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와 지빠귀수염 왕자 이야기 속 지혜 쏙
김인숙 지음, 손지영 그림 / 하루놀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곱 살인 딸아이는 유난히 공주와 왕자 이야기를 좋아한다. 핑크색에 푹 빠져 있기도 하고 그림을 그려도 온통 공주에다 꼭 옆에는 왕자님을 그려 넣는다. 딸아이가 생각하는 왕자와 공주가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결혼해서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이야기를 좋아하는 걸 보면 행복을 꿈꾸고 있다고 믿게 된다. 행복의 주체를 설명해주는 게 아직은 어렵지만 누군가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가 행복해질 때 누구를 만나든 행복한 거라고 알려주고 싶다.

 

아름답지만 잘난 척 하는 공주를 가진 왕은 무도회를 열어 결혼 상대를 초대한다. 후보들의 외모만 보며 공주는 버릇없게 놀리고 마는데, 딸아이에게 후보 중에 누가 ‘지빠귀수염 왕자’ 같은지 물어보니 바로 골라냈다. 수염이 있어서 알아챘다는 대답을 원했지만 ‘멋있어서.’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수염을 잘 보지도 못하고 딸아이 눈에 그저 멋있어서 왕자를 골랐다는 이야기를 듣고 ‘여자의 눈은 모두 비슷한가?’ 하고 피식 웃고 말았다. 하지만 공주는 외모를 가지고 모든 결혼상대를 놀린 벌로 처음으로 찾아온 거지에게 시집을 간다.

 

거지를 따라 살 집으로 가면서 보는 아름다운 숲, 넓은 들판, 멋진 도시를 마주하고 누구 거냐고 묻는다. 거지는 모두 지빠귀수염 왕자의 것이고 그와 결혼했다면 모두 당신 것이라고 말하는데, 공주는 그제야 ‘아, 나는 망했다. 이럴 줄 알았으면 지빠귀수염 왕자랑 결혼하는 건데…….’라며 후회한다. 작고 낡은 오두막에 도착한 공주는 그날부터 완전히 다른 삶을 산다. 한 번도 해 본 적 없는 밥을 지어야했고, 먹고 살기 위해서 바구니를 짜고, 베를 짜보지만 제대로 할 리 없다. 결국 보다 못한 거지가 시장에서 항아리를 팔라고 권하는데 말을 탄 군인이 그 항아리마저 다 깨버린다.

 

공주는 거지를 따라오며 후회하는 것 빼고는 대부분 불평 없이 모든 일들을 해낸다. 완전히 다른 삶을 순응하며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저 주어진 일을 하는 것만으로도 벅차 보인다. 궁전에서 하녀를 구한다며 일을 하러 가라고 하자 자신도 공주면서 서슴없이 일을 하러 가는 것을 보며 과연 공주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이후의 흐름은 예상대로 흘러간다. 같이 산 거지가 지빠귀수염 왕자였고, 말을 타고 간 군인도, 왕자의 결혼식 준비를 하던 왕자도 지빠귀수염 왕자며, 결혼 상대는 공주 자신이었다. 잘난 척 하는 공주를 고쳐 주려고 일을 꾸민 것이며 속여서 미안하다고, 결혼식을 다시 올리자는 왕자의 말에 공주는 기뻐한다. 결혼식을 올린 후 아버지를 다시 만난 공주는 행복한 미소를 짓는다.

 

딸아이는 공주와 왕자가 등장하고, 결혼해서 행복하게 사는 것으로 끝이 나서 재밌다 했다. 딸아이 앞에서 별 말을 하지 않았지만 이상하게 공주의 마음이 드러나지 않은 것이 마음에 걸렸다. 외모를 보며 놀리고, 지빠귀수염 왕자 재산을 보며 후회하는 공주와(이 생각에서 나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진실!) 잘난 척 하는 공주를 고쳐주기 위해 모든 일을 꾸몄다는 왕자도 불편하고, 처음 보는 거지에게 시집을 보낸 아버지도 이해가 되질 않았다. 동화를 동화로 보지 못하는 진지한 마음일수도 있지만 딸아이의 시선에서 그런 모습이 행복해 보이면 그건 또 그것 나름이라 여기기로 했다. ‘잘난 척 하는 공주, 그런 공주를 속인 왕자, 그런 공주에게 벌 준 아빠 모두 너무하지 않아?’ 라고 딸아이에게 물어보고 싶었지만 오늘은 그저 재미있게 읽고 잠든 딸아이를 혼란스럽게 하고 싶지 않았다. 나증에 다시 읽으며 못다 한 질문을 해봐야겠다. 의외로 딸아이는 어렵지 않게 대답할 지도 모르겠다. 그저 나만 진지할 것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