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보다 긴 하루 - 양장본
친기즈 아이뜨마또프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2월
평점 :
품절


외국으로 여행을 많이 다니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기회가 닿는다면 살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 많은 경험을 하고 싶다...
그러나 많은 여건들이 발목을 붙들고 있는데.. 책 한권으로 중앙아시아의 사막지대.. 그리고 그 곳의 많은 전설들을 경험함으로써 책을 읽기시작하면서부터 다 읽기까지 긴 여행을 한 것 같다...
직접 여행을 하면 더 좋겠지만.. 집에서도 내가 느끼는 대로.. 상상력을 동원해 가면서 한 여행은 정말 소중했다...

책에서 나왔던 지역은 허상이였지만.. 분명 옛 소련의 잔재가 남아있었기에.. 옛 소련의 넓은 국토를 감을 잡지 못했고 다른 나라와 그 나라의 위치를 소련으로 포함시키기가 낯설었다..내가 훨씬 태어나기 전이였고.. 책으로 배웠다지만 러시아라는 강한 인식 때문에 옛 소련의 방대한 지리적,역사적,민족적 의식이 처음 책을 읽을때는 적응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곧 그런 복잡미묘한 것들은 잊어버렸고...
사막의 스텝지대에 있는 철로노무자인 그들의 삶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백년보다 긴 하루>는 오랜세월 철로노무자로 같이 일한 예지게이가 동료이자 그곳으로 인도한 까잔깝을 매장하기 위해 사막근처의 간이역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면서 과거로의 회상으로 인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해설에서 처럼 이런 마을문학은 분명 작은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얘기인데도 서사적으로 펼쳐지는 얘기는 우주보다 더 무한한 공간과.. 상상력.. 긴 시간을 제공해 주었다..
특별한 얘기보단..(우리와 동떨어진 얘기... 그러나 보란리-부 란니 간이역에선 특별한 일이였다...) 이렇게 사람사는 얘기(사막의 스탭지대라서 분명 특별했음에도 불구하고....)가 더 마음에 와닿고... 친근하고 정감가고.. 마음 한 구석에 추억이 남는다...
어느 한구석도 지루한 곳이 없었다.. 책의 끝부분에서 까잔깝을 매장하러 가는 장소에 우주선 기지가 있어서 다른 곳에 묻게 되는데..
책의 첫머리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선이 발사되어서 그 우주비행사들이 다른 별을 찾게 되고 그 사실을 지구에 알리지만.. 지구에서는 경고문과 함께 그 우주비행사들을 추방해 버리고 지구를 방어하는 로켓을 쏘아올린다..
그 광경을 예지게이는 보게 되고.. 그 우주기지 때문에 까잔깝이 묻어 달라는 곳에 묻지 못한다..
책의 내용과 우주의 새로운 별에 관한 얘기가 그렇게 깊은 연관을 보여주지는 않은 것 같았다.. 작가는 그 우주 얘기를 은유적으로 이끌어 냈겠지만.. 예지게이나 나 나... 그런 먼나라 얘기는...순간 지구의 새로운 세계가 펼쳐지더라고.. 동료의 매장에 방해가 되었을 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알고 싶지도 않고.. 알아야 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 충실한 삶을 살아왔던 예지게이기에...

그런 삶을 여행해서 너무나 좋았고.. 모든 상상력을 가능케.. 무한하게 펼쳐지게 만들어준 작가의 글 솜씨도 좋았다..
잠시 휴식을 취하고 온 듯.. 그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은 듯...
아련한 추억이 마음에 남고.. 뿌듯함으로 힘이 솟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