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독서에 관해 한 번쯤은 생각해 봤을 것이다. 과연 제대로 책을 읽고 있는 것일까, 더 빨리 읽는 방법은 없은 것일까 라는 고민을 말이다. 그러면서도 누군가 내게 책을 읽는 방법을 가르쳐 주려 하면 내 나름대로 터득한 독서법을 고집하며 타인의 독서법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저자도 나의 독서를 완전히 바꾸라고 했다면 거들떠도 안 봤을 것이다. 독서에 도움을 주는 책이 아니라 강요를 하는 책이라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책을 천천히 읽으라고 했다. 단 한 권을 읽더라도 완벽하게 읽으라고 한다. 그의 말에 수긍이 가지만 과연 책을 그런 식으로 읽는다면 세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책들은 어째야 하는지 깊은 고민에 빠지기 시작했다.
하루에 출간되는 책의 양은 약 400권 정도라고 한다. 내가 한달에 읽는 책의 양을 생각 해 볼때 실로 놀라운 숫자가 아닐 수 없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책들을 다 읽지 못해 안달복달 하는 내 마음이 얼마나 어리석은지 깨닫게 해주는 숫자다. 그 책들을 내가 다 읽어야 할 필요가 없음을 앎에도 더 많은 책들을 읽고 싶어 권수를 위한 독서를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런 고민들이 쌓여갈 즈음 만나게 된 <책을 읽는 방법>은 내게 오아시스 같은 책이었다. 많은 책을 읽지 않아도 되니 천천히 읽어라는 충고는 쌓여가는 책들을 보며 한숨을 쉬던 내게 큰 위로가 되고 있었다.
과거에 나의 독서를 떠올려보면 저자가 굳이 슬로리딩을 하지 말해도 되지 않을 정도로 느린 독서였다. 슬로리딩의 패턴을 잃어 버린 것은 책에 대한 관심이 남달라 지면서 였다. 책이 좋다 보니 책을 많이 소장하게 되고 그렇다 보니 읽어가는 양보다 쌓여가는 양이 앞지르기 시작했다. 그런 책들을 보고 있자면 언제 저 책들을 다 읽을까 하는 조바심에 몸부림이 쳐졌고, 권수를 줄이기 위해 얇팍한 책들을 찾게 되었다. 그 과정 속에서 회의감이 느껴지지 않았던 것은 아니였으나 이미 익숙해져 있는 나의 독서 패턴을 바꾼다는 게 쉽지 않았다. 남들 보다 많이 읽고 싶었고, 리뷰도 빨리 쓰고 싶었고, 무엇보다 쌓여가는 나의 책을 줄여 가고 싶었다. 그 맘이 어리석다는 것을 알면서도 쉽게 미련을 떨쳐버리지 못했다.
저자는 독서를 즐기는 비결로 '속독 컴플렉스'에서 벗어나라고 말하고 있다. 책을 빨리, 그리고 많이 읽고 싶은 마음에 속독에 관해 생각해 보지 않은 터라 저자가 말한 방법을 받아 들이기가 쉽지 않았다. 책에 따라서 읽는 속도가 달라 진다고 자부하고 있었지만, 읽는 속도보다 오로지 글자를 읽기 위한 독서였다는 것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천천히 독서를 즐길 때에야 즐거운 독서를 할 수 있고, 활자를 좇는 빈약한 독서에서 벗어날 때 맛을 음미하고 생각하며 깊이 느끼는 풍요로운 독서로 나아가는 법. 이 책이 그런 독서에 일조할 수 있다면 저자는 더없이 행복할 거라고 했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뉘어져 있다. 슬로 리딩 기초편, 테크닉편, 실천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에서 질로의 전환','매력적인 오독의 권장'.'동서고금의 텍스트를 읽다' 라는 소제목을 달고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저자가 주장하는 것은 천천히 독서하는 법이다. 슬로 리딩을 했을 때 만나게 되는 책 속의 매력, 독자가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것들을 넘치게 부어준다. 저자의 충고를 따르려면 우선은 양의 독서에 관해 미련을 버려야 한다. 슬로 리딩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할 때 수긍만 하지 말고 과감히 저자의 생각에 따라가야 한다. 그런 미련만 버려도 앞으로의 독서에 관해 틀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무조건 슬로 리딩을 한다고 해서 장점들이 우수수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선은 자신이 느꼈던 오독을 생각해 보며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가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독서의 원래 목적은 '주체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라고 했으니 생각없이 읽었다면 이런 훈련을 하는 것이 좋고, 이해를 못하고 책장을 넘기는 독서를 했다면 일단은 멈춰서 앞장으로 돌아가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슬로 리딩의 중요성을 따라가면서 자신의 독서를 한번 쯤 점검해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바르지 못한 독서를 하고 있었다면 작은 부분부터 조금씩 고쳐 나가는 것. 자신의 독서법에 관한 오류를 발견하면서도 바꿀 수 없었다면 이 책을 통해 변화를 시도해 보는 것도 실천의 시작이다. 이 책을 평상시의 속도에 비해 무척 천천히 읽었는데 앞으로 만나게 될 책들도 속독 컴플렉스에서 벗어나 천천히 읽을 수 있을 것 같은 기분 좋은 예감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