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을 때 웃음은 공감하거나 나와 상관없이 다를 때 터지는 건데, 그럼에도 괜히 긴장되는 상황이 있다. 이 작품의 초반이 그랬다. 소설 속의 시골 생활과 사투리가 내가 성장해온 배경과 너무 닮아 있어서 웃길 법도 한데 웃음이 뚝 끊겼다. 그러다 아버지가 주변 사람들에게 그렇게 속임수를 당하면서도 베푼 친절과 위로, 편견 없음에 서서히 마음이 풀어졌다. 읽는 내내 ‘인간을 과연 믿어도 될까?’라는 의문이 들었지만, 장례식에 찾아온 사람들만 봐도 그에 대한 해답은 충분했다.


4년 동안의 빨치산 생활을 한 아버지 고상욱 씨 덕분에 저자의 삶은 여기저기 얽혀버린 느낌을 받았다. 그런 아버지의 죽음으로 시작한 이 소설은 평등한 세상을 꿈꾸던 사회주의자의 삶의 궤적으로 채워진다. 그 궤적을 따라가다 보면 과연 가족의 의미가 있는지, 목숨 걸고 지켰던 신념이 과연 지킬만한 것이었는지를 끊임없이 되묻게 만든다. 방물장수를 하룻밤 재우는 일로 ‘저이가 바로 자네가 목숨 걸고 지킬라 했던 민중이여, 민중!’이라는 아버지의 말과 옷 털고 손 씻지 않는 아버지를 향해 잔소리를 해대는 어머니에게 사회주의의 기본은 뭐냐, 유물론이다, 인간은 먼지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모든 것이 인간의 시원인데 사회주의자는 일상에서부터 유물론자로 살아야 한다는 부부의 대화는 나와 너무 동떨어진 시대의 이야기 같았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역사적 진보가 소멸에 맞설 수 있는 인간의 유일만 무기’라고 믿었기에 목숨 걸고 ‘무언가를’ 지켰고 행동했으며 이어진 팍팍한 삶을 견뎌냈던 것 같다. 아무리 시대적 상황이 그렇다 하더라도 그 신념을 지킨 4년의 결과를 평생 자신만의 방법으로 견뎠다는 게 대단했다. ‘아버지의 신념이 대단해서라기보다 남한이 사회주의를 금기하고 한번 사회주의자였던 사람은 다시는 세상으로 복귀할 수 없도록 막았기 때문’이라는 저자의 말처럼 때론 교도소에서 여호와의 증인 신도들이 음식을 나눠주는 것을 보며 ‘종교가 사상보다 한질 윈갑서야.’라며 결이 다른 신념을 경험하기도 한다. 신념이 과오가 되어 평생 발목을 잡고 심지어 가족과 자식의 삶까지 영향을 끼치며, 저자가 아버지에게 듣고 싶었던 말은 ‘빨치산의 딸로 살게 해서 미안하다는 진정한 사과’였음에도 삶은 더 팍팍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힘들어서인지 만만해서인지 아버지를 찾아오지만 항상 발 벗고 나서서 해결하고, 동지란 이름의 미명 하에 그들을 돕는다. 늘 뒤통수를 맞는 아버지를 지켜보는 사람이 더 답답한데 ‘긍게 사램이제. 사람이니 실수를 하고 사람이니 배신을 하고 사람이니 살인도 하고 사람이니 용서도 한다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끝까지 인간을 믿는 아버지를 이해하기란 저자도 나도 힘들긴 매한가지였다.


결과적으로 옳았든 틀렸든 아버지는 목숨걸고 무언가를 지키려 했다. 나는 불편한 모든 현실에서 몇발짝 물러나 노상 투덜댔을 뿐이다. 148쪽


그럼에도 저자에게 아버지는 ‘나의 우주였다’였다고 말한다. 이제 다시는 볼 수 없지만 ‘삶은 죽음을 통해 누군가의 기억 속에 부활하는 거라고. 그러니까 화해나 용서 또한 가능할지도 모르는 일이었다.(231쪽)’는 말처럼 저자는 아버지의 죽음보다 아버지의 장례식장 풍경을 통해 아버지를 이해하고, 아버지의 마음을 알아간다. 어쩌면 스스로 아버지를 용서하고, 스스로 아버지에게 사과를 받았으며, 자신을 옭아맨 것에서 조금은 풀려났을 지도 모른다. 그만큼 아버지는 멋진 사람이었다. 딸내미와 맞담배를 피우고, 상처 입은 10대 이주민 자손과 맞담배를 피우는 것만 봐도 ‘가부장제를 극복한, 소시민성을 극복한, 진정한 혁명가였다.’는 말에 깊은 공감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내 생각도 못 바꾸면서 세상을 어떻게 바꾼다고 할 수 있을까? 그래서 저자와 이주민 아이가 각자의 추억을 지닌 채 담배를 꼬나물고 아버지의 뼛가루를 날리는 모습을 보면서 ‘항꾼에’ 여서 그것이면 족하다고 생각했다.


아버지가 죽음으로 이 세상에서의 고통에서 해방되었는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아버지의 고단한 삶을 되돌아보니 남겨진 사람들은 힘들겠지만 아버지에게는 쉼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세상은 아버지의 생각대로 변하지 않았더라도, 아버지가 평생 쌓아 올린 연대주의(항꾼에!)는 적어도 아버지 주변에서는 일어났다. 필립 로스의 말을 빌어 죽음은 그렇게나 흔해빠졌는데도 아버지의 죽음은 가족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어떤 흔적을 남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 아버지를 보며 삶의 가치를 어디에 두어야 하며, 무엇을 할 것인가를 되돌아 보는 일은 시시하게 느껴졌다. 틈틈이 자기 반성하고 인간미를 잃지 않는 것이 나란 사람에게 어울리는 작은 혁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