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괜찮은 눈이 온다 - 나의 살던 골목에는 교유서가 산문 시리즈
한지혜 지음 / 교유서가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조했다. 이상하게 거리감이 느껴졌고, 글을 읽고 있는 내가 겉돌았다. 누군가를 이해하려고 책을 펼친 건 아니었지만 “우리가 진심으로 누군가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누군가를 위해 고민하고 있다면, 우리가 말할 수 있는 첫마디는 ‘나는 너를 모른다’여야 할 것이다.(46쪽)” 라는 사실을 다소 황당하고 겸연쩍은 방법으로 터득했다. 깊은 밤, 이불 속에 몸을 깊숙이 묻고 스탠드 불빛 아래서 책을 읽다 거실로 나왔다. 식탁에 앉아 독서대에 책을 올리고 허리를 곧게 펴고 읽었다. 약간의 물리적 거리감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 싶었는데, 희한하게도 ‘나는 너를 모른다’가 되었다. 그리고 어떠한 책임감도 묻어나지 않는 있는 그대로의 읽기를 즐겼다.

 

‘골목’이라는 단어 하나만으로도 어릴 적 살았던 고향집이 자연스레 떠올랐다. 두메산골이라 골목보다는 휑뎅그렁한 풍경이 전부였지만 저자가 언급한 ‘다락 방’도 많은 식구가 비좁게 자야 했던 좁은 방의 이야기도 이미 공유하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지금의 고향집으로 수리하기 전에 다락에 전화기가 있었고, 벽에서 꽤 높은 곳에 위치해 있었지만 힘들게 올라가면 작은 내 몸 정도는 숨길 수 있는 공간이었다. 당연히 부모님에게 들키면 혼쭐이 났지만 형제들과 다락에서의 놀이를 멈출 수 없었던 기억이 문득 올라왔다. 9남매 중의 막내인 나는 무엇보다 식구들이 많을 때의 복작거림과 아무리 식구라고 해도 경쟁의 대상이 될 때의 불편한 감정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 막내라고 해서 특별히 귀여움을 받지도 않았지만, 딱히 고생을 한 것도 안 한 것도 아닌, 그렇다고 이기심도 너그러움도 배우지도 못한 모호한 위치였다. 그래서 골목골목에 깃든 이야기들을 온 힘을 다해 만나고 싶지 않았다. 나의 치부를 들킬까봐, 미화 된 유년 시절을 다른 기억으로 대체해야 할까봐 두려웠는지도 모른다.

 

이 글을 읽는 동안 절대 행복하지 않았다. 오히려 힘이 들었고, 어느 정도의 거리감은 유지했지만 건조함은 끝내 잘라내지 못했다. ‘어쩌면 행복이란 즐겁고 만족 가득한 상태, 그 자체를 말하는 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정지되고 멈춰있는 어떤 순간이 아니라 생의 움직임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은 아닐까.(90쪽)’라는 말처럼 이 글을 마주하고 있는 나의 상태가, 행복을 차치하고라도 ‘생의 움직임 그 자체’였기 때문인지도 몰랐다. 과거의 이야기를 읽을 때는 잠시 현재를 잊었다가, ‘지금’을 드러내는 이야기 앞에서는 긴장감을 늦출 수 없어 속수무책이었다. ‘생의 움직임’이 너무 격렬한 탓인지 유년 시절의 추억에 젖어 있던 ‘나’가 쨍하고 깨진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어떤 것도 ‘나’가 아님을 부정할 수 없었다. 골목에 비유한 다양한 저자의 모습과 기억과 생각처럼 그렇게 갈라지는 여러 개의 ‘나’도 그냥 ‘나’였다. 그걸 바라보는 것만으로, 그 사실을 깨닫는 것만으로 긴장이 시시때때로 올라와 감히 ‘행복’이란 단어를 꺼낼 수 가 없었다.

 

그런 와중에도 어울리지 않는 근본적인 물음들이 올라왔다. 왜 굳이 시간을 들여, 잠을 줄여가며, 내 할 일을 방치하며(게으름도 한 몫 한다) 긴장감을 팽팽하게 끌어올리면서까지 타인의 생각을 마주하고 있는 것일까? 이런 질문을 하고 있는 내 자신도 유치하지만 전혀 다른 의미였는데도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나도 때때로 타인의 삶에 대해 간섭하고 규정하고 통제하는 오만을 저지르며 살고 있다는 뜻(152쪽)’을 부정하기 위해서인지도 모른다는 것. 하지만 이렇게 거창한 이유보다는 ‘자신 없을 때는 한 발 더 내디뎌보는 용기도 필요한 것이다.(97쪽)’라는 말이 더 와 닿았다. 내가 하고 있는 이 모든 행위는 그저 ‘한 발 더 내디뎌보는 용기’일 뿐이었다고 말이다. 나는 그저 모든 순간에 약간의 용기를 내 본 것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