이 아닌 온 집안이 엉망진창에다 가구까지 없어졌으니 그럴 만도 했다.
이런 집을 만약 내가 발견했다면 정말 분통터졌을 것이다. 온갖 욕을 해대며 모든 짜증을 내었을 것이다. 하지만 루신다와 제인은 이렇게 만든 이를 무청 궁금해 하며 ‘아니, 이게 다 뭐야.’ 라고 말할 뿐이다. 인형의 집을 가지고 노는 소녀는 인형의 집 앞에 경찰인형을 세워 놓을 거라고 엄마에게 말한다. 소녀의 엄마는 쥐덫도 함께 놓아야겠다고 덧붙인다. 여기서 이렇게 동화가 끝났다면 좀 심술궂은 생쥐 부부의 에피소드로 기억되고 말았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독자들이 생쥐부부를 미워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생쥐 부부는 나쁜 쥐들이 아니며 자신들이 망쳐 놓은 것을 다 물어냈다고 했다. 바닥에 떨어진 동전을 주워 인형의 집에서 가져온 양말에 담아 현관 앞에 놓았음은 물론 이른 아침에 헝커멍커가 일어나 매일 말끔히 청소를 해주었다고 했다.
그리곤 방을 어질러 놓은 사람이 방을 치워야 한다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얼마 전 텔레비전에서 방을 치우라는 엄마와 대충 치워놓고 다 치웠다고 하는 아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것을 본 적이 있다. 엄마는 아이에게 방을 치우라고 하지만 자신의 기준에서 깨끗하고 정돈이 잘 되어 있길 바라고 아이는 자신의 기준에서 편한데로 정리하기 때문에 하나도 어지럽지 않다는 것이다. 그곳이 자신만의 세계이고 자신의 시각에서 정리를 했기 때문에 엄마의 기준을 너무 몰아세우지 말라는 조언이었다. 다음에 아이가 자기 방을 갖게 되면 그런 시선을 갖도록 노력해야겠단 생각을 하지만 잘 지켜질지 의문이다. 그래도 정 안되면 이 책을 읽어보라고 할 참이다. 방을 어질러 놓은 사람이 치워야 하기 때문에 어떤 기준에서든 아이의 노력에 일단 응원을 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