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몰입 :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 Think Hard! ㅣ 몰입
황농문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하루를 돌아보면 주위의 많은 것들에 끌려 다닌다는 느낌이 든다. 허드렛일에 쫓기고, 해야할 일들은 밀쳐둔 채 하지 말아야 할 일들을 하는 날의 반복이다. 그런 일상 속에서도 보람과 기쁨은 찾기 힘들고 어떻해서든 오늘 하루를 대충 보내 버리려는 생각이 짙다. 이런 생활을 하기 싫으면서도 왜 자꾸 반복적인 생활리듬을 버리지 못하는 것일까. 그것은 최선을 다해 살아야 겠다는 의욕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최선을 다하고 싶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미래에 대한 계획도 목표도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나의 일상을 좀더 보람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의욕이 넘쳐야 할 것이다. 컨디션도 좋아야 할 것이고, 긍정적인 사고도 필요할 것이다. 그래서 내가 하는 일들이 대단하지 않다고 해도 즐겁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만 깊이 해도 방법이 있다고 한다. 생각에 깊이를 더해 몰입을 이루워 낼 때 말이다.
칙센트 미하이의 <몰입의 경영>을 통해 나의 일상에서도 몰입은 자주 일어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 나의 경우는 책을 읽을 때 몰입을 많이 경험하게 되었는데, 그런 몰입에 대해서 노력을 해본다는 것이 조금은 생소했다. 나에게 몰입은 주위의 조건과 나의 감정 상태가 잘 맞아 떨어졌을 때 오는 것이라 생각 했었다. 그러나 <몰입>이라는 책을 읽어 보니 몰입도 연습하고 습관을 들이면 가능 하다는 사실에 조금은 의아해 졌다. 깊은 생각에 빠져 있는 것이 공부나 일할 때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생각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아닐까 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저자는 몰입에 대해서 자신감이 넘쳐났고 경험도 많았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사례를 통해서 몰입의 결과를 드러내고 있었다. 그런 사실들을 바라볼 때 생각하는 것에 대해 쉽게 간과할 수 없었다. 물론 그것은 스쳐버리는 생각들이 주류가 됐을 때가 아니라 한가지 주제를 정해놓고 목적의식을 갖는 몰입에 대한 것이었다. 그런 몰입을 통해 오로지 한가지 생각에만 깊이 빠져 있을 때 얻어지는 것들은 우리의 상상을 뛰어 넘었다.
물론 저자의 경우는 교수라는 직업에서 연구의 목적으로 시도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인들 보다 많은 효과를 이루어 냈을 수도 있다. 저자가 제시한 사례라든지, 몰입의 과정들은 먹고살기 바쁜 현대인들에게 먼 얘기가 될 수도 있다. 자신에게는 현재의 상황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해 버릴 수도 있다. 또한 책의 중반까지는 몰입에 대한 과정과 결과들이 즐비해서 나와는 상관없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짙어 책의 내용을 충분히 받아들이지 못했었다. 거기다 몰입상태를 빗대어 무의식의 세계나, 선잠 상태일 때의 몰입이 강하다는 예를 들고 있어서 적응하기가 힘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책의 요점은 생각을 열심히 하라, 집중해서 하라 라는 말인 것 같은데 광범위하게 풀어내는 것 같아 몰입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도 몰입하지 못하는 내가 계면쩍었다. 그러다 책의 후반부로 가다보니 다소 어렵게 느껴졌던 몰입이 가깝게 다가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아무래도 우리의 피부에 와닿는 것들에 대한 몰입을 해보라는 충고에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도 모른다.
좀더 소소한 사례를 통해 거창하게 연구 대상이 되는 것이나, 회사에서 아주 중대한 일에 대한 몰입이 아닌 일상 생활에서의 몰입도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런 몰입은 대상의 선택이나 난이도에 귀를 기울여야 했다. 처음부터 나와는 상관이 없는 대상에 대해 몰입을 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씨름을 하면 역효과가 난다고 했다. 또한 몰입은 우리에게 익숙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초등학교 수학 문제를 통해서 연습을 해보기도 하면서 몰입에 대한 거부감을 키워 나가도록 권유하기도 했다. 그랬기에 연구가 목적이 아닌 나 같은 일반인들에게는 하루에 20분씩 5번 정도 몰입을 하라고 충고했다. 그런 몰입을 할때에 컨디션 조절을 위해서 땀을 흘리는 운동도 하라는 말을 했는데 그것은 하루 종일 앉아서 생각에 생각을 거듭한다고 해서 정답이 나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제시해 주는 것이리라. 또한 조급하게 당장 어떠한 결과를 얻으려고 하면 포기하기 쉽다는 말을 했었다. 저자 또한 한가지 주제로 일년이 넘도록 몰입한 후에 얻어진 결과도 있었으니 몰입하면 모든것이 해결 된다, 기막힌 아이디어가 샘솟는다는 착각은 하면 안된다.
몰입에 대한 결과는 엄청난 것이 될 수 있지만, 저자의 몰입에 대한 요점을 살펴보면 의외로 간단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명상하듯 자기만의 공간에서 생각을 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머리를 식히며, 잠이 올 때는 자는 식으로 몰입을 하라고 했다. 우리가 어떠한 일에 대해 위기를 느낄 때 온통 그 생각 밖에 안나는 것처럼, 몰입의 연습을 하다보면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게 몰입에 빠질 수 있다고 했다. 무조건 생각만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므로써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휘하라는 뜻이기도 했다. 몰입을 통한 잠재력 발견을 어렵지 않게 끄집어 낼 수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책을 읽는 도중에 몰입에 대한 시도를 하지 않아서 나에게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는 확실하게 말할 수 없지만, 몰입의 효과에 대한 시선은 긍정적이다. 다소 광범위하게 접근하고 있는 몰입에 대한 여정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면 저자가 겪었던, 말하고자 했던 몰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우선은 몰입에 대한 연습이 필요하겠지만 몰입에 대한 결과를 어떻게 끌어 냈느냐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지리라 생각한다. 그것은 자신의 숙제겠지만 우선은 몰입을 시도해 보는 것이 실천에 대한 첫걸음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