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냇물에 책이 있다 - 사물, 여행, 예술의 경계를 거니는 산문
안치운 지음 / 마음산책 / 2009년 10월
평점 :
'낯섦'이라는 단어는 긍정적인 의미보다 부정적인 의미가 더 많은 것 같다. 낯선 사람, 낯선 장소, 낯선 환경 등을 떠올려 볼 때, 먼저 드는 감정이 두려움여서인지(적어도 내게는) 이왕이면 익숙한 것에 안주하고 싶어질 때가 많다. '낯섦'이라는 것이 새로운 도전거리를 주고, 용기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동시에 닮고 있으면서도 현재의 나는 '낯섦'에 대해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독서를 할 때도 마찬가지다. 내게 낯선 작가나 낯선 장르, 심지어 낯선 출판사까지 나의 관심을 끌지 못할 때가 많다. 그러나 과감히 낯섦을 뚫고 새로운 세계로 발돋움을 해보면 의외로 괜찮은 책을 만날 때가 많다. 내가 관심 있는 분야의 독서도 충분히 매력을 발산하고 있지만, 종종 곁길로 들어가 새로움을 맛볼 때의 그 짜릿함이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안치운'이란 저자는 낯설 수밖에 없었다. 가을에는 수필이 제격이라 용기를 내어 집어든 책이었으나, 글을 읽기 전에 잘 알지 못하는 저자의 글이라는 것 때문에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수필이라 큰 부담이 없었다 해도 연극계에 몸을 담고 있는 분의 글을 잘 받아들일 수 있을지 걱정부터 앞섰다. 그러나 그런 걱정은 곁길로 들어가는 새로움과 가을이여서 수필이 제격이 아닌, 인간의 내면이 드러나 있는 글은 어느 때 읽어도 진솔하다는 느낌에 순식간에 가려졌다. 그래서인지 낯선 작가와 장르에 도전해 볼 용기를 얻었고, 꼭 새로움을 맛보지 못하더라도 도전만으로도 만족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잘 몰랐던 타인에 의해 도리어 내가 마음을 열게 된 글들을 만나는 것만큼 행복한 독서가 있을까?
가을 들어 더욱 쓸쓸해진 마음 때문인지 저자가 머리말에 쓴 글귀부터 마음에 와 닿았다. '기억의 불안과 부재 속에서 산다는 것은 언제나 쓸쓸하고 외롭다.' 라는 말이 꼭 나에게 하는 것 같아 잠시 멈칫 하면서도, 그 뒤를 이어 '현실이 남루할 때 생은 과거에 지배된다는 것을 절로 깨닫는다.' 까지 내 마음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의 나는 기억의 불안함에 외로워하고, 과거의 나를 떨치지 못해 앞으로 나가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그 사실을 알면서도 인정하기가 늘 껄끄러웠는데, 저자는 아무 거리낌 없이 머리말에서부터 독백 같은 내면을 흘려, 독자에게 마음의 세워진 벽을 허물어 주었다.
[살며], [여행하며], [공부하고] 세 단락으로 이루어진 저자의 글은 한 사람의 내면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살아가고 있는 삶을(각자의 방향은 다르겠지만) 일상과 예술, 문화와 얽어 한쪽으로 기울어진 단편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저자가 몸담고 있는 곳이 연극계인지라 연극에 대한 소견과 자신의 경험담을 다루었지만, 어느 곳 하나 젠체한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면 객관성이 부족해 독자를 불편하게 했던 글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러나 저자는 담담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인지 자랑할 만한 것인 것 같은데도 눈치 채지 못하고 넘어갈 때가 종종 있었다. 거기다 오랫동안 연극 공부를 해오고 현재도 연극인으로 불리면서도, 현실의 연극을 개탄하고 자신이 몸담아온 '연극'에 후회 깃든 혼란스러움을 드러내 보이고 있어, 여전히 자신의 위치를 찾아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 사람으로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수필을 읽고 느낌을 남길 때 가장 난감한 것은 어떤 글이 담겨 있냐를 내비치는 것이다. 단락이 나누어 있어 간략한 설명을 할 수 있을지 몰라도, 글에 담긴 무게를 드러내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그의 글을 읽는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이 글을 읽고 있지 않다는(신간이기에) 색다른 기분과 안타까움이 교차할 정도로 깊이 있고 평정을 유지한 글이었음을 고백하게 된다. 거기다 책 속에 글이 갇힌 것이 아니라 저자와 글, 그 글을 읽는 독자, 글을 통해서 다른 것과 이어지는 연결고리의 폭 넓은 관계를 보았다. 저자의 글을 읽는 동안 책 속에 언급된 다양한 책들을 만나고 싶어 검색을 해 본 것이 내게는 또 다른 즐거움으로 다가왔다. 파리에 유학 가서 만난 책들, 공부를 위해 읽은 책들, 자신이 만난 책들 중에서 좋았던 책들을 많이 언급하며 자신의 생각을 함께 드러내고 있었다. 그럴 때마다 그 책을 읽고 싶다는 욕망이 솟구쳤고, 저자가 그 책을 통해 얻은 것들이 내게도 스며드는 착각이 일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저자가 언급한 책들은 대부분 절판된 책들이어서(다행히도 그 가운데 움베르토 에코의 책이 개정판으로 나와서 반가웠다.). 그 책들을 만날 수 없다는 생각에 아쉬움이 컸다.
저자의 글이 평정을 유지했다고 하지만, 마지막에 드러난 저자의 개탄을 살펴보면 이 책에 실린 글들이 그렇게 밝은 사유(思惟)가 아니었음을 깨닫게 된다. 저자에게 익숙한 연극을 통해서 삶을 비유하고, 자신이 사랑했던 작품을 통해 현실을 드러내 보이는 것에 발랄함을 갖추기란 힘들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을 통해 우울하거나, 삶의 희망을 느끼지 못했다는 푸념은 번지지 않았다. 오히려 진솔한 글로 인하여 내가 당면해 있는 현실을 또 다른 시각을 바라볼 수 있어 위로가 되었다. 나만이 그런 삶을 살고 있지 않다는 위로, 내게 펼쳐진 길이 무엇인지 모르기에 답답하면서도 설렌다는 희망, 인생의 끄트머리에 가서도 후회라는 것을 과감히 할 수 있다는 거칠지 않은 절망의 가능성 모두가 내게는 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힘을 되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