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티컬 매스 - 1퍼센트 남겨두고 멈춘 그대에게
백지연 지음 / 알마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꼭 봄만 되면 병든 닭처럼 시들시들 해지고 의욕이 사라진다. 무엇을 해야 할까. 무엇을 해야 나의 생활에 다시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을까. 이것저것 계획해 보아도 천성적인 게으름 때문에 여전히 집에서만 뒹굴 거릴 뿐이다. 차라리 이럴 거면 힘을 불어넣는 책이나 읽자 싶어 꺼낸 책이 앵커 백지연의 『크리티컬 매스』였다. 제목이 낯설었지만 '1퍼센트 남겨두고 멈춘 그대에게'란 문구가 계속 나를 끌어당겼다. 1퍼센트를 남겨뒀다니? 내가 그랬을까? 무엇을? 조금씩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남들은 모두 뛰어가는 것 같은데 나만 걷고 있는 것 같아서, 혹은 나만 주저앉아 있는 것 같아서 두려울 때가 있다. 그러나 사실, 정말 두려운 것은 내가 도대체 어디로 달려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5쪽)

 

  책장을 열자마자 프롤로그에서, 그것도 첫 문장이 나를 멈칫하게 만든다. 누구나 이런 생각을 해 본적이 있을 것이고, 자신이 무기력한 상태라면 이 문장이 가슴에 콕 박혀 버렸을지도 모르겠다. 예전 같았으면 이런 문장을 보고 바로 책을 덮어버렸을지도 모른다. 보기 싫은, 인정하고 싶지 않은 내 자신과 만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하지만 도망간다고 해서 더이상 갈 곳도 없고,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 내가 놓쳐버린 것이 무엇인지를 차분하게 만나보고 싶었다. 그런데 무언가에 끌리듯, 순식간에 책 속으로 빨려 들어가 버렸고 이렇게 읽어도 되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그 자리에서 책을 다 읽어버리고 말았다.

 

  내가 봉착하고 있는 문제는 '어디로 달려가고 있는가'를 지나왔다면 이제는 '얼마만큼 노력하고 있는가' 일지도 모르겠다. 조정래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던 "자기가 노력한 게 스스로를 감동하게 만들 정도가 되어야 그게 정말로 노력하는 것이라고."란 문장에서 주춤할 수밖에 없었고, 스스로를 감동시키기는커녕 스스로 느끼기에도 노력하지 않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저자는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다르고, 또 무엇보다 이해하는 것과 삶에 '적용하는 것'은 다르다'라고 말하고 있다. 나의 문제점은 늘 그래왔듯이 적용이 부족했으며 순간의 감정을 늘 망각하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기 바빴다는 사실을 깨달아갔다.

 

  저자는 물리학에서 나온 개념인 임계질량의 크리티컬 매스를 우리의 삶에 적용하고 있었다. 크리티컬 매스가 15도라면 15도에 이르러야만 폭발할 수 있는데, 우리는 14도에서 포기해버리거나 그 이하의 온도에서 스스로를 자학하며 밀어내 버린다는 것이다. 그것을 알아차린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그것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나에겐 그런 순간이 있었을까? '서두르면서 답이 없다고, 답을 모르겠노라고 스스로를 들볶지' 말았어야 하는 순간에도 빠른 결과물이 드러나길 바랐다. 많은 사람들이 나와 같은 경험이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사실을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 태반일지도 모른다.

 

  이 책에는 크리티컬 매스에 도달할 때까지 노력하거나, 아예 뛰어넘어 버린 사람들이 많이 나온다. 그 사람들을 보고 있으면 그들의 특출난 능력보다도 끊임없는 노력 때문에 현재의 자리에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물론 타고난 능력이 있으면 크리티컬 매스에 도달하는 시간이 줄어들지는 모르나, 그 기간이 오래간다는 보장은 없다. 끊임없는 노력이 있어야, 삶의 목표가 확실해야, 확실하지 않더라도 부딪히고 시도해 봐야 내가 가고자 하는 크리티컬 매스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내 자신을 구할 사람은 나밖에 없다는 저자의 말처럼, 그 동안 내 스스로에게는 얼마나 관대했는지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얼마나 설렁설렁하게 살고 있는가도.

 

  어쩌면 이 책이 우리에게 명확한 방법을 제시해 주지 않았다고 실망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이 적혀 있더라도 내가 실행에 옮기지 않으면 그것 또한 그대로 남아있을 뿐이다. 크리티컬 매스에 도달할 순간이 코앞이어도 자신에게 관대하며, 노력하지 않는다면 우리에겐 크리티컬 매스의 순간이 멀어질지도 모른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크리티컬 매스로 향하려 하는가. 성공? 명예? 타인의 시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똑같은 이유가 아니라 자기만의 이유를 만들어 갔으면 좋겠다. 스스로의 만족일 수도 있고, 소소한 행복이나 반대로 타인을 위해서 크리티컬 매스를 향해 나아갈 수도 있을 것이다. 목적이 분명하지 않다고 실망할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방향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도전하는 것. 그것도 하나의 멋진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사이 크리티컬 매스에 도달해 있을지 누가 알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