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은 그림 좋은 생각 - 조곤조곤 전하고 소곤소곤 나누는 작은 지혜들
조정육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5월
평점 :
얼마 만에 만나보는 미술 에세이인지 모른다. 미술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보는 건 좋아하는 터라 정기적으로 미술에 관한 책을 만나왔는데, 요즘 들어 통 못 읽은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이 내 손에 쥐어지자마자 바로 펼쳐들었고 외출하는 길에 읽기 시작한 책을 돌아오는 길에 다 읽을 정도로 오롯이 책 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말았다. 그만큼 흡인력 있게, 그리고 친근하게 다가와준 책이었다. 그림을 좋아하면서도 그림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먼저 서두를 붙이는 것은 깊이 때문인데, 이런 책을 만나면 내가 미술에 대해서 잘 모른다는 사실이 부끄럽지 않다. 이렇게 생활 속에서 만날 수 있는 그림을 보게 되면 마치 다른 세상을 만난 듯 즐거워진다. 비록 내가 깊이 있는 조예를 가지지 못했더라도 그림에게 한 발짝 다가가는 느낌. 이토록 자연스럽게 그림을 대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거기다 개인적으로 이 책에 더 의의를 두게 되는 부분은 그림들이 대부분 국내 작품이라는 점이다. 현대그림과 서양화 몇 편 섞여있긴 하지만 우리의 고전 화가들이 그려낸 작품들이 많이 실려 있다. 작자미상인 작품도 있는데, 그린이가 누군지 알 수 없더라도 그림 속에 담긴 생생함이 그대로 전해져 오는 것이 신기했다. 고전 화가들의 그림이라고 하면 보지도 않고 고리타분하다고 느낄 수 있는데, 일상에서 자연스레 끌어와 부담감 없이 접목시키는 점이 매력으로 다가온다. 교과에서만 보던 그림, 견학을 가서 억지로 보는 그림들일지라도 일상과 만나면 이처럼 색다르고 친근하게 다가오는 것에 놀라울 것이다. 평상시에는 어떤 이유를 갖다 붙여도 감상하기 어려운 그림들을 이렇게 편안하게 만날 수 있다는 것이 좋았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지난 3년 동안, 「그림으로 보는 인생」이라는 제목으로 『좋은생각』에 연재한 글이 바탕이 되었다고 한다. 총 4장으로 나뉜 글들은 단락마다 포근한 제목들을 달고 있다. 1장은 '함께 갈 때 더욱 행복하다'인데 정선의 「장안사」를 보면서 숨이 턱 막힐 정도로 나를 돌아보게 될 줄은 몰랐다. 「장안사」란 그림의 일부분만 보면 감동이 잘 전해져 오지 않는데, 「금강전도」를 보고나면 그제야 「장안사」가 어떤 그림인지가 보인다. '골짜기 골짜기를 직접 발로 밟아보고' 그린 그림이라는 느낌이 한 눈에 들어오는 것을 보고 「장안사」만 봤을 때는 절대 느끼지 못할 웅장함과 섬세함을 보았다. 저자는 목적지를 잃어버렸을 때, '그럴 때는 잠깐 멈춰 서서 심호흡'을 해보라고 말한다. '처음 출발할 때 어떤 각오였는지, 어떤 길을 가려고 생각했는지 차분하게 생각해'보라고 말이다. 무심코 지나쳐 버릴 수 있는 그림에서, 현재 나에게 꼭 맞는 충고를 이 책에서 만나게 되었다.
또한 꼭지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명언들도 눈에 띄었다. '함께 보는 그림이 더 아름답다'란 꼭지에서는 '우리의 짧고 덧없는 삶을 살 만한 것으로 만드는 건 고립된 자신을 벗어나 서로에게서, 그리고 서로를 위해서 힘과 위안과 용기를 발견하는 능력이다.(마사 베크)'란 말을 만났다. 어쩜 나에게 이렇게 꼭 맞는 말일까. 어쩜 나를 향해 이토록 적나라하게 전할 수 있단 말인가. 그림을 통해서, 이렇게 짧은 명언을 통해서, 일상을 지배하는 평범하지만 순수한 글을 통해서 나의 내면을 낱낱이 들여다 본 기분이었다. 책 제목의 부제처럼 '조곤조곤 전하고 소곤소곤 나누는 작은 지혜들'이 알알이 내 안으로 박히는 느낌이 나를 떠나지 않았다.
2장 '사랑할 수 있을 때 힘껏 사랑하자'에서는 엄마에 관한 부분이 나의 마음을 뭉클하게 했다. 저자의 어머니는 한글을 깨우치지 못하고 돌아가셨는데, 어머니께 한글을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은 죄스러움을 토로하고 있었다. '그때 만약 엄마가 글자를 깨우치셨더라면 엄마 인생은 어땠을까. 방 안에 앉아 책만 읽어도 그 안에 온 세상이 가득 들어 있다는 희열을 아셨더라면' 이 부분에서 마음이 저릿해졌다. 소학교도 나오지 못한 나의 엄마가 생각났고, 늙어서 한글 배우는 것이 소용 있다며 한글쓰기 책과 동화책을 종종 사다주면서도 많이 신경 써주지 못한 것이 생각났다. 이렇듯 저자는 일상의 소소함에서 그림들을 끌어왔고, 읽는 독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처해있는 부분을 한번쯤 돌아보게끔 만들어 주었다. 뿌듯한 마음, 복잡한 마음, 무언가 나를 더 깊이 바라보아야 할 것 같은 감정만이 책을 덮고 난 다음에도 잔여물처럼 남아 있었다.
우리가 어떠한 것을 보며 알지 못한 것을 알아가고, 느끼지 못한 것을 느껴간다는 것은 축복이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이 매개물이 되어 우리에게 다가온다면 더 즐겁게 만끽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내가 좋아하는 책, 내가 좋아하는 그림으로 이렇게 다양한 감정들을 느끼며 성장해갈 때 진정한 즐거움과 삶의 참 맛을 알게 된다. 그래서 책을 더 사랑하게 되고, 내 삶에서 빼놓지 못하는 것이리라. 책으로 그득한 나의 내면이 참으로 고마운 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