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로콩밭에서 붙잡아서 - 제10회 소설 스바루 신인상 수상작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15
오기와라 히로시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현실을 잊고 싶을 때 하는 독서가 있다. 도피성 독서다. 나의 머리속은 어지러우니 그 모든 것을 잊을 수 있을 만큼 재미나고 유쾌한 책을 찾아서 읽는 것. 그것이 내가 자주 행하는 도피성 독서다. 이번에 선택된 책은 일본소설이었다. 가독성이 높고 가볍게 읽을 수 있어, 내 손길을 기다리고 있는 수 많은 책들 중에서 지인의 추천을 받아 읽게 된 책이다. 말은 현실 도피를 위해 읽게 된 책이라고 했지만, 큰 기대는 없었다. 나름 일본 현대소설을 많이 접했기에 어느 정도의 분위기는 간파하고 있다 생각했다. 그래서인지 이런 책을 만나면 기분이 좋다. 나의 예상을 여지없이 깨주는 책. 깊은 밤 혼자서 미친 사람처럼 키득거려도 마냥 즐거운 책. 이 책이 바로 그런 책이었다.

 

  책의 배경이 되는 곳은 일본의 깡촌 중의 깡촌, 우시아나 마을이었다. 일본 사람들도 잘 모르는 강촌마을에서 '마을 맹글기'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도쿄에서 대학을 나온 마을 최고의 앨리트 청년회장 신이치가 뱉은 한마디 때문이었다. 인구가 300명 밖에 안되는 도시에서, 그것도 젊은 사람들은 야구팀도 안되는 인원으로 어떻게 '마을 맹글기'를 감행 한다는 것일까. 신이치는 마을 청년들에게 도쿄에서 광고대리점을 하는 대학친구에게 일을 부탁해 보기로 한다. 그렇게 그들은 도쿄로 향한다. 하지만 그들에게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으니 바로 언어였다. 

 

  이 책에서 가장 먼저 나를 웃겼던 것도 그들의 사투리였다. 지역상으로 구분해서인지 이 책에는 충청도 사투리가 실려 있었다. 충청도에 살지는 않지만 억양과 말투가 익숙하기에 나도 모르게 그런 뉘양스로 책 속의 사투리를 읽어 나갔다. 그러다 보니 인물들의 개성이 톡톡 살아나며, 마치 내가 그 말투를 쓰고 있는 것 같아 책 속 배경으로 빨려 들어갔다. 하지만 오지 마을 중에서도 오지 마을이라 통역이 없으면 그들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나마 도쿄에서 학교를 나온 신이치가 있었기에 '마을 맹글기' 프로젝트가 나왔던 것이고, 도쿄 말을 엇비슷하게 할 수 있었기에 도쿄로 일을 의뢰하러 간 것이다. 신이치가 없다면 같이 간 사토루나 우시아나 마을의 말은 외국말이 되어 버릴 정도로 독창적인(?) 사투리였다. 다행히 신이치 덕에 대학친구의 회사로 찾아가지만, 그들의 행색과 취지를 들어본 친구는 무시할 뿐이었다. 그대로 고향에 돌아갈 수 없어 다른 회사를 찾던 중 도산 위기 직전의 '유니버설 광고사'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대망의 '마을 맹글기'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책 읽기에 즐거움을 더해 주었던 것은 광고캠페인 제작 경로 순으로 스토리가 전개 된다는 점이었다. 간략한 설명이 곁들어진 소제목은 이야기의 흐름에 재미를 더해 주었고, 정말 그들이 하는 일이 제대로 된 광고캠페인을 벌이는 것 같은 착각까지 하도록 만들었다. 도산 위기의 '유니버설 광고사' 사람들이 우시아나 마을을 방문하고, 말도 안되는 기획안을 내놓는 과정도 제작 순서대로 소제목을 달아놓으니 제법 그럴듯 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읽는 재미에만 매달릴 수는 없는 법. 도대체 우시아나 마을을 무엇을 통해 알릴 것인가. 아무리 이리 뒤지고 저리 뒤져도 광고로 앞세울 만한 것이 없었다. 그래서 급기야 마을에서 가장 그럴듯해 보이는 마을 호수에 공룡을 띄우기로 한다. 조잡하게 만든 공룡 속에 광고사 사장이 들어가고, 그 모습을 멀리에서 사진을 찍었다. 호수 근처에 살고 있는 자칭 아마추어 사진작가 사토루가 우연히 발견한 척 꾸며서 언론에 흘렸다. 우시아나사우루스의 출현이었다. 그런데 그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그 후로 우시아나 마을은 전국에서 온 취재진도 모자라 해외에서 온 취재진까지 북새통을 이룬다. 그리고 취재를 나왔던 일본 최고의 미인 아나운서가 사토루에게 시집을 오는 일까지 생긴다.

 

  하지만 가짜 공룡 사건은 오래가지 못했다. 공룡사건의 거짓을 추궁하기도 전에 아나운서와 사토루의 결혼이 이슈가 되어서 어영부영 넘어가 버린다. 유명 아나운서의 농촌 다이어리가 도시 여성들에게 붐을 일으키기도 하면서 우시아나 마을은 여전히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시아나 마을이 그렇게 묻혀 버리면 재미 없다는 듯이 오래전에 멸종된 도도새를 우시아나 마을에서 발견한다는 복선을 깔아놓은 채, 책은 그렇게 끝이 난다. 깡촌의 사투리와 어처구니 없는 공룡사건을 통해서 낄낄 거렸지만, 그렇게라도 도시 사람들에게 우시아나 마을을 알리고 싶었던 사람들의 모습에 한편으로는 측은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우시아나 마을 같은 곳은 이제는 너무 흔하다. 순박함으로는 마을을 지켜갈 수가 없고, 생계의 위협까지 받는다. 그래서인지 공룡을 출현 시키자는 생각은 황당하면서도 치열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이제는 친근한 곳으로 변해 버린 우시아나 마을. 오늘은 어떤 모습일까 상상하면서, 내 생활에서의 이슈거리는 없는지 돌아보며 하루를 맞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