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뜨는 나라의 공장 무라카미 하루키 에세이 걸작선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난주 옮김, 안자이 미즈마루 그림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방바닥에 누워 뒹굴 거리고 있는데 문득 무라카미 하루키 에세이가 읽고 싶어졌다. 어떤 계기나 이유도 없이 문득 읽고 싶어 책장에서『해 뜨는 나라의 공장』을 꺼내왔다. 에세이 걸작선으로 재출간 된 다섯 권의 책 중에서 이 책만 못 읽고 있던 터라 다시 꺼내듦이 반가울 정도였다. 작년 이맘때쯤 하루키 작품에 몰두하다 급작스런 출산으로 멈춰버리고 거의 일 년 만에 꺼내든 책이다. 그래서인지 너무 술술 읽혀 어둔 방안에서 독서등으로 새벽까지 완독했다. 무라카미 하루키를 좋아하냐는 질문에 시원한 대답은 못하지만 그의 소설보다 에세이가 좀 더 편안하고 재밌는 건 사실이다. 특유의 끌림으로 꽤 오래 독서를 못하고 있던 나를 단박에 읽게 만드는 능력이 있으니까 말이다.

 

  나 역시 신형철 문학평론가처럼 ‘아무리 하루키가 썼다 해도 공장 탐방기 같은 것은 읽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역시나 보기 좋게 당한 느낌이다. 깜짝 놀랄 만큼 재밌어서 깜짝 놀랐습니다.’란 말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 과연 어떤 작가가 공장 탐방기를 썼다고 읽어보라고 하면 선뜻 읽을 수 있을까? 하루키란 작가에 과한 애정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읽기도 전에 지루하고 고리타분할 거란 생각을 하게 된 것만 봐도 공장이란 곳에 대한 편견과 다큐도 아니고 사진이 적나라한 것도 아닌 글로 읽어야 한다는 부담이 내제되어 있었다. 거기다 글을 여는 첫 공장이 인체모형을 만드는 공장이라니. 나에겐 생소한 공장이기도 했고 그런 공장에 어릴 적 추억을 보태어 거리낌 없이 들여다보고 질문하고 느낌을 남겨놓은 글에 살짝 충격을 받기도 했다. 글의 대상이 중요한 것도 있지만 그것보단 글 쓰는 사람에 따라 글 속에 보이는 것이 확연하게 달라진다는 것을 깨닫게 되기도 했다.

 

  인체모형을 만드는 공장을 시작으로 결혼식장, 지우개 공장, 옷 브랜드 공장, CD 공장 등 다양한 공장을 방문한 기록이 남겨져 있다. 견학의 과정부터 그곳에서의 느낌과 현장의 모습을 담아내려는 애쓰는 모습까지 모두 담겨있다. 무언가 조사하고 그것을 상세하게 기록한다는 의미가 아닌 저자 스스로 궁금해 하던 공장들의 견학이어서 그런지 사적이면서도 객관적으로 전달하려는 노력이 엿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모두 똑같은 형식으로 이러이러한 것을 만들고 이러이러한 모습이었다라고 결론지어 버리면 재미도 없을뿐더러 하루키다운(?) 모습도 아니라고 생각했다. 결혼식장은 어느 신혼부부의 결혼식 상담내용을 보여주다 총 금액에 대한 도표로 마무리하는 등 이걸 견학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질 틈도 없이 상큼(?)하게 끝내 버린다.

 

  지우개 공장을 둘러보고 나서야 지우개의 원료의 대부분이 지우개가 아님을 알고 충격 받고, 농장에 들러 소들의 냉혹한 경제동물의 역할을 보며 씁쓸함을 느끼기도 한다. 그 모든 과정을 우울하거나 겉핧기만 한다던가 너무 자신의 감정에 치우치지 않아(이건 아닌가? 개인적인 감정에 치우친 부분이 많아 더 인간적으로 느끼며 읽었는데!) 어떤 장소가 되었든 비교적 재미나게 읽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글의 대상보다 글쓴이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대상이 달리 보임을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피부에 와 닿는 경험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 글이 쓰인 1980년대 중반이라는 배경을 차치하고 지금은 그 공장들이 과연 남아있을지, 남아 있다면 어떻게 변했는지 궁금증이 일기도 했다.

 

  너무 빨리 읽어버리는 게 아닌가 걱정스러울 정도로 순식간에 읽어버렸다. 일 년 동안 묵혀둔 게 무색할 정도의 독서였고 오랜만에 글자의 향연에 푹 빠질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도 좋았다. 이 느낌이 좋아 역시나 작년에 읽다 만 하루키 에세이를 다시 꺼내들었는데 술술 읽힌다. 한참 읽다보면 질린다고 손 놓아 버릴지 모르나 이렇게 흐름을 탔을 때 하루키 작품을 실컷 읽어두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