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불류 시불류 - 이외수의 비상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10년 4월
평점 :
이외수 작가와의 첫 만남이었던 <외뿔>이 마음에 들어, 그의 신간이 나왔다고 해서 조심스레 두 번째 만남을 가졌다. 그의 책을 마주하면서 조심스러웠던 이유는 수많은 작품 중에서 이제 겨우 두 번째 만남이니 이외수란 작가를 또 다른 틀에 묶지 않길 바랐다. <외뿔>로 인해 저자에 잘못된 이미지를 벗겨 냈으니 혹시나 또 다시 실수할까봐 겁이 났는지도 모르겠다. 더군다나 그의 소설은 아직 마주하지 못한 채 에세이만 연달아 읽으니 이런저런 걱정이 된 것 같다. 한 작가와의 작품을 읽는 다는 것은 시기와 작품의 종류도 무척 중요하다는 것을 알기에, 좀 더 시간을 갖고 여러 작품을 만나며 나름대로의 판단을 하길 바랐다.
나의 걱정과는 달리 책을 펼치자마자 한 번의 쉼 없이 끝까지 읽어버렸다. 이 글을 썼을 저자의 힘겨움 앞에 너무 빨리 읽어버린 것이 민망할 정도였다. 나를 사로잡는 문장 앞에 나름 시간을 갖고 사색에 빠지기도 했으니 책을 읽는 시간에 대한 무색함이 그리 뻔뻔했던 것은 아니었노라고 스스로를 위로해본다. 이 책은 <이외수의 비상법>이라는 소제목도 가지고 있는데, 이런 종류의 책을 읽다보면 주제에 크게 부합 한다기보다 다양한 소재의 글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럼에도 '비상법'을 염두에 둘 수밖에 없는 것은 좀 더 자유로운 영혼을 꿈꿀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외수의 책을 읽다보면 한 노인의 잔소리를 귀찮아하면서도 꾸역꾸역 나름 즐겁게(?) 듣고 있는 형상이다. 저자도 자신을 '노인'이라며 '허허' 거리며 잔소리를 늘어놓기도 하고, 충고도 하며, 객기도 부려보니 나 또한 편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책을 읽은 지 얼마 안 돼 마음에 '쿵' 하고 충격이 온 문장은 '떡밥도 없는 빈 낚시를 일상의 강물에 드리우고 성공이라는 이름의 대어가 걸려들기를 바라는 조사들이여.' 였다. '내 모습이다.'라고 메모지를 붙이며 '이 노인의 눈에는 참으로 가련해 보이네.'란 시선을 맘껏 받아내고 있었다. 그러면서 떡밥 좀 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달라고 반성하던 마음은 금세 사라져 침을 흘리고 있는 나를 보니 더욱 한심해졌다.
반평생 글을 써온 글쟁이의 입장에서, 혹은 인생을 더 살아온 노인의 입장에서 자신만의 비상법을 말하고 생각을 드러낸 것이지, 그것을 날것으로 받아들이면 곤란하다. 현재 나의 상황과 맞는 부분에서는 한껏 받아들여도 되나, 나의 색깔과 맞지 않고 어긋나는 부분에서는 거부감을 일으키기보다 또 다른 의견이 있다고 치부해 버리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그런 읽기 방법이 이 책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된 것 같다. 개인적으로 내 마음에 사랑의 아픔이 내재되어 있어서인지, 저자가 사랑을 논하는 부분에서는 한 토시도 놓치지 않고 눈에 불을 켜고 읽었다. 모두 수용할 수는 없었으나 나의 마음을 울리고, 뒤흔드는 문장들이 많아 위로를 많이 받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런 위로라는 것이 희망을 준다거나 어떠한 기대감을 품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은 자조적인 색감을 띄어 나의 마음과 적당히 버무려야만 효과가 나타났다.
<외뿔>에서 저자의 유머를 경험해서인지 이 책에서는 그의 유머가 신선하다기 보다는 익숙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오히려 유머의 이면을 맛보아서인지 씁쓸하다고 해야 할까? 다양한 소재에 대한 글을 읽다보니 많은 생각들이 뒤섞여 온전히 정신을 차릴 수 없는 기분이 들기도 했다. 유머도 그랬고, 시사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나, 사회현상에 대한 비판까지 마구마구 뒤섞여 정신을 차릴 수 없을 때도 많았다. 대부분 짧은 문장이라 독자에게 문제제기를 남겨둔 채 살짝 모습을 감춰버리는 것 같은 생각도 들었다. 그럴 때마다 그 허전함을 채우고자 메모지에 간단히 나의 느낌을 써서 붙이기도 했는데, '나이 서른이 넘었는데 외울 수 있는 시가 한 편도 없다면 그의 영혼은 얼마나 삭막할까.' 라는 곳에는 '헉!'이라고 짤막하게 메모해 놓은 것을 보며 되레 겸연쩍었다. 명언처럼 툭툭 던져주는 문장들 속에는 이렇듯 나를 찔러대는 글들이 많았기에 메모할 일이 많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렇게 다양한 느낌을 간직하고 있어서인지 이 책을 덮고 나서 내게 남아있는 느낌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순간순간 느끼는 것은 많았지만 남겨진 것이 무어냐고 한다면 정작 대답할게 궁색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정으로 충분한 책이었기에, 또한 그 다양한 문장들을 하나의 느낌으로 엮을 수 없음을 알기에 결론에 큰 의의를 두지 않으려고 한다. 결론이 나올법한 주제도 아니었고, 그런 주제를 던져주지도 않았다. 지극히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담긴 글이고, 그 생각의 펼쳐짐에서 독자가 느낄 수 있고 수용할 것이 많다면 그것만으로 된 것이다. 비상하지 못하고 현재의 수준에서 머무른다고 해도, 자신의 마음을 어느 정도 갈아엎었다면 그것만으로 충분하다. 자못 환상을 꿈꾸며 맘껏 비상하려는 자들에게 '기적은 하나님이 내려주시는 것이 아니라 그대 자신이 만들어내는 것이다.' 라는 말이 도움이 될는지. 오히려 그들의 날개를 꺾는 말일지라도 날개가 꺾인 이들에게 더 큰 힘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