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붉은 죽음의 가면 ㅣ 기담문학 고딕총서 2
에드거 앨런 포 지음, 김정아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다른 책에서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에 대한 언급을 굉장히 많이 보았다.
그런 책들은 궁금증을 유발시키기 마련이고, 읽고 싶은 충동을 자아내기 마련인데 포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었어도 선뜻 읽어보고 싶다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흘려 들은 분위기를 짐작하건데, 포의 작품들은 괴기스럽고 어둠을 드러내는 이야기 일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생각의 나무에서 '고딕총서' 시리즈로 발행된 포의 작품집을 보게 되었다.
내가 익히 알고 있던 고골의 작품도 고딕총서 시리즈에 포함되어 있기에 지금이 좋은 기회다 라며 읽게 된 것이다.
그런데 저자의 이름에 너무 치중하다 보니 '고딕'이라는 장르를 너무 쉽게 봤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고딕'은 나에게 여전히 낯설었고 내가 생각한 포의 작품들은 더 기괴했기 때문이다.
총 14편의 단편이 수록된 포의 작품집은 처음에는 포만의 독특함으로 이끌어 가고 있었다.
고딕소설이라고 하면 자극적인 표현들과 기괴함만이 채워져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포를 대표하는 수식어에 낭만주의가 왜 붙어있는지 조금을 알만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선정적인 문구들로만 채워져 있는게 아니라 기괴함을 더해주는 수려한 문장들과 묘사들이 어우러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한켠에 자리잡고 있는 나의 편견들은 무조건 포의 작품들을 신선함과 놀라움으로 읽게 만든건 아니였다.
책을 읽어갈수록 살인, 죽음,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함, 정신착란 등 그것들이 얽히고 설켜 책을 읽는 나조차 혼란스럽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고딕이라는 장르가 낯선것도 있었지만 이런 작품들을 많이 접해보지 않았기에 책을 읽으면서 나의 인상은 찡그려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행위들이 포의 기괴함을 현실에 대응시키려 해서 그랬을 수도 있겠지만 온전히 책 속으로 빠져들지 못한 이유도 있었으리라.
그랬기에 점점 혼란의 늪으로 빠져드는 듯한 느낌이 들었고, 개운치 못한 생각들이 나의 머릿속을 채워 가고 있었다.
책 속에서의 죽음은 너무나 흔했고 쉬웠기에 현실이 비정상적으로 보이기 시작했고 현실과 동떨어진 흥미로움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더 우울하게 만들어 버리곤 했다.
이처럼 잔인하고 암울하고 설명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대부분이였지만, 그러한 가운데 묘사와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들도 간간히 보여 때때로이런 나의 마음을 식혀주기도 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상자'라는 작품에서도 포다운 문체로 씌여졌지만 장모에게 사랑하는 아내의 시신을 가져다 주기 위해 위장을 한 모습과 배가 난파된 후 부인의 시체와 함께 바다로 뛰어든 모습은 애절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사연을 몰랐을 때는 괴상쩍었지만 사연이 드러난 후는 색다른 감정이 지배할 수도 있다는 것.
그것이 포의 독특함일지도 모르겠다.
포의 작품집은 무한한 상상력과 소재의 다양함이 있었고 결코 가볍지 않은 내용들을 싣고 있었다.그러나 나에게 포는 미국인들이 한동안 그를 재능을 인정하지 않았던 것만큼이나 냉랭함이 그득하다.
미국인들처럼 포의 사생활을 빌미로 이런 편견을 얻게 된 것은 아니지만 대중성을 가미한 고딕이라고 해도 전체적인 분위기는 우울함이 짙었던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안개가 휩싸인 밤을 표현하듯, 몽롱한 꿈속을 헤메듯 펼쳐지는 포의 이야기는 서늘함 보다는 드러내고 싶지 않은 의식체계를 말하고 있는 듯 했다.
그것이 포의 문학의 주체라고 해도 여전히 그러한 어둠은 감추고 싶은게 나의 마음인가 보다.
억지스러움일 수도 있고 고정관념일 수도 있지만 여전히 빛으로 어둠을 밝혀 버리고 싶은 마음을 숨길수가 없다. 어둠을 어둠으로 맞서는 것보단 빛으로 밝히는 게 희망차 보이고 덜 괴기스럽다는 마음 때문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모두가 숨기고 싶어하고 드러내고 싶지 않은 우리 모두의 의식세계와 마음 한구석에 존재하고 있는 어둠을 과감히 드러낸 포의 필적은 고딕문학에 획을 그을만 하다.
그것은 위대한 미국작가라는 데에 이견을 제시할 수 있어도 세계 문학에서 중요한 미국 작가라는 데에는 일리 있는 평가라고 말하는 것처럼 시각을 달리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