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nowcat in New York - 혼자 놀기의 달인 Snowcat 뉴욕에 가다
권윤주 글 그림 / 열린책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상태에 따라 생각하는 것도 보이는 것도 달라지는 것을 알고 있다. 특히 나에겐 흔치 않은 여행이 그럴 때가 많다. 어떤 걱정도 없이 여행을 즐길 때면 모든 것이 여유롭고 평화스럽고 불쾌한 일이 있더라도 그럴 수도 있다며 수월하게 넘어간다. 하지만 조그만 걱정이 마음을 비집고 오기라도 하면 여행의 즐거움은 찾기 힘들어진다. 모든 것이 시큰둥하고 정신은 딴 데 팔려 있고 여행지를 떠나 내가 속한 곳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두려움이 이는 찜찜함. 그런 기분 따윈 느낄 겨를도 없이 정말 한곳에 오래 머물며 구석구석 내 발자국을 남기는 것. 그것이 요즘에 내가 가진 여행에 대한 소망이다.
가고 싶은 여행지를 꼽으라고 하면 두루뭉술하게 유럽이라고 말한다. 언어의 장벽은 유럽 쪽도 마찬가지나 미국을 비롯한 북아메리카 쪽은 뭔가 구미가 당기지 않는다. 하지만 나보고 몇 달 동안 그곳에 머물러 보라고 한다며 선뜻 그러마고 느긋한 마음을 가진 채 언어의 장벽도 뛰어 넘을 수 있을 것 같다. 스노우캣이 머문 뉴욕을 보니 더욱 그런 욕심이 강해진다. 도시 구석구석을 누비며 추억을 남기고 어울리고 그 안에 속했던 시간들. 그 시간들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이미 내가 그곳에 머물다 온 것처럼 설렘과 포근함이 가득했다.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허세가 내 안에도 내재하므로 커피숍에서 내 입맛에 맞지 않는 쓰디 쓴 아메리카노를 마시면서도 그 분위기를 즐기곤 한다. 더불어 다리를 꼬고 책까지 들고 있으면 말 그대로 허세 가득한 여자가 되어 버리지만 그런 허세를 부려 본적이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결혼과 임신, 출산, 육아에 치이다보니 어쩌다 가끔 그런 여유를 부리러 커피숍에 들어가도 아이의 상태가 변할까 허겁지겁 차를 마시고 나오기 바쁘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보면서 이런 여행을 더 갈망하게 되었고, 여행이 아닌 잠시만이라도 현지인으로 살아볼 수 있다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낯선 사람들과 섞여서 마시는 차와 식사. 내 발자국을 남기며 돌아다니는 골목들. 읽지 못하더라도 서점과 도서관에서 책 냄새를 맡고, 공원 벤치에 앉아 요기를 하고 책을 보고, 잔디밭에 벌러덩 누워 광합성을 하며 낮잠을 자는 것. 이 모든 것을 뉴욕에서 즐긴다고 생각만 해도 가슴이 벅차오른다. 거기다 내가 한때 미친듯이 좋아했던 음악을 이어폰이 아닌 공연으로 만날 수 있다면 그 뿌듯한 삶의 기쁨을 무엇으로 표현할까? 저자처럼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사진을 잘 찍는 것도 아니지만 마음속으로라도 맘껏 간직하고 싶은 상상이었다.
그런 상상을 맘껏 하면서도 저자가 자세히 그려놓은 지리라던가 뉴욕의 풍경들은 지리적 감각이 제로인터라 공감각으로도 온전히 느끼긴 조금 힘들었다. 아마 내가 혼자 그렇게 돌아다녔다면 언어의 장벽에 부딪혀 헤맸을 게 뻔하고 그래서 더더욱 지리적 감각을 키울 생각은 하지 않았을 거다. 그래서 온 뉴욕을 누비고 그대로 전해준 저자에게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이 책을 보는 것만으로도 뉴욕에 갈 수 없음에 절망하지 않고 내가 뉴욕에 조금이나마 가까웠다는 사실에 기뻐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얽매인 게 많아 자유롭게 홀연히 여행을 떠나지는 못하지만 종종 현실의 갑갑함이 짓누를 때 이 책으로나마 뉴욕으로의 여행을 해보려고 한다. 호사를 더 부려 본다면 음악을 들으며 카페에 앉아 다리를 꼬고 바닐라라떼를 마시며 삶에 치이지 않은 척 해본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