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자리
아니 에르노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해질녘에 읽으면 좋은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여름밤에 더 어울리는 소설이다. 책을 다 읽을 즈음에 날이 저물고 창밖으로 풀벌레 소리가 들려오는 고즈넉한 밤을 맞으면 '나의 아버지'가 또렷이 떠오를 것이다. 많은 이야기가 내포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 소설은 아버지에 관한 책이다. 잔잔하게, 절제하면서 아버지의 이야기를 써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나의 아버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열린다.

 

  대부분이 그렇듯 부모님 이야기를 하면 늘 마음 한구석이 편하지 않다. 먼저는 못난 자식으로 부모를 대하는 죄책감과 당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죄책감을 잔뜩 실어주는 작품이 있는가 하면 이 작품처럼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함께 살아온 세월을 되짚어볼 수 있는 작품은 많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서로를 탓하지 않고 아버지와의 추억을 그대로 꺼내놓을 수 있는 일.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는 담담하게 아버지를 미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함께한 세월 속에서 아버지의 위치를 그대로 드러낸다.

 

  무뚝뚝하고 살갑게 대해주지 않는 아버지. 그렇다고 자신을 사랑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런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왔다. 그런 아버지의 삶을 되짚어 보면서, 아버지가 열망했던 삶에 닿아있는 자신을 보면서 아버지를 바라보자 그 간극은 더 멀어져 있었다. 아버지와 나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왔고 함께 한 시간들의 방향이 전혀 다름에도 같아질 수 있다고 착각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아버지를 바라봤을 때 고독하지 않고 서글프지 않다면 좋았을 것을. 나의 아버지가 생각이 났다. 이 작품속의 아버지와는 다르게 어느 누구에게도 회자되지 못하는 나의 아버지. 이 세상에서 볼 수 없지만 어느새 함께했던 시간과 추억이 사그라져버린 나의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아무런 죄책감없이 떠올릴 수 있다는 것이 고마웠다.

 

  어느 날, 그는 이렇게 말했다. 「책이나 음악은 너한테나 좋은 거다. 난 살아가는 데 그런 거 필요없다. 92쪽

 

  내가 누리고 있는 것을 아버지는 경험하지 못했다고, 나와 전혀 다른 삶을 살아왔다고 무시했던 적이 얼마나 많았던가. 이런 한마디가 나의 아버지를 아프게 떠올리게 만든다. 그렇다고 그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버지가 곁에 있건 없건 그렇게 해왔던 순간들을 무마시킬 수 없다. 하나의 기억이 똑같을 수 없고 나의 생각을 관철시킨다고 해도 기억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나의 기억을 조각조각 붙여넣더라도 아버지를 떠올릴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고마웠다. 내 기억속에 잊혀지고 있던 아버지를 다시 꺼내볼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감격스러웠다. 어떠한 삶을 살아왔건 어떠한 상처를 받고 어떠한 환희를 느꼈던 나의 아버지에게 죄책감과 미안함을 동반하지 않고 추억할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