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셜록 홈즈 전집 1 (양장) - 주홍색 연구 ㅣ 셜록 홈즈 시리즈 1
아서 코난 도일 지음, 백영미 옮김, 시드니 파젯 그림 / 황금가지 / 2002년 2월
평점 :
주변이 소란스럽거나 무언가에 집중할 수 없을 때, 재미난 책을 펼쳐든다. 그런 소음과 컨디션을 무시할 수 있는 건 역시 나를 다른 세계로 이끌고 갈 흥미진진한 소설이다. 무수한 소음과 집중 저하로 점점 짜증이 솟구치려는 찰나 추리소설을 읽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추리소설이라면 지금 나의 기분을 말끔히 씻어줄 수 있을 것 같았다. 지난 달 지인에게 선물 받은 셜록 홈즈 전집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음은 말할 것도 없다. 1권이 비교적 얇아서 부담이 없어 금방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책을 꺼내는 내 손길이 가벼웠다.
책장 높은 곳에 자리한 셜록 홈즈 전집을 꺼내고 나니 잠시 힘에 부쳐 헉헉대면서도 고운 자태에 반해 조심스레 책을 읽었다. 드디어 나도 셜록 홈즈에 입문을 한다고 생각하니 감회가 새로웠다. 추리소설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음에도 다른 책들을 통해서 셜록 홈즈를 알게 됐고, 추리소설에 매력을 느꼈다. 셜록 홈즈에 궁금증이 솟을 때 적절한 시기에 와준 전집 때문에 약간의 애정을 담아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역시 흥미진진하게 책을 읽어나갈 수 있었고, 셜록 홈즈의 활약을 만끽할 수 있었다. 셜록 홈즈 전집 중 첫 번째 책인 <주홍색 연구>는 왓슨과 셜록 홈즈의 만남을 다루고 있었기에 그들의 활약상이 다른 책에서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증을 불러 일으켰다. 첫 만남이어서 그런지 셜록 홈즈와의 만남과 사건 해결들이 왓슨의 회상으로 기록되어 있다.
왓슨 박사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군의관으로 지내다 부상을 당하고 피붙이라곤 아무도 없는 영국에 와서 지내게 되었다. 그곳에서 하숙인을 구하다가 우연히 같이 근무했던 스탬포드를 만나고 그로부터 셜록 홈즈를 소개 받는다. 셜록 홈즈도 마침 하숙인을 구하고 있었고, 스탬포드가 다소 괴팍한 데가 있다고 설명을 해줬음에도 홈즈를 만나고 나서 그와 같이 하숙 생활을 하기로 맘먹는다. 그렇게 둘의 하숙생활은 시작 되었고, 왓슨은 셜록 홈즈를 나름대로 파악해 본다. 셜록 홈즈가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무척 해박하지만, 교육을 통한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한 경우도 있었다. 그런 점을 지적해 주었음에도 셜록 홈즈는 개의치 않는다. 홈즈는 자신이 하는 일이 탐정 자문이라고 밝히면서 쌓고 있는 지식에 관해 나름 의견을 피력하기도 한다. 그러던 중 기이한 살인사건이 발생했고, 영국 경찰은 셜록 홈즈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자신이 사건해결에 도움이 되어도 결과는 모두 경찰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푸념하면서도 홈즈는 왓슨이 놀랄만한 기민함과 추리로 사건 해결에 일조를 한다.
폐가에서 한 남자가 고통스런 표정으로 죽어 있는 현장을 다녀온 뒤 살인범이 어떠한 인물인지, 그 남자가 어떤 사인으로 죽었는지를 추측해 내지만 주변 사람들은 통 믿지 않는 눈치다. 그러나 살해당한 남자와 동행했던 또 다른 인물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사건은 다시 미궁 속에 빠진 듯 했다. 그러나 홈즈만의 독특함으로 결국 범인을 잡고 그 범인이 왜 그런 살인을 저질렀는지에 대해서는 2부에서 상세하게 펼쳐진다. 상당한 페이지를 할애한 그 이야기 속에는 미국 서부 개척 시대 모르몬교도의 대이동 속으로 흘러간다. 그 안에서 행해지는 종교적인 억압과 탄압은 결국 범인인 제퍼슨 호프의 약혼녀와 그녀의 아버지의 목숨을 뺏어갔고, 그로인해 수십 년 동안 복수를 하기 위해 쫓고 있었음이 밝혀진다. 비극은 2부의 초반부터 예견되었기에 잠시 추리 소설이라는 사실을 잊고, 이야기에 빠져들고 있었다. 모르몬교도들에 의해 사막에서 구출된 훗날 제퍼슨의 약혼녀가 되는 소녀와 그녀의 양아버지는 모르몬교의 병폐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목숨을 구출해 주었기에 순종하고 살아가고 있었지만, 그들 앞에 나타난 제퍼슨을 모르몬교도들은 인정하지 않았고 결국 도망치다 추격을 당해 그녀의 아버지는 살해당하고, 그의 약혼녀는 억지 결혼을 당하고 얼마 후에 죽고 만다. 그 일을 행한 자들에게 대한 복수심에 불타 수십 년간 그들 뒤를 쫓으며 복수한 이야기는 살해 된 두 남자의 결말로 이어졌지만, 제퍼슨의 비극과 모르몬교의 병폐는 씁쓸한 기분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제퍼슨은 두 사람을 살해했기에 죄의 대가를 치러야 했다. 그러나 그는 오래전부터 앓던 지병이 있었고, 그는 감옥에서 목숨을 잃는다. 비극적인 결말이었지만 제퍼슨은 복수를 했기에 맘 편히 잠들 수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사건의 원인이 밝혀지기 전에는 오로지 홈즈만 보였던 시선이 제퍼슨의 과거행적으로 옮겨가면서 많은 감정을 느끼게 했다. 제퍼슨도 나름 흔적이 남지 않는 범행을 저질렀지만, 홈즈 앞에서는 그의 범행이 낱낱이 밝혀질 수밖에 없었다. 거기다 왓슨의 기록이기에 모르몬교, 제퍼슨의 이야기가 많이 포함되어서인지 잠시 추리소설의 흐름이 끊겼다가 이어진 점에 대해서 낯설어 하기도 했다. 그러나 왓슨과 셜록 홈즈의 만남, 셜록 홈즈의 활약상을 보면서 앞으로 이어질 그들의 행보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런 식으로 홈즈를 만나다 보면 전집 마지막을 읽을 때쯤에는 홈즈에 대한 시선과 애정이 상당히 달라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 시기가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지만 차근차근 셜록 홈즈를 읽어나가면서 즐거움을 만끽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