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몽해항로 ㅣ 민음의 시 161
장석주 지음 / 민음사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그리움이 밀려오는 밤이면, 시집을 꺼내게 된다.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언어들로 채워졌다 해도 내 마음을 위로받을 수 있는 문학중 하나는 시(詩)다. 몹시도 고단하고 쓸쓸함으로 채워지던 마음을 부여잡던 밤, 시집을 꺼냈다. 위로를 얻으려 펼쳤다고 하지만, 내 자신조차도 무엇을 얻으려 시집을 집어 들었는지 알 수 없었다. 단지 현재 나를 지배하고 있는 이 마음을 피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펼친 시집이었건만, 시집을 읽는 내내 그리움이 더 짙어지고 말았다. 시집 가득 잠재해있는 그리움과 내가 가진 그리움이 맞부딪쳤기 때문이었다.
시를 무어라 정의할 수 있을까. 보통 사람과 다른 시선으로 일상을 바라보는 것, 모든 것을 시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 것 등등 나름대로 많은 의견이 있다. 그러나 그런 생각들 틈바구니에서도 또렷이 정의되어지는 것은 없는 것 같다. 틀 안에 가두지 않고 자유로운 생각을 짧은 언어라 할지라도, 누가 봐도 수긍할 수 있도록 표현해 내는 것이라고 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 또한 나의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고, 시집을 만날 때마다 하나로 단정 지어지지 않는 자유분방함에 늘 어리둥절해 진다. 몇 권의 시집을 읽었다고 해서 시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안다고 할 수 없지만, 어느 정도 낯익었다 싶다가도 낯선 시집을 만나면 새로움이 샘솟는다. 그래서 더더욱 시를 정의할 수 없는 것이고, 시의 세계에서 여전히 입문하지 못하고 서성거리고 있는 것이리라.
해설을 해주신 문광훈님은 '시는 삶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을 미세하게 관찰하고 생생하게 기억하며 정확하게 기억하면서 인간과 그 주변을 돌아본다.' 라고 했다. 장석주 시인의 시는 문광훈님의 '시'에 부합하는 시였다. 모든 시인들이 '삶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찰하고 생생하게 기억'한다고 해도, '인간과 그 주변을 돌아본다.'는 것을 얼마나 따르고 있는지 의문이다. 아무래도 시에 대한 지식이 없다보니 깊게 들어가 버리는 '인간과 그 주변'에 대해서 알아차리지 못했는지는 몰라도, <몽해항로>에서는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시인은 일상의 자잘함을 모두 시로 승격시켰다. 보통 사람이라면 이웃에게 떠들지 못할 소소함을 시로써 펼쳐놓고 있었다. 그런 시들을 마주하면서, 시에 대한 어려움을 떨쳐버렸을 뿐만 아니라 나의 일상의 자잘함까지 돌아보게 되었다.
2부 앞부분에서는 곤충과 동물들에 대한 짤막한 시들이 나온다. 모기에게 남의 피를 빨며 그렇게 살지 말라고 호통을 치는가 하면, 평생을 손발 빌며 산 파리에게 남루하다는 씁쓸함을 던진다. 달팽이에게는 '사는 것 시들해/배낭 메고 나섰구나.'라고 안쓰러움을 내비치는 시들을 보며, 보통 사람과 다른 시선을 가졌다는 것을 통감했다. 1부의 <뱀을 밟다>에서는 '풀섶에서 일어난 가벼운 접촉 사고다.(중략)/너를 밟은 건/실수였을 뿐이야!'라고 말하는 부분에서는 무릎을 딱 치며 '올 커니!'라고 외치고 싶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논두렁을 걷다 뱀을 밟은 기억이 있었기에, 내 발길질에 놀라 똬리를 푸는 뱀에게 이제라고 그렇게 외치고 싶었다. 당시에는 너무 놀라 걸음아 나살려라 하고 도망친 기억밖에 없고 종종 에피소드로 읊어댈 뿐이지만, 이 시를 빌어 나 또한 그 뱀에게 사과고하는 바이다.
그리움을 달래려다 도리어 시인이 드러낸 그리움과 마주치고 말았다는 나의 고백이 드러났던 시는 <청산에 살다>였다. 시조를 읽는 듯한 착각이 일 정도로, 무위도식하는 삶을 현대판(?)으로 그려냈다고 생각될 정도였다. 자연과 함께하고 싶은 소망가운데서도 나의 감정을 건드렸던 것은 그리움이었다. 자연이 아무리 삶을 위로해 준다고 해도, 그리운 사람 하나 곁에 있는 것만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시집의 곳곳에 그리운 이가 다녀가면 온 몸과 일상에 붙어있는 후유증이 드러났다. 그리운 이가 곁에 있는 것이 늘 행복한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그런 분위기가 드러나는 시를 읽을 때마다 그래도 그 사람이 곁에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일었다. 비단 시인에게만 던지는 소망은 아니었을 것이다.
시집을 덮었을 때는 잠들기에 그리 깊은 밤이 아니었음에도, 스르륵 잠이 들고 말았다. 어지럽게 펼쳐진 꿈속을 헤맸고, 몸을 뒤척이느라 깊은 잠을 자지 못했다. 머리맡에 놓인 시집을 보면서, 나를 어지럽게 한 것이 너였다며 가벼운 면박을 주고 몸을 일으켰다. 머릿속이 몽롱해 정신을 차릴 수 없으면서도, 결국 나를 위로해 준 것이 시였음을 깨닫고 있었다. 북받치는 서운함과 그리움이 범벅이 되어버린 가운데, 약간의 힘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시 때문이었다. 다시 들춰보아도 어제의 간절함과 위로가 다시 샘솟지 않음을 알기에, 비슷한 일상이 찾아오는 날에 다시 펼쳐볼 것을 다짐했다. 그렇게라도 내 곁에 오래도록 머물러 나의 마음을 위로해주길 바랐다. 타인의 삶에 어떠한 간섭을 하지 못할지라도, 알지 못하는 이에게 언어로 위로를 실어 나른다는 사실에 감사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