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지음 / 푸른숲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김훈 명작선을 사서 읽어 보았다.. 단박에 그의 문체에 매료가 되었다.. 그러나 6권인 명작선에서 4권 정도를 읽고 보니 나를 사로잡았던 문체에 조금씩 식상해 가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그래서 명작선 중에서 '자전거 여행' 두권은 아직 읽지 않고 있었는데 그 사이에 김훈의 신작인 '개'가 나왔다.. 그러나 그의 문체에 머뭇거리고 있다가 사지 못하고 있었는데.. 무료포인트가 생긴데다가 이 책을 사면 적립금이 많아서 김훈의 신작이 그래도 궁금하여서 구입하였다...
그러나.. 나의 이런 머뭇거림과 포인트에 현혹되었던 모습이 부끄럽게 여겨졌다.. 김훈의 문체에 쉽게 빠졌고 쉽게 헤어 나왔고.. 그리고 그의 문체는 제자리일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김훈을 너무 쉽게 생각하고 있었다..
나의 오만에서 온 거만함이였다...

처음 제목을 봤을때 '개,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이.. 두개가 같은 의미인지 다른의미인지 구분이 되지 않았다.. '개'는 개인줄 알겠는데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이 개의 입장인지 김훈의 입장인지 구분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역시 읽는 수 밖에는 없었는데 읽고 보니 그 거창한 부제가 가슴에 와 닿았다...

이 작품을 읽고 놀란 것은.. 내 자신이 개 '보리'가 된 듯한 느낌이였다.. 김훈은 이 작품에서 완벽한 '보리'가 되어 있었다..
소설에서의 인물은 실제로 그와 비슷한 사람의 경험을 듣거나 기록을 디지거나 아니면 체험을 해보든가.. 그런 바탕으로라야지(물론 상상력으로도 충분할 수 있겠지만..) 실감나게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다... 그러나 김훈의 '개'는 이야기가 좀 달라진다...

동물인데다가 경험담.. 체험이 불가능할뿐만이 아니라 개의 자료를 뒤져본다는건 일반적으로 빈약한데(내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기록이 잘 되어 있을지 몰라도.. 기록이라고 보다는 설명과 관찰에서 나온 특성이라고 해야 할까?) 이 소설에서는 한치의 오차도 없이 의심도 없이 정말 '개'를 표현하고 낭만적인 개한마리가 튀어 나와 소설을 쓰고 있는게 아닌가 라는 어처구니 없는 생각이 들정도 였다..
그만큼 김훈의 '개'는 완벽했다..

개라 함은 사람으로 비유할때 그리 유쾌하고 좋은 비유는 하나도 없지만 개를 떠올렸을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특징은 냄새를 잘 맡는다는 비유로 사람들에게 종종 쓰이는 개코...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나도 개를 먼저 떠올렸을때 애완견 보다는 시골의 개를 많이 보고 자란터라 까맣고 축축한.. 그리고 예리한 개의 코가 먼저 떠오른다.. 그런 이미지의 개를 김훈은 너무나 잘 파악하고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이 소설에서 냄새는 떠나지 않는다..
그리고 개 '보리'는 자신의 네 발로... 걸으며.. 뛰며... 모든것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냄새를 각인시켜 가고.. 그 발바닥의 디딤... 인간의 코로서는 도저히 간과할 수 없는 온갖 것들을 맡으며 자신이 바라보는 인간의 세계와 나름대로의 삶을 구축해 나간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낭만적이다라는 표현을 썼을 정도로 주인공 보리는 온갖 냄새를 표현하고 있다.. 삶의 모든 것을 냄새라고 표현해도 좋을 만큼 말이다..그 냄새를 통해 모든것을 알아가고 풀이해 가는 과정이 김훈 답다는 생각이 든다.. 그 냄새로 삶을 풀어가고 자기 나름대로의 습득한 결과로 대응해 가는 모습은 너무도 당당하고 사실적이였다.
그런 보리의 무언가를 맡음의 삶은 인간세계 보다 더 끈끈하며..감동적이고 더 처절하며 소박하고 정이 많다..
보리는 눈으로 보는 것... 가슴으로 느끼는 모든 것을 냄새로 토해 내는데.. 그 토로는 단아하다...
고향의 향기.. 별,달,비,계절,바람.. 등 온갖 자연의 경이로움에서 비춰지는 냄새와 인간의 성격, 삶의 형태도 냄새로 파악이 되는데 어느 수필가에 못지 않는 삶의 또다른 접근 방법이다..
개의 그런 삶은 개를 통해서 바라보는 세상이 아닌.. 어쩜 우리인간의 본성인지도 모른다.. 아니 그보다 더 진솔하지 못한채 자신을 속이며 느끼지 못하며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의 자화상에 대한 비난인지도 모른다... 항상 개와 비유되는 것을 불쾌하게 생각하며 그래도 나는 그런 짐승보다 낫다는 뻔뻔한 자부심을 갖고 살아왔다.. 그러나 그 자부심이 여기에선 무의미 했다..

이 소설에서 나는 보리가 되어도 좋았다...
내 자신이 보리인냥.. 마치 인간의 세계.. 그리고 개들의 본성 속에서 냄새로써 모든걸 파악하고 살아온 듯한 느낌이 든다..
마치 내일 아침 일어나면 어젯밤 나는 한마리의 개가 되어 긴 여행을 한 것 같은 꿈을 꾸었노라고 토로한 것 같은 기분이다..(이걸 개꿈이라 할까?^^)
한마리의 개가 되어도 좋다.. 개가 되어야만이 개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고 개가 되어야지 만이 네 발바닥을 디디고 냄새를 맡음으로써 삶의 진가를 경험할 수 있다...
한마리의 철저한 개 '보리'가 되어 우리에게 놀라움과 감동을 전해주는 김훈에게 경이로우을 보낸다..
그야말로 진정한 개체안에서 그 개체가 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그 개체는 실로 완벽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