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개의 죽음 그르니에 선집 3
장 그르니에 지음, 지현 옮김 / 민음사 / 199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서점을 갔다. 나의 주머니 사정은 얇팍했지만, 책을 구경한다는 그 생각만으로도 기분이 좋았다. 책을 둘러보다 한 권의 책을 보자마자 뽑아 들었다. 장 그르니에의 <어느 개의 죽음>이었다. 예전에 그 서점에서 <섬>을 사간 적이 있었다. 이름도 많이 들어본 작가에다 그 작품에 대한 명성도 자자해서 무척 궁금했었는데, 서문을 읽다가 덮고 말았다. 너무 어려웠기 때문이다. 알베르 카뮈의 찬사가 그득한 책이었지만, 정작 나는 한발짝도 다가가지 못했다. 지인에게 그 얘기를 했더니 <어느 개의 죽음>부터 읽어보라고 했다. 그 말을 잊고 있다가 서점에서 이 책을 발견한 순간 생각이 난 것이다. <섬>에 대한 추억 때문에 약간 긴장하고 책을 펼쳤는데, 쉼 없이 한 순간에 다 읽어 버리고 말았다.

 

  저자는 자신이 키우던 개, 타이오에 대한 회상을 하고 있었다. 안락사를 시켜야만 했던 아픈 기억과 타이오로 인해 행복했던 기억들이 맞물려 있다. 그리고 타이오의 빈자리에 대한 쓸쓸함이 그대로 드러난다. 짧게 써내려 간 글 속에는 타이오의 이야기가 그득하지만, 그 외의 성찰이 담겨 있다. 타이오를 통해 시각을 넓혀 인간의 삶과 연결 시킨다고나 할까. 타이오의 이야기와 동떨어진 느낌이 묻어나는 글이 있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타이오의 죽음에서 비져 나오는 생각들이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었다. 타이오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면서 그는 '대자연은 우리에게 세상에서의 첫날과 마찬가지로 마지막 날을 선사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누군가의 죽음을 맞이한 뒤 (중략)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피할 수는 없는 일이었을까?' 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동물과 인간 구별없이 던지는 의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까운 지인이나 가족의 죽음을 맞이해 본 사람이라면, 저자의 이러한 심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죽음에 대한 의문도, 타이오에게 던지는 안타까운 마음도 말이다.

 

  그는 자신이 키우던 개의 죽음을 통해 일방적인 결과를 드러내지는 않는다. 개의 죽음으로 인해 슬프지만, 자신이 할 수 있는 건 글로 타이오의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것 뿐이다. 타이오의 이야기는 저자의 이야기가 되어 갔다. 타이오를 기르면서 품었던 자잘한 감정들과 불편, 행복등을 나열하는 그는 애처로워 보인다. 그의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는 한 마리의 개가 떠남으로써 삶이 위축되어 보이기도 한다.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해 안락사를 시키면서 마음 아팠을 그의 내면은 곳곳에 드러난다. '개에 대해서 감상적으로 떠벌이는 것이 우스꽝스러운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했지만, '부드럽고, 바스라져 버릴 정도로 여린 돌조각들에, 단단한 칼날도 무뎌지는 것'의 행태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경험했다고 말하고 있다. 주워다 기른 개에게서 느끼는 애정이 이처럼 남달랐기에 죽음에 대한 그의 마음은 더 처연 했을 것이다.

 

  그가 타이오에 대한 애정과 죽음에 보내는 잔상들도 잔상이지만, 그 안에서 비져나오는 삶의 성찰도 남달랐다. 타이오가 원하는 것을 뿌리칠 수 없음에 선행에 대한 욕구를 말하고, 개가 자신에게 갖는 애착을 통해 인간의 평등한 처우를 보려고도 했다. 오로지 죽음에 대한 슬픔이 가득했다면, 청승맞았을 글이 담담하게 비춘 이유이다. 누구나 한번쯤 자신이 기르던 동물들의 죽음을 경험해 봤을 것이다. 나도 어렸을 적 길렀던 개의 얼굴이 아직도 떠오르며 종종 그리워 할 때가 있다. 나에게는 특별했기에, 학교를 마치고 집에 오니 팔려 버린 개 때문에 무척 슬퍼했었다. 나의 의지와는 다르게 떠나 버린 개에 대한 슬픔은 아직도 남아 있지만, 정과 애착으로 범벅이 된 그리움 뿐이었다. 저자처럼 많은 것을 끌어 당겨 엮으며 생각할 겨를도 없었거니와, 그런 밑거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나이였다. 이제서야 조금씩 함께 한 시간이 행복했다고 고백할 수 있지만, 역시 헤어짐 앞에서는 처연해 질 수 밖에 없다.

 

  저자는 '오직 사랑이란 행위를 통해서만 당신은 당신 자신을 얻을 수 있을' 거라고 말했다. 한 마리의 개의 죽음을 통해 저자는 타이오를 사랑했고, 그 사랑으로 인해 진정한 자신을 만났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를 통해 드러나는 타이오에 대한 추억은 철처한 타인의 기억이지만, 그 추억이 아름다운 건 사랑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 사랑 때문에 저자는 타이오와 함께 한 시간이 즐거웠고, 타이오가 없는 생활 속에서도 타이오를 추억하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내 주변의 사라짐에 대해서 이렇게 처연해 질 수 있다면. 저자의 슬픔까지도 부러워지는 아직도 철이 덜든 나 인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