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파 리의 특별한 로맨스
레베카 밀러 지음, 최선희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몇 주 동안 벼렸던 베란다 청소를 했다. 시간은 얼마 걸리지 않았는데도 말끔히 청소를 하고 나니 어찌나 속이 개운하던지. 갑자기 내가 머물러 있는 이 공간이 무척 평안하게 느껴졌다. 책이 가득한 거실하며, 휑하지만 온전히 책을 볼 수 있는 안방, 심지어 먹을 게 없어 텅텅 빈 냉장고까지 모든 것이 평화로웠다. 주말이면 햇살 가득 들어온 거실에 누워 뒹굴 거리며 책을 보는 것이 최고의 여유로움으로 느껴지는 사실이 무척 감사하다. 이런 평안함이 무너져 버릴 거란 불안감 없이 이 공간에, 내 삶에 다른 누군가가 들어왔으면 싶었다.

 

모든 것이 평안하고 만족스러울 때, 불안감이 느껴지는 것. 또한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은 당연한 걸로 비춰진다. 『피파 리의 특별한 로맨스』의 피파 리가 아마 그런 인물이 아닐까? 나이 차이는 나지만 왕성하게 활동하는 편집자 남편, 잘 자라고 있는 쌍둥이 자녀, 그런 가정을 잘 돌보고 있는 피파 리는 어느 것 하나 부족할 것이 없어 보인다. 현재의 그녀는 무척 평안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비춰지지만 그녀가 반추하는 과거의 삶은 결코 평탄하지 않았다. 오히려 과거의 그녀가 현재의 그녀와 동일한 인물인지 헷갈릴 정도로 판이한 삶을 살아온 그녀였다.

 

그녀가 현재의 삶을 유지하고, 예전처럼 살지 않겠다고 다짐한 데는 큰 사건이 있었다. 그녀로 하여금 하나하나 타고 올라오는 기억은, 평탄하지 못했던 가정생활과 현재의 남편을 만나게 되는 일까지 모두 펼쳐진다. 최근에 몽유병이 다시 도지면서 현재의 안락함과 안정감이 조금씩 무너져 아픈 과거까지 모두 떠올리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가정에 무관심했던 아버지, 각성제에 시달리며 자신에게 집착하는 어머니, 피파도 결국 각성제를 복용하기도 하고, 유부남인 선생님과 사랑에 빠지기도 한다. 그런 현실을 뒤로 하고 뉴욕에 사는 고모네로 왔지만 그곳에서도 평탄하지 않았다. 결국 고모네에서도 나오게 되고, 미술을 하는 친구들과 어울리며 섹스 파트너로 남아 밑바닥의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그런 피파의 삶을 돌아보면서도 안심이 되었던 것은 현재의 만족스러운 삶 때문이었다. 과거는 그러했을지라도 현재는 전혀 다른 그녀가 되어 있기에 과거 속으로 함께 들어가는 것이 거북스럽지 않았다. 그녀가 기억하는 과거도 분명 순탄하지 못한 일들의 연속이었지만 불편하게 그려지지 않아 평상심을 유지한 채 모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시 찾아온 몽유병과 이웃의 아들 크리스와 자꾸 얽히는 것에 알 수 없는 불안감이 서서히 엄습했다. 현재의 남편을 얻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 때문에 다시는 과거와 같은 삶을 살지 않겠노라 다짐했던 그녀였는데, 그녀에게 새로운 일들이 일어날수록 균열이 생길 것 같은 불안감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녀의 삶에서 필요한 것은 로맨스가 아니라 현재 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그녀에게 말해주고 싶었다. 분명 크리스는 피파가 당면한 혼란스러움을 가장 잘 이해해주는 사람이긴 했으나, 그로 인해 결혼생활에 누가 될까 되레 내가 더 전전긍긍하게 되었다. 하지만 나를 괴롭혔던 불안감은 피파가 아닌 의외의 곳에서 드러나게 되었고, 책 제목의 ‘로맨스’ 때문에 그녀에게 다른 사랑이 찾아와 혼란을 줄 거란 예상은 빗나가고 말았다. 그녀의 삶에서 로맨스는 빼 놓을 수 없었고, 그래서 그것이 더욱 더 특별한 로맨스가 되었다는 것을 책을 다 읽고 난 후에 깨닫게 되었다. 또렷한 대상이 있어야만 로맨스가 형성된다는 안일한 생각. 그 생각을 깨트려 준 소설이 아닌가 싶다. 


이 소설에서 피파의 로맨스를 빼놓을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로맨스가 중점이 되어 소설을 지배하는 것은 아니다. 로맨스는 피파의 삶을 그리고 이 소설을 돋보이게 만들어 주었고, 오히려 한 여성의 삶을 통해 가정안에서의 어머니의 역할, 인생을 새롭게 개척하려는 의지와 노력, 그럼에도 주어진 삶에 순응해 가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이 소설은 독자 각자가 가지고 있는 성정을 뛰어넘어 변화된 다양한 삶의 한 구석을 충족시켜줄 것이다. 피파의 삶을 통해 자신이 어떠한 길을 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면 그것보다 더 큰 발견을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