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국내소설을 많이 읽지 않는 내가 작년부터 읽고 싶었던 책이 있었다. <아내가 결혼했다>와 정이현의 <달콤한 나의 도시>였다. 작년에 많은 사람들에게 이슈가 된 책이라 국내소설이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해도 궁금한건 어쩔 수 없었다. 분명 이 두 권은 다른 색깔의 책임에도 작년에 발간되었고, 읽으려 찜한 책이라서 그런지 꼭 같이 묶어서 비교하게 된다. 그러나 읽어봐야지 했던 사이에 기대치가 너무 솟아 버린 것일까. 두 권을 연달아 읽었음에도 씁쓸함만이 내 안에 멤돈다. <아내가 결혼했다>보다 <달콤한 나의 도시>는 좀 더 현실적이여서 인지 비교적 수월하게 읽었으나, 역시 뒷심은 약했다는 아쉬움이 든다. 31살의 싱글이라해도 나름대로 재기발랄하던 주인공 은수는 뒤로 갈수록 자신만의 색깔을 잃어 갔고 사랑 앞에선 진부해져 버렸다.
은수는 분명 평범한 여인이다. 평범이라는 조건이 너무 광범위해 변화하는 은수의 상황들에 붙여도 되는지 망설여 지지만, 그녀는 평범하다고 말하고 싶다. 보통의 학력, 보통의 경력, 보통의 외모를 가진 31살의 싱글 여성. 어쩌면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인지도 모른다. 그런 은수의 일상을 들여다 보다 서서히 그녀의 내면으로 스며들어 가지만, 어느 순간 이질감을 느낀 채 떨어져 나와 버리는 나를 만나고 말았다. 그건 바로 진부함이었다. 그녀가 다니는 직장도, 그녀가 만나는 친구들도, 그녀의 가족들의 모습을 지켜보는데는 문제가 없었다. 그 안에는 늘 은수가 있었고 은수가 주인공이였기 때문이다. 그런 그녀 나름대로의 삶의 흔적들이 퍼져 있는 외면을 보는 것은 그녀의 내면 보다 솔직한 때를 다 많이 만났었다. 그러나 그녀가 그런 솔직함과 재기발랄(?)함을 잃어 버린 것은 사랑 앞에서였다. 사랑 앞에서 그녀가 더 빛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색깔을 잃어 버리고 우왕좌왕 하는 모습은 분명 내가 소설 초반에 알고 있던 은수와 달랐다.
31살의 싱글녀를 보는 시선이 냉랭하더라도 나름대로 고뇌와 세상살이의 쓴맛을 안고 살아가는 은수가 낯설지만은 않아 그녀의 삶에 관심이 갔다. 그러나 그런 은수에게 다가온 사랑은 자꾸 그녀를 흐려 놓고 있었다. 결혼을 생각해야 할 나이지만 사랑을 하고 싶은 그녀의 마음을 왜 이해 못하겠는가. 많은 사람들이 그런 상황에서 품는 생각인데. 그래서 은수도 사랑을 했다. 7살 어린 연하남의 순수한 마음을 받아 보기도 했고, 친구 녀석에게도 프로포즈를 받았으며 선도 보았다. 동시에 세 남자를 만나는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그녀의 마음에 꼭 맞는 사랑을 찾을 수가 없었따. 열정적이면 미래가 없고, 조건이 좋으면 마음이 가질 않았다. 결단도 내리지 못하고 흐지부지 마음을 정하지 못하는 사이에 그녀에게는 일이 끊이질 않았다. 부모님의 불화, 직장에서의 감봉. 어쩌다 태오(연하남)와 짧은 동거를 하다 헤어지고 친구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었다. 하나하나 정리해가며 그나마 조건이 나은 선 본 남자와 결혼을 약속하지만 그 남자도 사라져 버리고 만다. 모든 것이 뒤엉켜서 우울함 속으로 치닫는 느낌이었다. 처음의 그녀, 나름 재기발랄했던 그녀는 도대체 어디로 간 것일까.
책을 읽고 나서 소설 속의 인물이라든가 그들의 대사가 느닷없이 떠올라 당황스러웠다. 짧은 시간 마주한 소설임에도 왜 내 곁에 계속 머무르는 것일까. 하지만 은수의 모습에 아쉼이 컸다. 그건 평범함을 내세웠던 그녀에게 어느 정도이 대리만족을 기대했는데, 그렇지 못했기에 실망을 해 버린 것은 아니였을까. 그녀를 늘 평범하다고 말하고 있었도 나와 비슷한 면이 많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가끔 그녀 생각들이 무시할 수 없어 깔깔 거리기도 하고 씁쓸해 했지만, 나의 삶도 그녀의 노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에 그녀를 통해 적당한 타협선을 원했는지도 모른다. 자신의 삶의 전부가 되고 일부가 되는 사랑이 결코 쉬운 문제는 아니지만 사랑이 자신의 미래를 좌우한다는 듯한 모습. 그것을 나는 피하고 싶었다. 진정한 사랑을 찾아 나설 용기도, 좀 더 발전적인 일을 찾는 결단력이 없을지라도 도피하듯 결혼으로 인해 정착하려 했던 모습이 은수 답지 않았다. 은수다운 것이 어떤 것이기에 이런 결론은 안되는 거냐고 따질지는 몰라도 모든 것을 사랑에 치우쳐 버리는 책의 흐름은 초반의 색깔을 잃어 버린 것은 분명하다.
오랜만에 만나는 국내소설이라 편안함을 기대 했었다. 분명 외국소설에서 마주하는 정서의 낯섬은 없어 공감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편안함 그 이상을 기했는지, 무언가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굴곡이 아닌 평행선을 만들어 가는 그런 변화였다면 더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