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나의 독서는 국내문학보다 해외문학에 편중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조금 독특하거나 신선한 작품을 만나면 금세 알아채는데 겨우 이름만 들어본 황정은 작가의『백의 그림자』가 그랬다. 젊은 작가이고 다른 작품을 읽어보고 싶을 정도로 독특하고 앞으로 지켜보고 싶은 작가. 하나의 작품을 읽고 이런 생각을 가질 수 있을 때 독서에 대한 흥분이 인다.

 

  무척 독특한 소설이었다. 두 남녀의 연애소설로 볼 수도 있지만 철거직전인 전자상가 안에서 들려오는 이야기는 연애소설로 치부하기엔 무게감이 상당하다. 도심 한가운데 전자상가가 있다는 것도 세월이 거꾸로 흐른 듯 시간이 멈춰버린 그곳의 풍경도 요즘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그럼에도 그곳에서 흘러나오는 이야기를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볼 수도 없었고 거리가 멀어 다른 나라 얘기라고 치부할 수도 없었다. 한없이 맑고 투명한 연애소설을 보다가도 선량하게 살아온 사람들에게 처해진 답답한 이야기들이 적당한 무게를 유지한다고나 할까?

 

어딘가에서 다름없는 자신의 모습을 목격했다면 그것은 그림자, 그림자라는 것은 한번 일어서기 시작하면 참으로 집요하기 때문에 그 몸은 만사 끝장, 일단 일어선 그림자를 따라가지 않고는 배겨 낼 수 없으니 살 수가 없다 (20쪽)

 

  은교와 무재의 대화를 놓칠 수 없다. 이렇듯 심오하다가도 연애 밀당의 순수함을 보여주기도 하고 타인의 이야기를 대신 들려주기도 하다. 대화의 구분이 없어 이것이 둘의 대화인지 저자의 생각인지 헷갈릴 때도 있었지만 그런 모호함조차 이 소설에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어딘가 존재할 것 같지만 존재할 것 같지 않은 전자상가의 배경처럼 이 둘의 연애도 흔히 보아온 남녀의 모습과는 거리가 먼 것 같다. 더 순수하게 바라보고 싶고 더 깊고 무게감 있게 바라보고 싶은 묘함. 그들의 대화에서 풍겨오는 분위기는 그러했다.

 

인생에도 성질이라는 것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은 본래 허망하니, 허망하다며 유난해질 것도 없지 않은가, 하면서요. 그런데 요즘은 조금 다른 생각을 하고 있어요. (중략) 이를테면 뒷집에 홀로 사는 할머니가 종이 박스를 줍는 일로 먹고산다는 것은 애초부터 자연스러운 일일까, (중략) 살다가 그러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은 오로지 개인의 사정인 걸까, 하고 말이에요. 너무 숱한 것일 뿐, 그게 그다지 자연스럽지는 않은 일이었다고 하면, 본래 허망하다고 하는 것보다 더욱 허망한 일이 아니었을까, 하고요. (144쪽)

 

  짧은 소설이지만 어느 한 문장도 허투루 지나칠 수 없는 사료(思料)가 들어있다. 보기에 따라 달리 보일 수 있는 문장들. 타인의 생각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의 고민을 하게 만드는 문장들이 쉽게 책장을 넘기지 못하게 했다. 그렇기에 이 작품의 줄거리를 간추린다던가 제목에서 느껴지는 메시지를 찾는다던가 하는 행동들이 때론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있는 그대로 느끼고 받아들이고 나의 생각을 끌어내는 일. 타인의 글을 읽으면서 그러한 것들을 할 수 있다는데서 오는 성취감이 꽤 오랜만에 뿌듯함으로 다가왔다.

 

  그렇기에 나의 이런 주절거림도 이 작품이 어떠했다는 명확함을 드러내진 못한다. 온전히 빨려 들어갔지만 내가 들어간 세계가 어떠했는지 정확히 드러낼 수 없는 몽롱함과 모호함, 그러면서도 읽는 행위에 대한 행복감이 모두 내포되어 있다. 그래서 앞으로 저자의 신작이 나온다면 일부러 찾아서 읽고 싶어지는 그런 만남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