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만경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한동안 일본 소설을 안 읽어서인지, 조금씩 일본 소설이 그리워지고 있다. 그러다 요시다 슈이치의 책을 읽을 기회를 얻어, 가장 먼저 <동경만경>을 꺼내 들었다. 제목을 많이 들어봐서 가장 읽고 싶었던 책이었는데, 읽고 난 후의 허탈감을 어찌해야 할지 난감하다. 깊은 밤, 몰아치듯 읽어버린 소설의 뒤끝이 유쾌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사랑에 관한 명쾌한 답이 없었기 때문일까. 사랑에 대해 명쾌히 들려줄 이야기가 있을까 싶으면서도 기대를 하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나보다. 대리만족적인 사랑이라고 해도, 무언가 가슴 벅찬 이야기가 펼쳐지기를 바라는 것은 내면의 허영일지도 모르겠다.

 

  연애 소설보다 로멘스 소설을 더 좋아하는 것은 과정의 차이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연애소설을 많이 읽거나 로멘스 소설을 많이 읽은 것도 아니지만, 연애소설은 결말에 더 관심이 쏠리고 로멘스 소설은 과정에서 대리만족을 하게 된다. 로멘스의 세세함이 연애소설에서는 듬성듬성 있거나, 훌쩍 뛰어넘어 버리기 일쑤다. 그래서인지 연애소설을 읽다보면 허탈할 때가 많다. 지극히 개인적인 편가름이라고 해도 차라리 과정을 즐기는 로멘스가 더 나은 것이 그런 연유이다. <동경만경>은 연애소설이다. 무언가 확 달아 올라 정점에서 끝나는 소설도 아니고, 스토리의 전개가 빠르거나 선명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새로운 만남이에도 익숙한 사랑, 권태기가 엿보이고 무덤덤한 사랑 얘기에 가까웠다.

 

  미팅 사이트로 알게 된 료스케와 료코. 둘의 첫만남은 너무 싱거웠다. 온라인 상으로 알게 되어 첫 만남임에도 차 한잔 마시고 모노레일을 타고 그걸로 끝이었다. 료스케는 료코에게 끌렸지만, 료코는 자신의 감정을 내비추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서 재회하게 된 두 사람의 모습을 지켜보더라도 도무지 마음을 읽을 수가 없었다. 서로에 대한 감정을 드러내는 것보다 시간의 흐름에 맡겨 버렸고, 타인의 끈질긴 물음에 의해서 조금씩 마음을 드러내는 정도였다. 극적인 상황일 때조차 자신의 마음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서로의 직업, 과거의 사랑, 나이같은 것은 걸림돌이 되지 않았다. 다만 그들은 마음을 굳게 닫고 두려워 하고 있었다. 사랑하면 떠나버릴 것 같은 불안감. 서로에게 '빠지'는게 아니라 '탐닉'의 대상만 되었던 연애기간동안 내내 그들의 마음에 멤돌던 그림자가 바로 그것이었다.

 

  마음을 더 열지 못한 인물은 료코였다. 미팅 사이트에서 알게 되었다고는 하지만, 사귀는 동안에도 본명과 직업을 말해주지 않았던 것에 고의가 있었던 건 아니다. 자신의 마음을 알지 못했기에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을 뿐. 료스케의 전 애인이 그 사실을 말해주기까지 그 사실을 몰랐던 료스케도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에게는 그것 보다 더 미묘한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갈피를 잡을 수 없어 갈팡질팡 했다. 서로의 육체를 탐닉하고, 사랑한다는 느낌조차 무미건조하게 다가오는 그들에게 감정을 터트리는 것은 두려움으로 치닫는 결과를 만들어 낼 것 같았다. 회자정리를 두려워 하는 마음이 그들 뿐이겠냐만은 서로에게 표현할 수 없었다. 말로 하게 되면 실재로 그렇게 되버릴까봐 두려워 했다.

 

  그들의 직장만 봐도 그랬다. 료스케는 도쿄만에 인접해 있는 화물선적 창고에서 일을 하고, 미오(료코의 본명)는 거기에서 1킬로 남짓 거리의 빌딩에서 일을 한다. 바다 때문에 우회 해야지만 닿을 수 있는 두 사람의 일터처럼, 그들의 사랑도 한참을 우회해서 돌아온 듯한 느낌이 든다. 두 사람의 거리를 좁혀주듯 두 곳의 거리가 새로운 노선의 개통으로 가까워지고, 조금씩 두 사람의 마음도 가까워 진다. 끓어오르는 사랑도, 무 자르듯 날선 이별도 없었지만 조금씩 긍정적으로 다가가는 그들의 마음이 그나마 위로가 되었다. 지극히 현실적인 사랑을 말해 주었다는데서 오는 무력감에 한 줄기 희망의 빛이 들어온 듯한 기분이었다.

 

  책 속에는 두 사람만의 사랑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료스케의 첫사랑부터 좋아하지 않는 여자친구과의 교재, 친구 커플의 권태기가 가득한 사랑, 미오의 제대로 된 사랑이 없는 것부터 그 둘을 배경으로 씌여지는 또 다른 소설까지 사랑은 흔하고 넘쳐났다. 그러나 뚜렷히 보이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일상이 늘 똑같이 흘러가는 착각이 드는 것처럼, 늘 내 곁에 자리한 익숙함이 내재된 사랑이었다. 깊은 열정이나 끌림은 없었지만, 누구나 한 번쯤 느끼는 사랑의 모호함을 사실적으로 드러낸 작품이었다. 그래서 더 허탈했는지도 모르겠다. 사랑도 지극한 현실임을 앎에도 환상을 품게 되는 마음에 날개를 달아주었으면 하는 기대가 여지없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사랑은 그렇게 지나가 버렸다. 하지만 또 다른 사랑이 다가오고 있기에 그것만으로도 사랑할 가치가 있다며 스스로를 다독여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