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난새와 떠나는 클래식 여행 2 ㅣ 우리가 아직 몰랐던 세계의 교양 12
금난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클래식 하면 낯선 음악과 친해지려 낑낑대던 기억이 떠오른다.
음악은 참 좋아하는데 가장 귀가 뚫어지지 않은 장르가 재즈와 클래식이였다.
아무리 친해지려고 해도 졸음이 먼저 오고 지루하기 짝이 없었다. 그래서 다른 장르를 섭렵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먼저 귀에 감기는 음악을 위주로 파고 들자는 생각을 했었다.
그래서 처음으로 산 클래식 음반이 바로크 음악 모음집이였다.
그 음반에 수록된 너무나 유명한 파헬벨의 캐논을 시작으로 마음의 문을 열어가곤 했는데 일반적인 곡들과 친해진 것이 아닌, 엉뚱하게도 오페라와 친해지고 말았다.
따지고 보면 오페라는 장르의 일종일 뿐, 클래식 음악이 아니다라고 부정할 수 없기에 그러저럭 듣긴 했었는데, 그래도 늘 아쉬움이 남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이다보니 방대한 스케일의 클래식 세계에서 허우적 댈 수 밖에 없었다.
예전에 '클래식, 아는만큼 들린다' 라는 책을 통해 어느정도 클래식에 대한 부담감을 줄였지만 여전히 서먹서먹한 건 사실이다.
그러던 중 이 책을 만났다. 갈급함에 쩔쩔매는 내게 또 한번 단비같은 만남이였다.
클래식 이라는 제목만 들어도 따분할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나 또한 마찬가지지만 이 책은 생각보다 재미나게 읽혔다.
소제목에는 '세계의 교양'이라 붙여져 있었는데 이 타이틀에 걸맞게 쉽게 설명이 되어 있었다. 비교적 비슷한 조건을 가진 작곡가를 두명씩 묶어서 풀어 나가고 있었는데 그러한 구성이 약간의 혼란을 가중시키기도 했지만 흥미롭게 다가왔던 것도 사실이다.
게다가 20세기의 작곡가들 중심이여서 거리감을 줄일 수 있었고 음악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배경과 인생을 잘 버무려서 지루할 틈이 없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들의 이야기만 듣고, 음악을 들을 수 없다면 책으로서의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2곡의 연주가 들어있는 CD도 첨부 시켰겠지만 책을 읽다보면 음악을 듣지 않아도 그들의 음악이 들리는 듯 했다.
책을 읽는 순간 그 음악을 찾아 들어 보는 것도 무리지만 사전지식을 갖고 음악을 들었을 때 분명 그 전에 들었던 음악과는 다를 것이다.
그러나 책이 갖는 한계에도 분명, 매력은 있었다.
저자가 풀어내는 세계를 따라가다 보면 그 안에 상상되는 공간이 존재하기 마련이고, 완벽하게는 아닐지라도 음악 또한 상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였겠구나, 대충 이런 스타일이 아니였을까를 생각하면 나름대로 상상의 나래를 펼쳤다해도 과언이 아니리라.
요즘이야 쉽게 음악을 접할 수 있지만, 그 시대에는 직접 듣는게 대부분이 였기에, 그런 흔적을 좇다보니 상상만 하는 어려운 방법을 택했는지도 모르겠다.
그 배경에는 여기에 소개된 작곡가들의 공통점들이 있어서 용이했던 것 같다.
모두가 작곡을 했다는 사실은 제쳐두고라도 음악을 갈망하는 마음, 음악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모든 것과 공존한다는 마음에서 비롯된 그들의 열정이 그대로 전해져 왔기 때문이다.
그랬기에 정치적인 탄압 속에서, 제때 맞장구를 쳐주지 못하던 음악 애호가들 속에서도 그들의 음악은 멈추지 않았다.
쉴새없이 작곡하고,연주하고,지휘하고,구상하는 가운데 탄생한 곡들은 그들이 일반인보다 뛰어나다는 천재성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분명 우리보다 훨씬 뛰어난 그들이지만 파란만장한 삶 속에는 늘 음악이 함께 있었다.
창작의 고통을 넘어서 환희를 느끼는 그들을 보고 있노라면 그들의 음악이 꾸준히 사랑 받는다는 사실을 알 것 같기도 했다.
분명 클래식은 익숙하지만 우리의 삶에 쉽게 녹아드는 음악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의 음악을 만들어내던 시대적 배경과 환경을 조금만 들여다 보노라면 살아있는 음악이라는 사실을 간과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 음악이긴 하지만 그 시대의 모든것이 녹아 있는 음악.
시대는 다르지만 사람들의 감성은 어느정도 비슷하기에 알고 듣는다면 더 맛난 음악.
그것이 클래식이였다.
그들의 살던 세계에 들어가서 한 사람의 청중으로써 음악을 대할 수는 없지만 그 시대를 상상하면서 정취를 느낄 수는 있었다.
그래서 그 상상 속에는 현란한 연주와 웅장한 곡은 존재하지 않더라도 내가 만난 음악은 아름다웠을 거라 생각한다.
그들이 내 안에 온전히 들어왔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