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 황금빛 유혹 다빈치 art 9
신성림 지음 / 다빈치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고흐 그림을 계기로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많은 것을 안다기 보다는 나의 눈을 좇아 좋아하는 그림을 감상하는 정도인데 클림트의 그림은 특별히 나의 관심을 끌지 몰했다..
그림에 관심이 없었던 이유가 그냥 그림을 보면서 무언가가 느껴지는게 아니라 그림들이 죄다 난이했고 숨겨져 있는 것들이 많아 보였다.(그림에 무지해서 그런 그림들만 있다 생각했다..) 그래서 그림이라면 어렵고 따분한 것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었는데 그 편견을 깬게 고흐 그림이였다.. 고흐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그냥 그 자체에서 매력이 뿜어져 나왔다... 고흐 그림을 통해 편견이 깨지면서 그림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클림트의 그림은 몽상적이고 여전히 난해하고 비밀이 많은 이미지로 보여서 유명한 그림 몇 점만 알고 있는 정도였다...
그러다 조금씩 조금씩 클림트의 다른 그림도 보게 되었는데 책방에서 우연히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책을 읽고 그림을 보는 내내 즐거웠다...
내가 그림에 대해 가지고 있던 편견들이 풀어지면서 그림 설명.. 클림트에 대한 설명들이 하나의 얘기를 듣는 듯한 착각으로 인해 더 재미가 있었다...
그림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설명이 쉽게 되어 있어서 그림을 보면서 설명을 들춰서 보면 부담이 느껴지지 않았다..
클림트가 이루어 놓은 그림세계를 여행하고 온 듯한 느낌이 들면서 읽으면 읽을수록 읽기가 아까웠다... 클림트에 대해(그림이든.. 클림트 자신이든 간에..)초보였던 나에게는 클림트의 좀 더 깊은 세계에 들어갈 수 있는 발판이 된 책이였다...
특히 클림트의 화려한 그림만 보다 풍경화를 봤을때 그 밋밋함이란 말할 수 없었는데 다시 한번 설명과 함께 보니 클림트 풍경화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그림책들의 특징이듯이 클림트 전생애의 그림을 보리라 생각했더라면(220점의 그림을 남긴데다 그런 책이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부족함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에겐 클림트와 그림의 비밀을 풀어가듯이 읽는 재미와 보는 재미가 쏠쏠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