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집 - 갖고 싶은 나만의 공간, 책으로 꾸미는 집
데이미언 톰슨 지음, 정주연 옮김 / 오브제(다산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책을 지나치기 쉽지 않을 것이다. 책이 가득 차 있는 집. 굳이 애서가들이 아니더라도 푸근한 느낌 때문에 한번쯤은 꿈꿔볼만한 집. 나 역시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책을 펼쳐들었다. 그리곤 얼마 지나지 않아 입이 쩍 벌어지고 말았다. 이런 집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라고 평범한 사람들은 이런 집을 절대 가질 수 없다는 사실에 낭패감이 밀려왔다. 이 책의 의도대로 책이 인테리어의 한 영역이거나 전부인 집을 보여주는 데는 충실했다. 그러나 우리는 결코 이런 집을 구경밖에 할 수 없는 것인가. 그 사실이 못 견디게 좌절감을 안겨주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겠다.
거실, 서재, 작업실, 부엌, 식당, 침실 등등 집안의 구석구석에 책과 함께하는 공간을 여과 없이 보여주었지만 무언가가 빠져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친근함, 안락함, 소박함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책으로만' 인테리어를 하는 집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공간, 다른 가구, 액세서리 등이 어우러져야 비로소 책도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장식으로서의 책'을 여실히 보여주었지만 대부분 디자이너들의 집이라던가 유명인의 서재를 보여주면서 일반인은 범접할 수 없는 정제됨이 끝내 무너지지 않아 안타까웠다.
혹여나 이 책처럼 비슷하게 꾸며보고 싶다고 생각해서 펼쳐들었다면 금세 포기하게 될 것이다. 반면 이런 집도 있다는 사실을 즐기려는 목적이라면 눈이 호강할 것이다. 내가 생각한 책 인테리어의 방향에서 벗어나 절망감만 들었지만 오히려 나의 투박하고 소박한 서재가 더 정겹다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여건이 되어서 이런 집을 꾸밀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장식으로서의 집보다 책과 함께 24시간 함께할 수 있는 포근한 집이 더 좋다. 너저분하더라도 딱 봐도 책을 사랑하는 사람의 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단 한 컷의 사진이 없어 아쉬웠다.
다양한 책에 관한 글이 오히려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어서 그나마 위안이 되었다고나 할까? 그렇게 상상했던 공간이 이 책에 실린 사진들인데 왜 현실을 보면 더 암담해졌는지 모르겠다. 아무래도 나도 저렇게 꾸미고 싶은데 그렇게 할 수 없으니 약이 올라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그 와중에도 똑같이는 아니지만 비슷하게나마 분위기를 내고 싶은 거실이 있어 가구점을 찾아가보려고 한다. 비슷한 가구를 구해와도 한정된 공간 때문에 답답해질지 모르지만 나만의 안락한 서재를 꾸미기로 다짐했다. 내 취향에 맞게 책과 살아가는 방법을 제시해 준 책 같아 다시 한번 내 서재를 둘러보게 만들었다. 그렇다고 실현가능성 없음에 너무 좌절하지 않으려고 한다. 간절히 소망하면 온 우주가 도와준다고 하지 않았던가. 지금은 현실에 부딪혀 소망을 접지만 앞으로 내게 주어질 시간 속까지 소망을 접은 것은 아니다. 언젠간, 내게도 그런 시간이 올 것을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