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소
모리 준이치 지음, 한유희 옮김 / 지원북클럽(하얀풍차)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이 책을 발견했을 때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예전에 이 책을 읽어 보라고 권해준 지인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대부분 내가 책을 좋아하는 것을 보고 책을 추천해 달라고 하지, 읽어 보라는 권유는 하지 않는데 선뜻 추천을 해 줬기에 기억에 남아 있던 책이였다.

그래서 도서 대출증을 만들고 막 둘러본 책장에서 이 책을 발견했을 때의 느낌은 만남이라는 연속성을 떠올리기 충분했다.

지금은 그 지인과 자주 연락을 하지 않지만 한때 추천해 주었던 책만은 남아 희미하지만 끊기지 않는 연결을 확인한 것 같다. 그래서인지 이 책의 주인공들도 연결의 끊을 놓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은 세상과의 연결일 수도 있었고 서로에 대한 것일 수도, 아니면 낯선 세계와의 연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가 보기엔 그들이 조금 특별해 보였지만 그 특별함은 얼굴을 찡그리게 하는 거부감이 아닌, 오히려 위로를 받는 느낌이였다. 그들보다 낫다고 해서 받는 위로가 아니라 그들로 인해서 순수함을 발견 했기에 위로를 받은 것이다. 내 안에도 그런 것이 존재 한다는 사실에 감격하며.

 

세탁소에서 빨래를 지키는 테루를 봤을 때 영화 '해바라기'의 오태식이 떠올랐다. 어딘가 모자라 보이는 행동거지와 수첩에 무언가를 꼼꼼히 적는 모습이 왠지 모르게 닮아 있었다고 생각 되었기 때문이다. 오태식은 자신의 과오를 번복하지 않기 위해 그런 것이지만 테루는 어릴 때 사고로 머리를 다쳐 깊은 생각은 하지 못한다.

할머니 말로는 맨홀에 빠져서라고 하는데 전혀 기억이 없다. 그래서 기억이 많이 딸리고 말도 어눌할 때도 있다. 그렇다고 테루가 무시되어 지거나 바보스럽다 말할 수 없었다.

테루의 그런면 너머에는 순수함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세탁물을 놓고 간 미즈에에게 옷을 돌려 주려다 길을 잃기도 하는 그 지만 미즈에에겐 테루가 특별하게 다가온다.

사랑에 배신 당하고 도벽을 일삼고 자살까지 하는 그녀에게 테루가 곁에 있는 사람 전부인 것이다. 그런 테루의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고 떠나지만 테루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미즈에에게 무엇이 되어 주거나 다시 만날 거라는 생각 같은 것은 하지 못한다.

그러나 미즈에가 떠나던 날 흘리고 간 원피스를 들고 미즈에의 고향을 찾아간다. 할머니가 운영하던 세탁소는 다른 사람의 손에 넘어갔고 할일이 없어진 것이다.

 

옷을 가져다 주는 과정에서 미즈에에 대한 감정을 조금씩 정리해 가지만 할머니의 죽음을 듣고 다시 돌아가야만 한다. 그런 테루를 따라 미즈에도 고향을 등진다.

그때부터 그들의 여정은 시작되고 부족한 것 투성이의 두 사람의 앞길은 순탄치가 않지만 그것을 피하지는 않는다. 우연히 샐리를 만나 두 사람의 안정적인 생활이 이어지지만 아직도 두 사람은 불안정하다. 미즈에는 테루에게 도리어 위로를 받고 있다고 했지만 그런 테루와의 생활에서도 과거를 떨쳐 버리지 못하고 도벽을 하다 감옥에 갇힌다.

그런 미즈에를 기다려 주는 테루는 늘 그대로다. 샐리가 떠나면서 테루는 절대 미즈에를 배신하지 않을 거라고 했지만 그 말이 아니더라도 테루는 배신이 무엇인지조차 모를 것이다.

자신의 감춰진 과게에 연연해 하기 보다는 현재를 충실하게, 미즈에와 함께 살아가기를 갈망할 뿐이다.

그건 미즈에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상처뿐인 과거를 떨쳐버리고 테루의 순수함을 닮아가며 늘 그의 곁에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그런 테루의 곁에 있는 것이 미즈에의 희생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미즈에는 세상에 섞여 가식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더 힘들다.

테루의 곁이라면 세상에서의 아픔을 잊은 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테루와 함께 한다고해서 세상과의 충돌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진실한 사람이 곁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미즈에에게는 힘이 된다.

 

자칫 불행한 과거를 지녔다고 생각할 수 있는 테루를 보면 위안을 얻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안타까움이 아닌 현재를 꿋꿋이 살아가는 테루를 보며 스르르 동화되어 가는 것이리라.

그것은 샐리처럼 그들이 조금 마음에 들었을 뿐일 수도 있지만 그들을 통해 느껴지는 감동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사랑이라는 매개물로 맺어진 감동일 수도 있고 인간 본연의 모습이 가진 모습일 수도 있겠지만 그들의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감사함이 넘친다. '나는 왜 저들처럼 열심히 살지 못하는 걸까', '내게 부족한 것은 무엇일까' 이런 한탄보다는 내 삶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를 권해본다. 그럴 때 나도 용기를 얻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위로를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