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꾸는 다락방 Special edition - 내일의 성공은 꿈꾸는 자의 몫이다
이지성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독서를 할 때 편독하지 않으려 애쓰지만, 구미에 안 당기는 장르가 있기 마련이다. 문학에 비중을 두고 다른 장르에 조금씩 접근하는 터라 자기계발서는 내게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자기계발 서적을 처음 읽었을 때의 충격을 제대로 끄집어 내지 못한 내 탓도 있을 것이다. 그 후에 읽은 자기계발 서에서 비슷한 방법 제시와 반복되는 말들은 나의 흥미를 여전히 끌어내지 못했고, 자기계발서가 베스트셀러가 되어 인기를 끌 때도 마찬가지였다. 그럼에도 종종 만나게 되는 책들이 있게 마련인데, <꿈꾸는 다락방 스페셜 에디션>이 그랬다.
책을 펴자마자 꼼짝 않고 읽어 버렸지만, 이 책을 꼼꼼히 보았다고 자신 있게 말하진 못하겠다. 눈이 어지러울 정도로 책장은 쉼 없이 넘어갔고, 다 읽고 난 후에는 한참을 멍하니 있었다. 여러 가지 질문들이 나의 내면을 어지럽혔고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이 느낌을 어떻게 정리해야 하는지 알 수 없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꿈을 그려보고 그것을 위해 꿈꾸며 노력하면 이뤄진다는 자기 최면적인 발상에 대한 의심보다, 과연 내가 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란 생각이 나를 더 괴롭혔다. 노트를 꺼내 내가 하고 싶은 것, 그리고 그것들이 현실화 되려면 어떠한 마음과 생각을 가져야 하는지를 써보아도 뚜렷한 한 가지가 떠오르지 않았다.
그렇게 멍하니 고민을 하다 무엇에 홀린 듯 공부를 하고, 벌떡거리는 마음을 주체할 수 없어 책을 읽다 보니 어느새 시간은 새벽 3시를 향해가고 있었다. 날이 밝은 후 어젯밤에 품었던 마음들을 떠올렸지만 생경한 기분만 들 뿐이었다. 나는 과연 무엇을 잡으려 했던 것일까. 나의 꿈을 시각화하고(vivid) 생생하게 꿈꾸면(dream), 현실(realization)이 된다는 것이 이 책의 메시지였음에도 현재의 내게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이 나를 좌절케 했다. 저자는 자기가 이루고 싶은 것을 늘 시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도대체 그것만으로 어떠한 변화가 찾아오는지 알 길이 없었다. 물론 꿈에 이르는 그 치열한 과정은 개개인이 이겨내야 할 자신과의 싸움이 뒤따른다. 그것을 모르는 바 아니기에, 늘 누구나 아는 사실과 실천하기 쉬운 것을 들이대는 자기계발 서를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과연 그 쉬운 실천을 직접 해 본 적이 얼마나 될까. 나 또한 실천하는 것을 진지하게 생각해 본적이 없었고, 평소 같았으면 이 책의 메시지를 대수롭게 흘려버렸을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이 책을 만나서인지, 그 메시지는 나의 내면을 계속 맴돌았다.
<꿈꾸는 다락방 스페셜 에디션>에서는 VD를 이끌어 내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VD를 이끌어 내려는 동기가 가득한 책이었다. 자기계발 서에서 가장 중점 적인 것은 독자들이 동기유발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고, 그 다음은 독자들이 행동할 수 있는 실천의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자칫 잘못하다간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만 듣고, 자기 최면에 걸려 착각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책에서도 그런 면이 전혀 없었다고 말할 수 없는 부분이 종종 보이기도 했다. '자기계발은 대가지불 없는 성공을 다루지 않는다.'라고 했는데, 성공한 사람들의 노력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고 결과만 드러낸다면 많은 사람들이 머릿속에 나의 꿈을 시각화 시키고 꿈꾸며 된다는 식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군다나 책의 초반에 VD=R의 제대로 된 의미를 알려 주지 않아, 이 책을 처음 접하는 나는 답답함을 느끼기도 했다.
거기다 수많은 성공사례들을 나열해서 내가 저 사람들 틈바구니에 있지 못한 것이 나의 노력의 부족과, 꿈 꿀 열정을 갖고 있지 않는 것에 문제제기를 하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해 지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에게 자극을 시키고자, 안타까운 마음에 '당신도 할 수 있다'는 용기를 북돋워 주려는 저자의 의도는 충분히 안다. 하지만 자신의 꿈이 뭔지 몰라 방황하는 사람들에게는 되레 용기를 꺾는 것은 아닌지 노파심 깃든 걱정도 되었다. 눈앞에 VD를 통한 성공사례가 충분함에도 의심부터 하고, 난 꿈이 없다고 좌절하며, 노력하기를 귀찮아하는 나의 마인드가 잘못 된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생각을 듣고, 다른 사람들의 사례를 보면서 한 가지 생각이 계속 떠올랐다. 자기 자신에게 먼저 뜻을 관철시킨 뒤, 주변 사람들에게 품은 생각을 말하며, 그것을 향해 노력 하는 것. 그것은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기도로 신(神)과 대화하는 방법과 왠지 모르게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았던 듯, 저자는 책의 끄트머리에 '성경에서 예수가 말씀하시는 구하고 찾고 두드려야 할 것은 하나님의 나라 즉 성령' 이라고 했다. 자기계발이나 성공이 아니며, 진리를 그르치는 일이 될 것이므로 이런 이야기가 매우 조심스럽다고 했다. 그것으로 내가 생각한 VD와 기도의 차이점을 이해했고, 두 가지가 나의 삶에 어떻게 자리 잡을 것인가에 조금이나마 중점을 둘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침대에 누워 몸을 뒤틀며 자가당착에 빠지고 말았다. 책의 내용을 알겠는데, 그것이 나의 현실과 접목되지 못한 것과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었기 때문이다. 누가 콕 찍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과, 내가 이룬 VD는 하나도 없다며 한숨을 쉬고 있는 찰나, 나의 눈에 들어온 것은 지난여름에 새롭게 정리한 책장이었다. 그 책장을 바라보면서 순간 당황하고 말았다. 20대 초반부터 책으로 둘러싸인 방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과 함께 늘 머릿속에 상상한 것이 현재 내 방이었다. 내가 이룬 VD가 이렇게 떡 하니 있는데도, 알아차리지 못하고 다른 것만 생각했다는 것이 어이가 없었다. 그러면서 이 책장을 만들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을 투자하고, 현실이 될 때까지 늘 시각화하며 꿈꾸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 권씩 책을 그러모을 때마다 나의 기분이 어땠는지, 책들이 늘어감에 따라 책장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모든 추억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그제야 내가 할 수 있는 것,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생각하며 낮은 가능성 하나를 내 안에 집어넣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