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노바의 베네치아
로타 뮐러 지음, 이용숙 옮김 / 열린책들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카프카의 프라하'를 읽고 너무 좋아서 이 책도 사 놓고서 이제서야 읽었다.. '카프카의 프라하'를 읽지 않았다면 읽기가 수월치 않았을 책이다.. '카프카의 프라하'를 통해 책의 의도와 구성이 익숙한 터라 그나마 쉽게 이해하며 읽었다.. 도시가 만든 작가라는 시리즈로 열린책들에서 이 두권이 나왔는데.. '카프카의 프라하'가 더 괜찮았던 것 같다.. '카사노바의 베네치아'가 별로 라는게 아니라 '카프카의 프라하'가 도시와 카프카를 훨씬 더 잘 엮어 주었는데 카사노바는 16세기의 사람인지라 아무래도 20세기 초의 카프카와는 정보가 조금은 부족했으리라 본다...
카프카의 프라하는 균형의 일치를 보여줬는데 카사노바와 베네치아는 약간 다르게 느껴져서 조금은 아쉬웠다..옮긴이도 말했듯이 베네치아의 균형 보다는 카사노바 쪽에 기울였던게 사실이다...
베네치아의 궁궐.. 성.. 그리고 곤돌라 등.. 도시에 대한 기억은 그게 대부분이다.. 그리고 카사노바가 작품을 썼다고 했는데 그런 사실보단느 그의 바람기가 현재 까지 이어지는 지금 그의 연애행각과 그가 저지른 사고들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 같다.. 베네치아를 사랑하기 보다는 적절히 이용했다는 말이 더 맞다고 생각되는건 왜일까.. 그의 악명때문일까... 아무래도 나는 카사노바에 대한 편견을 버리기 못한 것 같다..
그러나 16세기로의 베네치아는 카사노바를 통해 그 시절을 만끽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 재미있게.. 페이지가 잘 넘어가는 책이였다....
서정적이고 서민적인 분위기 보다는 귀족사회의 얘기와 항상 사건들이 끊이지 않았지만....
그래서 베네치아가 카사노바에게 맞지 않았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적절히 이용했다는 표현을 썼듯이 베네치아는 그에게 너무나 잘 맞는 도시였다.. 그를 통해 서정적인 걸 꿈꾸었던 베네치아를 잠시 상상해 보기도 했지만 말이다..
그런 아름다운 도시.. 나는 현재 과연 그런 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는가.. 그리고 만끽하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