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은 언제나 금요일은 아니지!
호어스트 에버스 지음, 김혜은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마주하고 보니 추억 하나가 떠오른다. 한참 책에 대한 열망이 들떠 있던 시절, 친구가 이 책을 선물해 달라고 해서 준 적이 있었다. 그 당시에는 내가 읽지 않은 책을 선물해 준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기에(무조건 내가 읽은 책을 선물 해야 했으며, 읽지 않은 책은 읽고서라도 줬다. 선물할 책을 읽는 다는 것은 중고책을 만들어 버리는 행위라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기에 저지른 만행이었다.) 조금 읽어볼까 하는 마음으로 읽었었다. 그러나 조금 읽다가 집중이 안되어서 곱게 덮어서 선물을 했는데, 그 책을 다시 만났다. 다시 만나기 힘든게 읽다 만 책인데, 재발행으로 다시 만나게 되어서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책을 읽다 보니 그런 생각이 들었다. 왜 예전에 이 책이 읽히지가 않았을까. 재미없는 책이라고 치부해 버리고 덮어버렸을까 라고. 아마 그 때는 나와의 만남이 유쾌할 조건이 되지 못했나 보다. 문학에만 열과성의를 보였던 내가 이런 분위기의 책을 흡수할 여지가 없었던 것 같다. 한편으로는 이제서야 이 책을 다시 만나게 된 인연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흥미가 없었던 책이 지금은 아주 유쾌하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호어스트라는 남자가 있다. 그는 아주 게으르고 보통 사람이라면 발견하기 힘든 유쾌함과 엉뚱함을 가지고 있다. 그런 일상을 지켜보면서 세상엔 다양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를 알아가면 갈수록 진솔한 유쾌함에 웃을음 터트릴 수 밖에 없었다. 타인의 삶을 엿본다는 것은 경직된 자세로 일관하기 일쑤다. 나 또한 호어스트라는 게으른 남자에 전혀 흥미가 없었으며, 그에게 열게 된 마음이라곤 침착한 상태로 그를 만나보자가 전부였다. 다른 사람이 신경을 쓰던 말던 자신의 일상과 흩어지려는 상념들을 엉그러 모은 이 책을 읽다보니 그의 내부로 들어가 비로소 본질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호어스트 씨가 나에게 웃음을 터트리게 만들어 주었던 건 상식을 뛰어넘는 행동과 생각 때문이었다. 나의 일상에서 만나기 힘든 사건들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 모든 사건을 만들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응대해 가는 호어스트 씨에게 마음을 열게 된 것이다. 보통 사람들이 꼭꼭 닫고 다니는 생각의 틀을 반쯤 흘리고 다니는 호어스트 씨. 자잘한 일상의 가벼움을 담고 있다가도 허를 찌르는 그의 유머는 어처구니가 없으면서도 간과할 수 없는 웃음을 유발시키고 있었다. 그 웃음의 이면에는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해 봄직한 사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었다. 게으름에 몸부림 쳐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이며, 자신의 상상속에서 주무르고 싶은 세상을 가꿔보지 않은 자가 없을 것이다. 우리가 머리 속에서만 흩뿌려 버리는 생각들을 호어스트씨는 당당히 헤쳐 나가고 있었다.
이 책은 5년에 걸쳐 만들어진 이야기 모음집으로써 간단한 규칙이 있는 정기 낭독 무대에서 공연된 작품이라고 한다. 이 글이 탄생된 배경만 살펴보더라도 결코 쉽게 씌인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쉽게 읽고, 웃음으로 넘겨 버리는 사이에도 저자는 그 속에 많은 것들을 갖추어 놓고 있었다. 남들이 비웃어 버리는 자신의 일상속에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감추어 놓음으로써 그 너머를 보아주기 바랐는지도 모른다. 단순히 유머로만 점철되어 지는 호어스트 씨의 하루가 아닌 웃는 사이에도 나름대로의 호어스트 씨만의 세계가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가 달아놓은 주석만 보더라도 이제껏 만나왔던 주석과는 다른 자신의 독특한 세계를 말해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주석이라기 보다는 생각의 편린을 옮겨놓은 듯한 작은 세계. 그 세계로 말미암아 호어스트 씨만의 독창적인 세계를 만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 책이다.
우리 모두가 금요일을 꿈꾸고 있지만, 언제나 금요일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호어스트 씨가 보여주고 있는 셈이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의 일상을 잘 견뎌내야만 금요일의 달콤함이 우리를 맞이하기에 하루하루를 충실히 살아가는 방법 밖에 없다. 호어스트 씨처럼 이리 깨지고 저리 깨지는 일상이라고 할지라도 그 안에서 우리가 꿈꾸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아야 한다. 그런 마음으로 일상을 대하다 보면 호어스트 씨보다 더 심한 실수투성이의 삶이라 할지라도 자신만의 세계가 만들어지는 꿈을 꿀 수 있지 않을까. 엉뚱하고 유쾌한 웃음 속에서 만난 호어스트 씨는 내게 그렇게 말해주고 있었다. 세상은 언제나 금요일은 아니지만, 금요일을 꿈 꿀 수 있는 건 바로 나라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