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기 때문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의지와는 다르게 정신없이 읽었던 책이다. 책이 뿜어내는 흡인력은 고개조차 들 수 없을 정도로 몰입하게 만들었다. 잠시 쉬고 싶어 책을 덮으려고 해도 나의 눈은 다음 이야기를 쫓고 있었다. 어떻게나 나를 정신없이 만드는지 비밀의 터널을 따라가는 기분이 들 정도였다. <구해줘>와 분위기는 비슷했지만 새로운 반전이 기다리고 있어 놀라기도 했다. 하지만 어둠을 드러내는 책의 소재들은 거대한 도시의 뒷모습을 연상케 해서인지 온전한 희망만을 기대할 순 없었다.

 

  이 책의 무대도 뉴욕이다. 그리고 네명의 인물 위주로 펼쳐지는 이야기는 복잡하면서도 그 끝을 보고 싶어 쉼없이 책장을 넘기게 된다. 딸을 잃고 노숙자가 된 마크, 문제만 몰고 다니는 억만장자 상속녀 앨리슨, 엄마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하려 하는 에비, 과거의 상처와 잘못을 떠나보내지 못하고 살아가는 커터. 이 넷의 이야기는 커너와 마크가 친구라는 것을 떠나면 앨리슨과 에비의 등장은 의아할 수 밖에 없었다. 마크와 커너의 문제만으로도 충분히 이야기를 이끌어 갈 수 있을 법한데 또 다른 둘의 등장은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걸까. 궁금증을 가득 품고 실마리를 풀려고 하면 다른 인물의 이야기가 얽혀들어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그래서인지 도무지 멈춰지지 않는 책의 진가를 드러내고 있는지도 몰랐다.



  등장인물들이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잠시 제쳐두더라도 넷의 공통점은 쉽게 찾을 수 있었다. 고통에서, 상처에서 쉽게 헤어 나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의사라는 직업을 팽개치고 잃어버린 딸의 존재를 알지 못해 노숙자가 된 마크는 미래의 행복을 전혀 내다 보지 못한다. 억만장자 상속녀인 앨리슨은 자신의 차에 치여 죽은 어린아이 때문에 방탕한 생활을 끊지 못하고 있고, 엄마의 죽음에 의사의 불의가 담겨져 있다는 사실을 알고 복수심에 불타는 15살 소녀 에비. 그나마 넷 중에서 가장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가슴 속에는 자신을 화상 입힌 자들에게 복수했던 기억을 떨쳐 버리지 못하는 커너. 이 넷의 등장은 어느 정도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각자 다른 삶 속에서 전개될 뿐이었다. 그러나 커너에게 이 세사람이 한꺼번에 밀려오게 되면서 이야기의 양상은 확연하게 달라지기 시작한다.

 

  마크, 에비, 앨리슨 그리고 마크의 딸인 라일라는 한 비행기를 타게 됨으로써 자신들의 상처를 꺼내며 치유를 받게 된다. 마크는 5년전 잃어버린 라일라를 찾았다는 소식에 딸을 데려오는 길이였고, 에비는 엄마를 죽게 한 의사를 찾아가는 길이었다. 그리고 그 비행기 안에는 세간의 주목을 받는 상속녀 앨리슨도 타고 있었다. 그 셋의 만남은 우연처럼 보였지만 커너에 의해서 예정된 만남이었으며 그 만남을 통해 자신들을 옥죄던 고통으로부터 서서히 벗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친숙한 사람들에게 속시원히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처음 만난 서로에게 털어 놓고 있었다. 에비는 마크에게 자신의 복수에 대해 이야기 하게 되고 그 의사와 스스로를 용서 하라는 마크의 말에 혼란을 겪게 된다. 그리고 앨리슨 또한 마크에게 차에 치여 죽은 아이를 자신의 아빠가 몰래 사막에 묻었다는 것과 그런 자신을 용서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털어 놓는다. 마크는 라일라가 곁에 있어서 많은 안정을 찾게 된다. 하지만 그들이 타고 있던 비행기가 사라지고, 라일라는 이별을 고하고 ,그들 셋만 남게 되었을 때 모든 의문들이 풀어지면서 각자의 마음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는 걸 인정하게 된다.

 

  그들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사라진 비행기와 사라진 라일라 그리고 그들 셋은 어떻게 된 것이었을까. 그들에겐 비행기를 탔던 시간들이 충격이었지만 그 사건을 이후로 커너를 포함한 넷의 삶은 완전히 달라진다. 그리고 어둡고 상처 투성이로 얼룩졌던 분위기에서 희망이 깃든 모습으로 책은 마무리 된다. 상처가 깊숙히 자리 잡았던 그들의 삶의 이면에는 범죄, 마약, 빈곤 같은 피하고 싶은 소재들의 눈살을 찌뿌리게 했던게 사실이다. 거기다 죄에 대한 댓가의 여부는 스르르 감춰진 채 끝나기 때문에 행복한 결말이여도 무언가가 찜찜한 건 어쩔 수 없었다. 그러나 우리의 의지와는 다르게 삶이 피해진다고 피해지는 것이 아니듯, 그들을 통해 본연의 삶을 헤쳐가는 모습을 지켜본 것 뿐이다. 그 헤침 속에는 사랑이라는 따뜻한 감정이 있어 가능했을 것이다. 자신의 내면을 정확히 들여다 보는 것 또한 사랑이라는 이름의 다른 양상이므로 이 책을 통해 나를 정검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