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처방해드립니다
카를로 프라베티 지음, 김민숙 옮김, 박혜림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 읽기 자세는 누워서 보는 거다. 예전에는 엎드려서 보는 게 편했는데 큰 단점이 어깨가 아프다는 거였다. 우연히 독서등을 고정해서 누워서 보는 법을 터득한 후 그 자세로 책을 자주 보는데 양팔로 책을 들어야 해서 팔이 아픈 단점이 있지만 엎드려서 볼 때보다 훨씬 편하다. 그래서인지 책상에 반듯하게 앉아서 책을 보지 못한다. 이런 마음가짐만 봐도 학창시절 학교성적은 불을 보듯 뻔하지만 종종 상상하곤 한다. 누워서 책을 보는 카페가 있다면 자주 가겠노라고. 아마 손님 회전율이 낮아 그런 카페는 금방 문을 닫겠다란 생각이 들지만 말이다. 뜬금없이 독서 자세에 대해 이야기 한 이유는 이 책을 읽다보니 책은 누워서 보는 게 제일 편하다고 말하며 누워서 책을 보는 도서관이 나와서였다.

 

  책 제목만 보면 나에게 맞는 책을 척척 골라 줄 것 같은 병원이나 약국이 나올 것 같지만 표지에서 풍기는 것처럼 이야기는 약간 으스스하다. 무섭다기보단 고딕적인 요소와 상상력이 돋보이는 소설이다. 집을 털러 간 도둑인 루크레시오에게 가짜 아빠가 되어 달라고 제안하는 아이. 사연이 있을 거란 예감도 잠시, 이해할 수 없고 생각하고 싶지 않은 일들이 저택에서 일어난다. 성별을 알 수 없는 대머리 아이 칼비노는 의아해하는 루크레시오와는 달리 아이임에도 세상을 달관한듯한 차분함과 까칠함, 자기 식대로 세상을 바라보는 독특한 시선을 가지고 있다.

 

  집을 털려다 얼떨결에 가짜 아빠 노릇을 하게 된 루크레시오는 아이 엄마의 시체를 보았다고 믿고 집 안에 이상한 장치가 있으며 급기야 피리를 부는 이상한 사람까지 만나게 된다. 저택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이해할 수 없고 이상한 것 투성이라 급기야 더 이상할 것 같은 피리 부는 사람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기까지 한다. 그러거나 말거나 칼비노는 여자 아이로 분하기도 하고 책을 처방해주는 도서관 같은 정신병원에 데려가기도 한다. 그곳에서 책 속의 주인공에게 갇힌 사람들을 보면서 책이 현실을 도피하는 도구가 아님을 깨닫기도 한다.

 

“하지만 책은 우리를 현실에서 멀어지게 만들잖아요.”

루크레시오가 말했다.

“거리를 두게끔 돕는 거죠” (56쪽)

 

  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책이 재밌어서 읽는다고 하지만 실은 현실 도피용으로 이용한다는 말도 함께 보태곤 했다. 이 부분을 읽고 도피가 아닌 거리감을 두는 거라 생각하자 뭔지 모를 위안과 위로를 받았다. 정말 책을 처방해주는 도서관과 약국이 있다면 어쩜 자신의 세계에 갇힌 사람들도 더 빨리 현실세계로 돌아올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을 진지하게 해 본 것이다.

 

  그럼에도 루크레시오에게 일어나는 일들이 석연치 않다. 뭔가 꿍꿍이가 가득한 저택과 알쏭달쏭한 칼비노. 서서히 비밀이 밝혀지면서 책 제목에 따른 내가 생각한 이야기와 거리가 멀어진다는 느낌이 짙었다. 드라마에서 너무 많이 봐 온 출생의 비밀이 있었고 그렇다고 감동이 있다거나 가슴 뭉클한 시간이 있었던 것도 아니다. 출생의 비밀을 몰라온 사람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려는 과정이 좀 독특하고 특이하다는 것일 뿐 책 제목과 썩 어울리는 이야기는 아니란 생각이 든다.

 

  거기다 칼비노는 끝까지 자신의 정체성을 감춘 채 깐깐하게 굴고 있어서 더 맥이 빠졌는지도 모른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좀 더 다르게 생각해 본 게 있다면 책에 대한 나의 마음가짐 정도랄까? 현실 도피용이 아닌 거리감을 두는 용도로 책을 읽는다는 발견만으로도 뭔가 마음이 놓인다. 비록 책 속의 인물들이나 이야기의 흐름이 나의 취향에는 맞지 않았지만 책으로 이런 이야기를 엮어낼 수 있는 저자의 상상력은 참 독특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